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자기조절,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스마트기기 중독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Smart Devices Addiction, and Children's Self Regulation on Their Use of Smart Device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6, 2015년, pp.133 - 151  

김민희 (호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조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스마트기기 중독경향성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다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3~5세 유아들과 그들의 어머니 166명이었으며, 통계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 실태는 주 1~2회, 10~30분 정도, 주말에 가장 많이 이용하였다. 대부분 유아들은 3세 이전에 스마트기기를 이용하기 시작하였고, 부모를 통해 접근하였으며, 형제 자매와 주로 함께 이용하였다. 이용 규칙이 있는 경우는 66.3%였고, 자녀의 재미와 흥미를 위해 가장 많이 이용하게 하였다. 둘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에서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중독경향성, 과보호 허용과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다이용이 정적으로 관련이 있었으며, 온정 격려, 한계설정, 유아의 자기조절과는 부적인 상관이 있었다.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다이용에 있어서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중독경향성이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들의 스마트기기 이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유아를 위한 올바른 스마트기기 이용에 대한 방향을 설정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children's self control, mother's addiction to smart devices and parenting behavior influence the way young children used smart devices. Participants were made up of 166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Descriptiv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 실태를 살펴보고 유아의 스마트기기의 과다 이용과 관련된 변인으로서 개인적인 변인인 유아의 자기조절과 환경 변인인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스마트기기 중독경향성의 관련성과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결과를 통해 유아의 올바른 스마트기기 이용과 관련된 포괄적 이해를 돕고자 한다. 이는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정보화 시대에 적절한 유아를 위한 스마트기기 이용에 대한 지침을 설정하고 기기이용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요즈음 유아기의 스마트기기 이용이 보편화되어가고 있는 실정이기에 신체, 정서적으로 미성숙하여 자기통제, 자기조절이 어려운 유아가 스마트기기의 오용 및 과다이용으로 이어지고 나아가 중독현상으로 나아갈 수 있음이 우려되는 바이다. 따라서 유아기 자기조절력이 유아의 스마트기기의 과다이용에 관련된 변인인지 탐색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기기의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요즘에 유아들의 스마트기기 이용 실태를 알아보고, 스마트기기의 이용과 관련된 유아의 개인적 변인과 환경 변인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스마트기기 이용에 대한 논란과 함께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초기단계로서 누적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 실태를 살펴보고 유아의 스마트기기의 과다 이용과 관련된 변인으로서 개인적인 변인인 유아의 자기조절과 환경 변인인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스마트기기 중독경향성의 관련성과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결과를 통해 유아의 올바른 스마트기기 이용과 관련된 포괄적 이해를 돕고자 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유아들의 스마트기기 이용에 있어서 주요한 요인으로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이용행동과 양육행동임이 드러났으며, 유아의 개인변인인 자기조절 또한 주요 변인으로 밝혀졌다. 이에 스마트기기 이용이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유아시기의 스마트기기 이용에 대한 방향을 설정하는 데 기초적 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를 가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기기란? 스마트기기란 휴대폰과 컴퓨터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을 말하며, 편하고 이동이 쉽고, 무엇이든 즉시 알아볼 수 있는 편리한 기기의 특성으로 인해 과다이용에 대한 우려가 크다(김동일, 이윤희, 이주영, 김명찬, 금창민, 남지은 외 2인, 2012). 미래창조과학부(2015)는 3~9세 유아동중 52%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고 이용시간은 하루 평균 81.
스마트기기의 특징은? 스마트기기란 휴대폰과 컴퓨터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을 말하며, 편하고 이동이 쉽고, 무엇이든 즉시 알아볼 수 있는 편리한 기기의 특성으로 인해 과다이용에 대한 우려가 크다(김동일, 이윤희, 이주영, 김명찬, 금창민, 남지은 외 2인, 2012). 미래창조과학부(2015)는 3~9세 유아동중 52%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고 이용시간은 하루 평균 81.
디지털 시대의 특징은? 현대 사회는 21세기에 들어 더욱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스마트기기의 등장과 더불어 디지털 시대가 되었다(Bittman, Rutherford, Brown, & Unsworth, 2011). 이러한 변화는 교육패러다임의 전환 뿐 아니라 사람들 간 소통방식에도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오늘날 아이들은 이전세대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 세대로서 매우 어린 시기부터 컴퓨터, 인터넷, 비디오 등의 미디어 속에서 살아간다(Prensky,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강연주 (2014).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와 어머니의 인식 및 유아행동특성간의 관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국민일보 (2014). 스티브 잡스도 자녀들엔 '컴퓨터 NO'.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2785393&code11141400&cpnv에서 2015년 5월 13일에 인출. 

  3. 권민희 (2013). 유아의 터치스크린기기 사용과 문제행동의 관계.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권장희 (2012). 스마트 기기 등 영상미디어가 영유아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육아지원학회 추계 학술대회자료집, 33-55. 

  5. 김동일, 이윤희, 이주영, 김명찬, 금창민, 남지은 외 (2012). 미디어 이용 대체.보완과 중독: 청소년과 성인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사용 형태를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20(1), 71-88. 

  6. 김민석, 문혁준 (2015).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 분석 및 부모 관련 변인 연구. 인간발달연구, 22(1), 77-99. 

  7. 김병년, 최홍일 (2013).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29(1), 1-25. 

  8. 김승옥, 유구종, 김민경 (2009). 유아의 인터넷 게임 과몰입 변인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4), 377-391. 

  9. 나용선 (2013). 부모 양육태도가 유아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집 이용 유아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7(3), 32-53. 

  10. 노운서 (2009). 만3-5세 유아 컴퓨터게임 이용 실태 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8(2), 43-63. 

  11. 미래창조과학부 (2015). 2014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결과. 

  12. 박성연 (1989).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7(4), 151-165. 

  13. 박소영 (2015).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실태 및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4. 박영일 (2006). 놀며 공부하고 공부하며 노는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정보과학지, 24(2), 10-14. 

  15. 박인곤, 신동희 (2010).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이용과 충족, 의존도, 수용자 혁신성이 스마트폰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10(4), 192-225. 

  16. 박주희 (2001).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 관리전략.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7. 방효국, 김낙홍 (2013). 만5세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사용실태 및 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8(6), 43-64. 

  18. 서민영, 임은미 (2010). 유아 및 초등 저학년 아동의 인터넷 게임 중독경향과 인성특성의 관계. 아동교육, 19(4), 163-175. 

  19. 서소정, 박주영, 김진희 (2014). 유아 및 어머니의 스마트폰 사용정도, 유아의 주의집중력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춘계학술대회 포스터 발표논문. 

  20. 양옥승, 이정란 (2003).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3(2), 69-90. 

  21. 유구종 (2012). 유아교육기관 스마트폰, 태블릿 PC 활용 프로그램 개발 및 유아의 과학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7(3), 85-110. 

  22. 유은정 (2014).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 유아의 정서지능 간의 관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이병호 (2012). 가정에서 유아의 스마트 기기 사용에 관한 탐색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6(6), 511-532. 

  24. 이수기, 이현경, 홍혜경 (2014).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현황과 게임 과몰입 경향성. 유아교육연구, 34(3), 239-262. 

  25. 이영임 (2014). 영아의 스마트폰 이용 실태 및 어머니의 인식.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이원석, 성영화 (2012).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과 관련한 어머니의 인식. 육아정책연구, 6(1), 20-38. 

  27. 이윤미 (2014). 유아와 어머니의 스마트폰 사용습관, 유아의 주의집중 및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이정란 (2003).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 및 관련 변인에 대한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9. 이정림, 도남희, 오유정 (2013). 영유아의 미디어 매체 노출실태 및 보호대책.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30. 이주연 (2011). 유아교육용 스마트폰 앱에 대한 부모 인식 조사: 유아의 행동패턴에 따른 부모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임경심, 김수향, 홍혜경 (2014).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와 자기조절력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4), 203-221. 

  32. 임남균, 류정진 (2012). 부모의 제한적 시청지도에 대한 자녀의 지각이 그들의 TV 프로그램 시청행위에 미치는 영향. 언론과학연구, 12(1), 98-129. 

  33. 조은정, 김지현 (2011). 가정 내 인터넷 게임 사용실태와 유아의 인터넷 게임 중독 경향성. 한국생활과학회지, 19(6), 967-980. 

  34. 조준오, 황해익 (2014). 유아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9(3), 187-218. 

  35. 최정윤 (2008). 보육시설 아동의 코티솔 수준: 보육 경험, 사회계층, 어머니 양육행동,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6. 한국방송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2012). 2012년 스마트폰 이용실태조사. 

  37.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스마트폰중독 진단척도 개발연구. 

  38. 현은자, 조메리명희, 조경선, 김태영 (2013). 어머니의 스마트폰중독 수준,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관계 연구. 유아교육연구, 33(3), 207-225. 

  39. 홍남희 (2012). 초기 모성수행기 여성들의 스마트폰 이용. 미디어, 젠더 & 문화, 21, 135-164. 

  40. 황미경, 권연희 (2014). 자기조절력 증진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1), 269-289. 

  41. 황태경, 손원경 (2014).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실태와 몰입경향성, 자기조절력, 친사회적 행동간의 관계. 생태학회지, 4(1), 69-83. 

  42. KBS 뉴스 (2015). 스마트폰이 아이들 뇌발달에 장애. 2015. 02. 25일자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025795에서 2015년 11월 20일에 인출. 

  43. SBS 보도자료 (2012)a. 스마트폰 중독 어린이 뇌 반응이상 '팝콘브레인'. 2012. 11. 19.일자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1492119에서 2015년 10월 15일에 인출. 

  44. SBS 보도자료 (2012)b. 유아 스마트폰 중독심각. 뇌균형 깨뜨린다. 2012. 2. 18.일자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 read.jsp?news_idN1001091289에서 2015년 05월 16일에 인출. 

  45. Atkin, D. J. (2001). Home ecology and children's television viewing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In J. A. Bryant (Ed.), Television and the American family (pp. 49-74).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6. Bank, A. M., Barr, R., Calvert, S. L., Parrott, W. G., McDonough, S. C., & Rosenblum, K. (2012). Maternal depression and family media use.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1(2), 208-216. 

  47. Bittman, M., Rutherford, L., Brown, J., & Unsworth, L. (2011). Digital natives? New and old media and children's outcomes. Australian Journal of Education, 55(2), 161-175. 

  48. Brenner, V. (1997). Psychology of computer use: XLVII. parameters of internet use, abuse and addiction: The first 90 days of the internet usage survey. Psychological Reports, 80(3), 879-882. 

  49. Griffiths, M. D., & Hunt, N. (1998). Dependence on computer games by adolescents. Psychological Reports, 82(2), 475-480. 

  50. Kopp, C. B. (1982). Antecedent of self-regul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2), 189-214. 

  51. Prensky, M. (2001).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On the Horizon, 9(5), 1-6. 

  52. Rideout, V., Vandewater, E., & Wartella, E. (2003). Zero to six: Electronic media in the lives of infant, toddlers and preschoolers. Menlo Park, CA: Kaiser Family Found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