$\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첫 자녀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와 학령전기 가정양육환경의 종단적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ongitudinal Relations Between First-time Mothers' Social Support and the Home Environment for Preschoolers: The Mediation of Depressio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2 no.4, 2016년, pp.1 - 21  

장영은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arly social support of first-time mothers on the home environment for their preschool-aged children via the mediation of mothers' depression. The study sample included 755 first-time mothers participating in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Using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몇몇 연구에서 어머니의 우울 정도가 높을수록 가정양육환경의 질적 수준이 낮다고 보고하고 있으나(장영은, 2015; Son & Morrison, 2010), 사회적 지지가 가정양육환경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녀가 영유아기 시기에 어머니가 경험한 사회적 지지와 우울이 유아기 자녀를 위한 가정양육환경 구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첫 자녀의 출생 이후 양육의 과정에서 가족구성원이나 친지, 친구에게서 받는 사회적 지지가 많을 때, 어머니의 우울을 줄이고, 주변에서 받는 정서적, 물질적 도움이나 정보와 같은 사회적 지지는 우울의 감소를 통해 유아의 발달에 바람직한 교육적이고 학습적인 가정환경 구성에 기여할 것이라 가정하고, 이러한 사회적 지지와 어머니 우울의 영향력은 자녀의 영아기 시기에서부터 시작될 것이라는 종단적 관계를 설정하여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자녀가 영유아기 시기에 어머니가 경험한 사회적 지지와 우울이 유아기 자녀를 위한 가정양육환경 구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첫 자녀의 출생 이후 양육의 과정에서 가족구성원이나 친지, 친구에게서 받는 사회적 지지가 많을 때, 어머니의 우울을 줄이고, 주변에서 받는 정서적, 물질적 도움이나 정보와 같은 사회적 지지는 우울의 감소를 통해 유아의 발달에 바람직한 교육적이고 학습적인 가정환경 구성에 기여할 것이라 가정하고, 이러한 사회적 지지와 어머니 우울의 영향력은 자녀의 영아기 시기에서부터 시작될 것이라는 종단적 관계를 설정하여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첫 자녀를 출산한 어머니가 자녀 영아기와 유아기에 걸쳐 경험하는 사회적 지지가 어머니의 우울을 매개로 자녀 학령전기 시기의 가정양육환경을 구성하는 데에 미치는 영향력을 종단적으로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한국아동패널에 참여하고 있는 가족 중 첫 자녀의 어머니 755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우울과 가정양육환경 간의 종단적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 중에서도 첫 자녀 어머니의 우울에 관심을 두고 그 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사회적 지지가 우울 뿐 아니라 어머니의 효능감(최형성, 정옥분, 2005) 및 역할만족(Erdwins et al.
  • , 2012), 자녀양육의 발달적 과정에서의 초기의 사회적 지지와 이후 어머니의 우울 간의 종단적 관계 역시 탐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가정양육환경을 예측하는 자녀가 영아기일 때부터의 사회적 지지 및 우울의 자료를 활용하여 종단적으로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자녀 영아기에 지각한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높을 때, 우울을 덜 느끼게 되며, 이는 이후 자녀가 유아기에 이르렀을 때 더 많은 사회적 지지와 낮은 우울감으로 이어져, 자녀 발달을 돕는 가정양육환경 구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 이러한 종단적 연구설계는 변인간의 동시적 효과(concurrent effect)를 설정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인과관계 해석의 한계를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으며, 자녀 생애 초기 어머니가 지각했던 사회적 지지와 우울의 지연 효과(lagged effect) 및 누적적인 영향력을 파악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초점은 시간의 경과와 따라 사회적 지지가 어머니 우울을 통해 가정양육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그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와 우울 간의 상호호혜적인 관계가 존재할 수 있는데(Armstrong et al.
  • 이상의 선행연구 결과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는 만 4세 유아 자녀를 위한 가정양육환경을 예측하는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의 영향력을 종단적으로 구성하여 아래〔그림 1〕과 같이 개념적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즉, 첫 자녀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가 우울을 매개로 학령전기 자녀를 위한 가정양육환경의 질적 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고, 시간의 경과와 함께 사회적 지지, 우울, 그리고 가정양육환경 간의 다양한 경로를 포함하는 모형을 구성하였다.

가설 설정

  • 특히 Bradley, Corwyn, Burchinal, McAdoo 그리고 Coll(2001)에 따르면, 영아기나 아동기, 또는 청소년기에 비해 만 3-5세 유아기의 가정환경에 책, 장난감과 같은 물리적 교구가 더 풍부하며, 인지적, 언어적으로도 다른 발달단계 시기 보다 더 활발한 상호작용이 오고가는 것으로 밝혀져, 그 시기의 중간인 만 4세 가정양육환경의 질적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변인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대상 시기로 선정하였다. 다양한 경로를 설정하는 데 있어서, 만 1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이 3년 뒤의 가정양육환경의 질적 수준을 직접적으로 예측하기 보다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후 사회적 지지 및 우울에 영향을 주어 만 4세 가정양육환경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가정양육환경을 예측하는 자녀가 영아기일 때부터의 사회적 지지 및 우울의 자료를 활용하여 종단적으로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자녀 영아기에 지각한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높을 때, 우울을 덜 느끼게 되며, 이는 이후 자녀가 유아기에 이르렀을 때 더 많은 사회적 지지와 낮은 우울감으로 이어져, 자녀 발달을 돕는 가정양육환경 구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러한 종단적 연구설계는 변인간의 동시적 효과(concurrent effect)를 설정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인과관계 해석의 한계를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으며, 자녀 생애 초기 어머니가 지각했던 사회적 지지와 우울의 지연 효과(lagged effect) 및 누적적인 영향력을 파악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 지지 이론에 따르면, 사회적 지지는 어떤 효과를 가지는가? 이러한 직접적 도움 외에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가 유아기 자녀를 위한 가정양육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하나의 기제로 우울과 같은 심리적 안녕을 통한 간접적 경로를 가정할 수 있다. 사회적 지지에 관한 이론에 따르면, 사회적 지지는 완충 효과(buffering effect)와 주효과(main effect)를 가질 수 있다(Cohen & Wills, 1985). 사회적 지지의 완충 효과는 사회적 지지가 외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자원으로 활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가정양육환경의 질적 수준이 높다는 것은 어떤 가정환경을 뜻하는지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면? 가정양육환경의 질적 수준이 높을 때, 자녀와의 상호작용에 있어 인지적, 언어적으로 풍부하며, 전반적으로 온정적이면서 교육적인 가정환경은 유아의 인지와 언어, 사회성에 이르는 전반적 발달에 기여한다. 즉, 부모가 자녀에게 반응적인 양육을 제공하고, 책을 읽어주거나, 언어적 상호작용을 빈번하게 하며, 연령에 맞는 장난감이나 활동을 제공하는 가정환경에서 성장하는 유아가 더 나은 발달적 결과를 보인다는 사실이 실증적 연구를 통해 일관되게 입증되어 왔다(김혜경, 조성연, 2002; 박수진, 김명순, 2010; 이지연, 곽금주, 2008; 한명숙, 서선숙, 2013; Davis-Kean, 2005; Linver, Brooks-Gunn & Kohen, 2002; Roberts, Jergens, & Burchinal, 2005; Son & Morrison, 2010). 예를 들어, Son과 Morrison(2010)은 학령전기에 가정 내 환경이 자녀 발달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을 때, 자녀의 언어발달과 학습적 능력이 더 우수하다고 보고하였다.
사회적 지지란? 사회적 지지는 개인이 활용가능하다고 인지하거나, 실제로 사용하는, 사회적 관계망 내의 비전문적 구성원에게 받는 사회적 자원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Gottlieb & Bergen, 2010). 사회적 지지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게 되는데, 그 예로는 도구적 지지,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또는 사교적 지지 등을 포함한다(Gottlieb & Bergen,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5)

  1. 곽금주, 김정미, 유제민 (2007). 만 3 세 아동에 대한 빈곤, 부모변인, 가정환경 및 아동발달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3), 83-98. 

  2. 권경숙 (2008). 영아를 양육하는 초보 어머니들의 양육특성과 어려움에 관한 질적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1), 229-255. 

  3. 김교연 (2007). 문제중심대처전략을 매개로 한 사회적 지지와 우울의 관련-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 정신지체인의 어머니 집단 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복지연구, 33, 5-33. 

  4. 김정미, 곽금주 (2007). 취학 전 빈곤아동에 대한 부모, 가정환경 자극, 사회적 지원의 영향력 탐색. 아동학회지, 28(4), 305-317. 

  5. 김혜경, 조성연 (2002). 연구논문: 가족형태에 따른 가정환경과 유아의 사회, 정서적 발달. 한국가족복지학, 7(2), 3-16. 

  6. 박수진, 김명순 (2010).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18-24개월 영아의 가정문해환경과 어머니의 상호반응적 교수행동과 영아의 어휘력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1(4), 15-27. 

  7. 박정희, 유영주 (1999). 주부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가족관계 변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1), 91-119. 

  8. 서석원, 이대균 (2014).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 및 심리적 특성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8(2), 135-158. 

  9. 엄미선, 전동일 (2006). 저소득 한부모 가족의 양육부담과 사회적 지지. 사회복지리뷰, 11, 75-108. 

  10. 이금진 (2008).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망과 지원정도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우울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3(1), 43-61. 

  11. 이대균, 황주미 (2008). 초보 어머니들의 양육 특성과 어머니됨의 변화 과정.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371-403. 

  12. 이숙자, 오수성 (2006). 상담 일반: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적극적 대처방식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7(1), 27-45. 

  13. 이영주, 이귀옥 (1998).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녀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및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9(2), 19-31. 

  14. 이영환, 한영숙 (2005). 초임부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변인 연구 출산 전.후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41(6), 41-62. 

  15. 이윤주, 진미정 (2013). 영유아기 기혼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사회자본과 양육스트레스. 대한가정학회지, 51(2), 229-239. 

  16. 이재림, 옥선화 (2001). 저소득층 여성가장의 가족생활사건, 사회적 지원, 자녀의 지원과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9(5), 49-63. 

  17. 이정신, 최영희 (2010).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원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3(1), 19-32. 

  18. 이지연, 곽금주 (2008). 사회, 정서발달: 아동초기 사회경제적 지위(SES)와 가정환경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1(3), 151-165. 

  19. 장영은 (2015). 학령전기 자녀의 가정환경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2), 19-39. 

  20. 장영은, 성미영 (2015). 유아의 가정환경과 또래유능성의 관계에서 언어발달의 역할.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1-18. 

  21. 천희영, 옥경희 (2011). 한국 영아어머니의 산후우울 변화와 양육 관련 체계변인간의 관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6), 153-167. 

  22. 최형성, 정옥분 (2005).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대한 인과관계 모형: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 및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2(1), 51-67. 

  23. 한명숙, 서선숙 (2013).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가정환경자극 및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간의 구조분석. 생태유아교육연구, 12(1), 27-47. 

  24.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25. Armstrong, M. I., Birnie-Lefcovitch, S., & Ungar, M. T. (2005). Pathways between social support, family well being, quality of parenting, and child resilience: What we know.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4(2), 269-281. 

  26. Baharudin, R., & Luster, T. (1998). Factors related to the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and children's achievement. Journal of Family Issues, 19(4), 375-403. 

  27. Bentler, P. M., & Bonett, D. G. (1980).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Psychological Bulletin, 88(3), 588-606. 

  28.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1), 83-96. 

  29. Bigner, J. J., & Gerhardt, C. (2013). Parent-child relations: An introduction to parenting. NY: Pearson. 

  30. Bradley, R. H., & Caldwell, B. M. (1979). Home observation for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 a revision of the preschool scale. American Journal of Mental Deficiency. 84(3), 235-244. 

  31. Bradley, R. H., Caldwell, B. M., Rock, S. L., Hamrick, H. M., & Harris, P. (1988). Home observation for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 Development of a home inventory for use with families having children 6 to 10 years old.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13(1), 58-71. 

  32. Bradley, R. H., Corwyn, R. F., Burchinal, M., McAdoo, H. P., & Coll, C. G. (2001). The home environments of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Part II: Relations with behavioral development through age thirteen. Child Development, 72(6), 1868-1886. 

  33. Bradley, R. H., Corwyn, R. F., McAdoo, H. P., & Coll, C. G. (2001). The home environments of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part I: Variations by age, ethnicity, and poverty status. Child Development, 72(6), 1844-1867. 

  34. Bromley, J., Hare, D. J., Davison, K., & Emerson, E. (2004). Mothers supporting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social support, mental health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services. Autism, 8(4), 409-423. 

  35. Bronfenbrenner, U. (1979). Contexts of child rearing: Problems and prospects. American Psychologist, 34(10), 844-850. 

  36. Brooks-Gunn, J., & Duncan, G. J. (1997). The effects of poverty on children. The Future of Children, 7(2), 55-71. 

  37. Brooks-Gunn, J., Klebanov, P. K., & Liaw, F. R. (1995). The learning, physical, and emotional environment of the home in the context of poverty: The Infant Health and Development Program.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17(1), 251-276. 

  38. Burchinal, M., Follmer, A., & Bryant, D. (1996). The relations of maternal social support and family structure with maternal responsiveness and child outcomes among African-American families. Developmental Psychology, 32(6), 1073-1083. 

  39. Cairney, J., Boyle, M., Offord, D. R., & Racine, Y. (2003). Stres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n single and married mothers.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38(8), 442-449. 

  40. Caldwell, B. M., & Bradley, R. H. (2003). Home observation for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 Little Rock: University of Arkansas at little Rock. 

  41. Ceballo, R., & McLoyd, V. C. (2002).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in poor, dangerous neighborhoods. Child Development, 73(4), 1310-1321. 

  42.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357. 

  43. Cutrona, C. E. (1984). Social support and stress in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3(4), 378-390. 

  44. Davis-Kean, P. E. (2005). The influence of parent education and family income on child achievement: the indirect role of parental expectations and the home environment.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9(2), 294-304. 

  45. Erdwins, C. J., Buffardi, L. C., Casper, W. J., & O'Brien, A. S. (2001). The relationship of women's role strain to social support, rol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Family Relations, 50(3), 230-238. 

  46. Evans, G. W., Maxwell, L. E., & Hart, B. (1999). Parental language and verbal responsiveness to children in crowded homes. Developmental Psychology, 35(4), 1020-1023. 

  47. Foster, M. A., Lambert, R., Abbott-Shim, M., McCarty, F., & Franze, S. (2005). A model of home learning environment and social risk factors in relation to children's emergent literacy and social outcom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0(1), 13-36. 

  48. Gottlieb, B. H., & Bergen, A. E. (2010). Social support concepts and measure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69(5), 511-520. 

  49. Guo, G., & Harris, K. M. (2000). The mechanisms mediating the effects of poverty on children's intellectual development. Demography, 37(4), 431-447. 

  50. Hashima, P. Y., & Amato, P. R. (1994). Poverty, social support, and parental behavior. Child Development, 65(2), 394-403. 

  51. Haslam, D. M., Pakenham, K. I., & Smith, A. (2006). Social support and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atology: The mediating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7(3), 276-291. 

  52. Hayes, A. F., Preacher, K. J., & Myers, T. A. (2011). Mediation and the estimation of indirect effects in political communication research. In E. P. Bucy & R. L. Holbert (Eds.), Sourcebook for political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measures, and analytical techniques (pp. 434-465). NY: Routledge. 

  53. Horton, T. V., & Wallander, J. L. (2001). Hope and social support as resilience factors against psychological distress of mothers who care for children with chronic physical conditions. Rehabilitation Psychology, 46(4), 382-399. 

  54. Izzo, C., Weiss, L., Shanahan, T., & Rodriguez-Brown, F. (2000). Parental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s predictors of parenting practices and children's socioemotional adjustment in Mexican immigrant families. Journal of Prevention & Intervention in the Community, 20(1-2), 197-213. 

  55. Kendrick, D., Elkan, R., Hewitt, M., Dewey, M., Blair, M., Robinson, J., et al. (2000). Does home visiting improve parenting and the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82(6), 443-451. 

  56. Kessler, R. C., Andrew, G., Cople, L. J., Hiripi, E., Mroczek, D. K., Normand, S. L. T., et al. (2002). Short screening scales to monitor population prevalences and trends in nonspecific psychological distress. Psychological Medicine, 32(6), 959-976. 

  57.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Y: Guilford Press. 

  58. Koeske, G. F., & Koeske, R. D. (1990). The buffer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parental stres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60(3), 440-451. 

  59. Krieg, D. B. (2007). Does motherhood get easier the second-time around? Examining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quality among mothers having their first or second child. Parenting: Science and Practice, 7(2), 149-175. 

  60. Leahy-Warren, P., McCarthy, G., & Corcoran, P. (2011). Postnatal depression in first-time mothers: prevalence and relationships between functional and structural social support at 6 and 12 weeks postpartum.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25(3), 174-184. 

  61. Leahy­Warren, P., McCarthy, G., & Corcoran, P. (2012). First­time mothers: social support, maternal parental self­efficacy and postnatal depressio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1(3­4), 388-397. 

  62. LeMasters, E. E. (1957). Parenthood as crisis. Marriage and Family Living, 19(4), 352-355. 

  63. Leventhal, T., Martin, A., & Brooks-Gunn, J. (2004). The EC-HOME across five national data sets in the 3rd to 5th year of life. Parenting, 4(2-3), 161-188. 

  64. Linver, M. R., Brooks-Gunn, J., & Kohen, D. E. (2002). Family processes as pathways from income to young children's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38(5), 719-734. 

  65. Morrison, F., & Cooney, R. (2001). Parenting and academic achievement: Multiple paths to early literacy. In M. Bristol-Power (Ed.), Parenting and the child's world: Influences on academic, intellectual,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pp. 141-160).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66. Reece, S. M., & Harkless, G. (1998). Self-efficacy, stress, and parental adaptation: Applications to the care of childbearing families. Journal of Family Nursing, 4(2), 198-215. 

  67. Roberts, J., Jergens, J., & Burchinal, M. (2005). The role of home literacy practices in preschool children's language and emergent literacy skill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8(2), 345-359. 

  68. Shaw, D. S., & Bell, R. Q. (1993). Developmental theories of parental contributors to antisocial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1(5), 493-518. 

  69. Schulz, A. J., Israel, B. A., Zenk, S. N., Parker, E. A., Lichtenstein, R., Shellman-Weir, S., et al. (2006). Psychosocial stress and social support as mediators of relationships between income, length of residenc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African American women on Detroit's eastside. Social Science & Medicine, 62(2), 510-522. 

  70. Son, S. H., & Morrison, F. J. 2010. The nature and impact of changes in the home learning environment on growth of language and academic skills of preschool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46(5), 1103-1118. 

  71. Tarkka, M. T. (2003). Predictors of maternal competence by first­time mothers when the child is 8 months old.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1(3), 233-240. 

  72. Votruba­Drzal, E. (2003). Income changes and cognitive stimulation in young children's home learning environment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5(2), 341-355. 

  73. Weiss, M. J. (2002). Hardiness and social support as predictors of stress in mothers of typical children, children with autism, and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utism, 6(1), 115-130. 

  74. Weissman, M. M., Wickramaratne, P., Nomura, Y., Warner, V., Verdeli, H., Pilowsky, D. J., et al. (2005). Families at high and low risk for depression: a 3-generation study.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2(1), 29-36. 

  75. Zuroff, D. C., Blatt, S. J., Sanislow III, C. A., Bondi, C. M., & Pilkonis, P. A. (1999). Vulnerability to depression: reexamining state dependence and relative stabilit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8(1), 76-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