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모의 자녀애착, 양육 참여 및 스마트기기 사용지도가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다 사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rent-Child Attachment, Parental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Instruction for Children's Effective Use of Smart Devices on Young Children's Smart-Device Overuse Behavior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4 no.6, 2016년, pp.611 - 620  

문경임 (인하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전공) ,  이완정 (인하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how parent-child attachment, parental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and instruction for children's effective use of a smart device reflect on young children's smart device overuse behavior. We collected questionnaires from 196 parents with children attending early childhood educ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연구들은 주로 유아 스마트기기 과다 사용에 영향을 주는 어머니 변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아버지의 양육 참여가 높아지는 현실에서 어머니, 아버지 변인의 영향력을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애착, 양육 참여의 정도, 가정에서의 스마트기기 사용지도가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다 사용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 목적에 따라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상의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이 지나치게 조기화, 과잉화되는 현실에서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다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아버지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여 유아 스마트기기 과몰입에 영향을 주는 부모 변인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또한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부모의 지도 실태 및 인식, 가정에서의 스마트기기 중재전략 및 중독 예방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성화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 실태를 알아보고 부모-자녀 애착과 부모 양육참여, 가정에서의 스마트기기 사용지도가 유아 스마트기기 과다 사용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조사하기 위하여 유아 자녀를 둔 부모 20쌍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조사하고자 하는 문항의 내용이 모호하거나 응답하기에 애매한 것이 있는지 파악하고 일부 지적사항에 대한 수정과정을 거쳤다. 본 조사를 위해 I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5곳의 원장님께 연구 참여 동의를 구하고, 선생님을 통해 학부모님께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연구에 동의한 경우 자녀 편에 설문지를 제출할 수 있도록 하여 선생님을 통해 회수하였다.
  • Oh [25]에 의하면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은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 참여가 유아 스마트기기 과다 사용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며 아버지와 어머니 양육 참여가 유아 스마트기기 과다 사용에 주는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다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변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부모-자녀 애착에 대한 선행연구로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Kim [9]의 연구에 의하면 부모의 애착과 아동의 스마트폰 사용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부모의 의사소통이 폐쇄적일 때가 개방적일 때보다 더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하지만 스마트폰 증후군 및 팝콘브레인화 등과 같은 스마트기기 과다 사용으로 인한 여러 부작용도 점점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 실태를 조사하고, 유아 스마트기기 과다 사용에 영향을 주는 부모 관련 변인으로 부모의 자녀 애착과 부모의 양육 참여도, 가정에서의 스마트기기 사용지도가 유아 스마트기기 과다 사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조사하였다.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Kim과 Lee [13]의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부모 애착은 인터넷 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정서조절능력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이렇듯 초등학생이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부모 애착이 스마트폰 과다 사용에 영향을 주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나 부모의 영향력이 절대적인 유아 단계에서 부모-자녀 애착이 유아 스마트기기 과다 사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아버지와의 애착 및 어머니와의 애착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다 사용과 관계가 있는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 이상의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이 지나치게 조기화, 과잉화되는 현실에서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다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아버지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여 유아 스마트기기 과몰입에 영향을 주는 부모 변인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또한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부모의 지도 실태 및 인식, 가정에서의 스마트기기 중재전략 및 중독 예방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성화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 중독은 영유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접근 시기가 빠를수록 발달에 미치는 악영향과 중독의 위험이 높으며[14], 유아의 경우 외부의 환경을 통제하거나 조절하는 능력이 미숙하므로 양육자의 개입 없이 노출될 경우 스마트폰에 과도하게 몰입할 수 있다[19]. 결국 스마트폰 중독은 유아들에게 매우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게 되는데, 전문가들은 스마트폰에 빠진 아이들은 뇌 구조가 현실에 무감각해지는 ‘팝콘브레인(popcorn brain)화’되고, 운동량이 줄어들어 신체성장 발달에도 큰 지장이 초래된다고 하였다[10].
보호자의 스마트기기 사용 및 태도가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 시간 및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 시간 및 빈도의 근본적인 원인은 보호자의 스마트기기 사용 및 태도에 달려있다고 알려져 있다. 유아가 스마트기기를 접하는 계기는 부모가 유아에게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모습을 자주 보이거나 유아에게 스마트기기를 쉽게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5, 17]. Joana [8]는 부모의 무분별한 스마트기기의 사용이 유아의 잘못된 스마트기기 사용 습관을 만들며 유아들을 중독에 빠지게 한다고 하였으며, 자녀를 지지하고 예방하는 양육과 현실에서의 실제적인 활동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의존성을 해결할 수 있다고 하였다.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접근 시기가 빠를 수록 나타나는 영향은?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접근 시기가 빠를수록 발달에 미치는 악영향과 중독의 위험이 높으며[14], 유아의 경우 외부의 환경을 통제하거나 조절하는 능력이 미숙하므로 양육자의 개입 없이 노출될 경우 스마트폰에 과도하게 몰입할 수 있다[19]. 결국 스마트폰 중독은 유아들에게 매우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게 되는데, 전문가들은 스마트폰에 빠진 아이들은 뇌 구조가 현실에 무감각해지는 ‘팝콘브레인(popcorn brain)화’되고, 운동량이 줄어들어 신체성장 발달에도 큰 지장이 초래된다고 하였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i, K. S. (199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etency of child and the child rearing behaviors and involvement of fath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2. Choi, N. S. (2013).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addiction of the smart-phon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self-esteem, socia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Changwon, Korea. 

  3. Holloway, D., Green, L., & Livingstone, S. (2013). Zero to eight: Young children and their internet use. London: EU Kids Online. 

  4. Hwang, H. J. (2006). A study on mother's attachment to her infant: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maternal attachment invento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5. Jang, K. M. (2015).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anxiet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internet addic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6. Jeon, S. H. (2014).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monito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daily stress and smart phone addi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Korea. 

  7. Jeong, Y. J. (2015). The effect of mother's early object relation and maternal attachment to their children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Korea. 

  8. Joana, S. K. (2014). Children & device dependency. Retrieved July, 11, 2016, from https://joanakompa.com/2014/05/11/children-onelectronic-drugs-workings-consequences-treatment/ 

  9. Kim, B. R. (2015).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paren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mart phone us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10. Kim, B. S. (2013, June 30). My child addicted in smartphone got ADHD, the way to cope with? Asia Economy. Retrieved July 10, 2016, from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3063012301303336 

  11. Kim, H. J. (2015).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young children effortful control on young children overindulgence in smart devi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Seongnam, Korea. 

  12. Kim, M. H. (2015).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smart devices addiction, and children's self regulation on their use of smart devices. Korea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11(6), 133-151. http://dx.doi.org/10.14698/jkcce.2015.11.133 

  13. Kim, S. O., & Lee, K. O. (2007). Conceptual understanding about the internet of game addiction and overindulgence of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ren's Media, 6(2), 63-84. 

  14. Kim, S. O., Yoo, K. J., & Kim, M. K. (2009). A study on internet game overindulgence variable for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4(4), 377-391. 

  15. Lee, J. L. (2013). The actual condition and protective measures of media exposure of infants. Seoul: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16. Lee, J. L. (2014). The actual condition and protective measures of smartphone exposure of infants. Seoul: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17. Lee, K. S., Jung, S. J., Park, J. A., & Jeon, Y. J. (2014). Investigation into current media use by young children aged three and under and their parents' guidance of that us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4(2), 301-321. http://dx.doi.org/10.18023/kjece.2014.34.2.014 

  18. Lee, M. Y. (2014).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preschooler's smartphone use: Focusing on child gender, age of first smartphone use, smartphone proficiency, and child tempera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9. Lee, S. K., Lee, H. K., & Hong, H. K. (2014). A study on smart device usage and game immersion tendency.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4(3), 239-262. 

  20. Lee, Y. H. (2012). A comparative study on time of child caring between father and mother.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16(3), 471-495. 

  21. Lim, M. H. (2014). A study on the relations with children's temperament and the use of smart devi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Ulsan, Ulsan, Korea. 

  22. Muller, M. E. (1994). A questionnaire to measure mother-to infant attachment.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2(2), 129-141. 

  23. Na, M. Y. (2016). Development of parents-involved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prevention of smartmedia addition for preschool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24.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4). Digital media addiction and its development correlates in early childhood. Daegu: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5. Oh, Y. (2016). The relation between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and children's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Seongnam, Korea. 

  26. Park, S. J. (2016, June 30). The world smartphone penetration rate is nearly 70 percent. What percent is Korea, the highest in the world? The Digital Times. Retrieved July 11, 2016, from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6070102100151780001 

  27. Park, S. Y.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ddiction to smart devices and parental medi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28. Park, S. Y. (2015). Study of young children's use of smart media and variables affecting overu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29. Park, S. Y., & Monn, H. J. (2015). Young children's use of smart-media and variables affecting overuse displayed by a smart media child user group.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22(3), 25-45. http://dx.doi.org/10.15284/kjhd.2015.22.3.25 

  30. Ryu, M. H. (2014). A study of infants'/toddlers' use of smartphones and their mothers' perceptions on smartphone using.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86, 307-3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