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의 죽음 이해의 반응 탐색 - 그림책 읽기를 통한 사례연구
Exploring Children's Reactions In Understanding Of Death - A Case Study Through Reading Picture Book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12, 2015년, pp.612 - 623  

이란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현은자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죽음 이해 반응을 그림책 읽기 활동을 통해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지역 만 9살 아동 참여자 4명이 한 참여자 가정에서 총 4회에 걸쳐 모임을 하고 그림책 읽기와 관련 활동을 수행하였고 그 과정이 탐색 되었다. 그 결과, 이야기에 대한 인지적 이해에 각자의 종교적 가정이 반영되었다. 만약 이야기가 자신들의 가정과 맞지 않은 경우, 그들은 다양한 이해 전략을 사용하였다. 또한 참여자 아동들은 그림책 이야기를 통해 죽음 관련 기억들을 상기하고 자신의 상실 경험과 사회적 사건에 그 이야기를 적용하였다. 나아가 아동들은 도서를 읽고 난 후 오히려 삶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이는 죽음 관련 도서들이 참여자 아이들에게 삶을 향한 열정을 표현하도록 돕고 최선으로 자신의 삶을 살도록 돕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림에도 독서하는 동안 전개된 죽음에 대한 이해를 세부적으로 반영하였으며, 첫 그림에 비하여 독서 후 두 번째 그림에서 삶의 기쁨이 더욱 밝은 색깔로서 자세히 표현되었다. 이 같은 삶을 향한 열정은 아동이 창작한 시어에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죽음 관련 그림책 읽기는 죽음에 대한 이해를 전개하고 삶의 실제 경험을 반영하는 과정이며 아동에게 자신의 삶을 사랑하고 최선으로 살아가도록 독려하는 과정임이 드러났으며 이를 토대로 교육적 제안이 제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ildren's reactions in the process of reading books dealing with death. As a result, there was a reflection of their religious assumptions. The participants interpreted the stories based on their belief systems. If the stories did not match with their assump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 표집 대상의 성격상 다문화가정이나 저소득층 등의 소외계층에게 적용되기보다 일반 중산층 가정의 일반아동들의 문학 반응 연구의 성격을 띤다 하겠다. 다양한 계층과 다양한 가정환경을 포함할 경우, 포커스 그룹의 대상자를 큰 집단으로 구성해야 하므로 면담 집중도가 떨어질 것이 예상되었고 본 연구의 종교적 가정과 텍스트의 죽음에 대한 이해 과정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을 변질시킬 우려가 있었다.
  • ’ 부분을 채워 넣는 활동이며 이를 통해 죽음에 대한 아동의 사전적인 생각이나 느낌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연상 그림 그리기 활동은 총 2차례 진행되었는데 그림책 읽기 활동 전과 후로 각각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그들의 그림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죽음에 대한 생각과 감정 변화를 추적하고자 하였다. 세 번째로는 시 짓기 활동을 진행하였는데 그림책 읽기 이후 이들의 죽음에 대한 생각이 어떤 변화를 이루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활용되었다.
  • 이들은 모두 서울 근교의 경기도 지역에 사는 중산층 가정의 아동들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 표집 대상의 성격상 다문화가정이나 저소득층 등의 소외계층에게 적용되기보다 일반 중산층 가정의 일반아동들의 문학 반응 연구의 성격을 띤다 하겠다. 다양한 계층과 다양한 가정환경을 포함할 경우, 포커스 그룹의 대상자를 큰 집단으로 구성해야 하므로 면담 집중도가 떨어질 것이 예상되었고 본 연구의 종교적 가정과 텍스트의 죽음에 대한 이해 과정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을 변질시킬 우려가 있었다.
  • 또한 아동들은 비단 자신의 사적인 상실 경험뿐 아니라 사회적 사건들을 떠올리고 이를 논의하였다. 이들은 세월호 사건을 언급했고 이를 그림책 죽음 이야기와 연결하여 해석하였다.
  • 본 연구는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의 다양한 활동들에 대한 기록을 질적으로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 자료란 현장 노트, 토론의 내러티브, 그림의 심층적 분석 등을 포함하는 만큼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그들의 심리적 반응을 이해하여 어떤 행동 뒤에 잠재된 이유를 밝히는 연구이면서[28], 참여자가 놓여있는 상황(context) 속에서 그 상황들에 부여하는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하나의 현상을 심층적으로 해석하는 연구라 할 수 있다[29].
  • 본 연구는 만 9세 아동이 죽음 그림책을 읽는 과정 중에 드러내는 죽음에 대한 반응들을 깊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령은 10세를 전후하여 죽음 개념이 완전히 습득된다는 선행연구를 참고로 설정된 것이다[4].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죽음 이해와 그 반응을 죽음을 다루는 그림책 읽기 과정과 그 관련 활동을 통해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만 9살 아동 참여자 4명이 한 참여자 가정에서 4회에 걸쳐 모여서 그림책 읽기와 관련 활동을 수행하였고 그 과정이 기록되어 질적으로 분석되었다.
  •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죽음관이 골고루 반영된 그림책들을 선정하여 이를 아동들과 함께 읽는 과정을 통하여 죽음에 대한 아동의생각과 그 변화를 토의하고 그 반응을 다양한 측면에서 탐색하는 것이다. 특히 아동의 종교적 가정이 죽음 이해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따라[3-5] 특히 아동의 종교관과 죽음 관련 텍스트 이해와의 관계를 살펴보는 일을 우선으로 하되 이외의 발견점들 역시 질적으로 기술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죽음관이 골고루 반영된 그림책들을 선정하여 이를 아동들과 함께 읽는 과정을 통하여 죽음에 대한 아동의생각과 그 변화를 토의하고 그 반응을 다양한 측면에서 탐색하는 것이다. 특히 아동의 종교적 가정이 죽음 이해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따라[3-5] 특히 아동의 종교관과 죽음 관련 텍스트 이해와의 관계를 살펴보는 일을 우선으로 하되 이외의 발견점들 역시 질적으로 기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죽음 개념 이해는 무엇과 관련되어 있는가? 죽음 개념을 습득하고 이를 수용한다는 것은 단순한 과업이 아니기 때문이다. 사실 죽음 개념 이해는 사회 문화적 믿음, 사적이고 감정적인 문제, 종교적 가정과 일반 개념적 이해 모두와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있다[1]. 아동의 죽음 개념에 대한 연구는 가장 초보적으로 성인과 아동 사이의 죽음 개념 유사성 정도를 탐색하는 것으로부터 발단되었다[2].
죽음 개념을 획득한 아동은 어떠한 것으로 나타나는가? 아동은 죽음에 관한 진지한 논의를 통해 좀 더 과학적인 방식으로 죽음을 이해하며 죽음에 대한 염려 없이 세계에 적응한다[7]. 나아가 죽음에 관한 이야기를 듣고 죽음 개념을 획득한 아동은 실제로 상실을 경험할 때에 슬픔으로부터 빨리 빠져나오며 좀 더 부드러운 방식으로 정상적인 삶으로 복귀한다[8][9]. 특별히 크레이스(Crase)는 죽음 교육과 토론은 아동들에게 삶에 대한 감수성을 기르도록 도와주는 길이며 삶의 중요성을 내면화하도록 북돋워 주는 길이라고 역설하였다[10].
스피스와 브렌트(Speece & Brent)의 죽음 개념을 구성하는 주요 하위개념으로 무엇이 있는가? 스피스와 브렌트(Speece & Brent)는 방대한 문헌 검토를 통하여서 아동의 죽음 개념을 구성하는 주요 하위개념들을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4]. 불가역성(irreversibility), 종결성(finality, non-functionality), 인과성(causality), 그리고 필연성(inevitability)이 그것이다. 불가역성이란 인간이 한 번 죽으면 다시 삶으로 돌아올 수 없다는 이해를 의미하며 종결성이란 죽은 이후 몸의 모든 기능이 정지된다는 생각을 반영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V. Slaughter,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Death," Australian Psychologist, Vol.40, pp.179-186, 2005. 

  2. B. L. Kenyon, "Current Research in Children's Conceptions of Death: A Critical Review," Omega, Vol.43, pp.63-91, 2001. 

  3. B. Kane, "Children's Concept of Death,"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Vol.134, pp.141-153, 1979. 

  4. M. W. Speece and S. B. Brent, "Children's Understanding of Death: A Review of Three Components of a Death Concept," Child Development, Vol.55, pp.1671-1686, 1984. 

  5. H. Wass, Helping Children Cope with Death, Washington, DC: Hemisphere Publishing Corp., 1991. 

  6. M. M. Mahon, R. L. Goldberg, and S. K. Washington, "Discussing Death in the Classroom: Beliefs and Experiences of Educators and Education Students," Omega, Vol.39, pp.99-121, 1999. 

  7. V. Slaughter and M. Griffiths, "Death Understanding and Fear of Death in Young Children," Clinical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Vol.12, pp.525-535, 2007. 

  8. B. Ward, Good grief, London: Jessica Kingsley Publishers, 1993. 

  9. P. Westmoreland, "Coping with Death; Helping Students Grieves," Childhood Education, Vol.72, No.3, pp.168-190, 1996. 

  10. D. Crase, "Death Education's Quest for maturity," ERIC No. ED214489, pp.1-14, 1982. 

  11. 강현경, 김성숙, "유아의 애도과정에 대한 문헌적 고찰,"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0권, 제2호, pp.325-345, 2013. 

  12. 현은자, 김세희, 그림책의 이해1, 사계절출판사, 2005. 

  13. R. Lee and E. Hyun, "A Case Study: Explori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Death and their Attitude towards Life with Picture Books," End Conference, 2015년 6월 27일. 

  14. 양진희, "문학적 접근을 통한 죽음 개념교육이 유아의 죽음에 대한 인식 및 죽음 불안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 제12권, 제4호, pp.49-74, 2007. 

  15. 이찬숙, 조메리명희, "그림책을 활용한 죽음교육이 유아의 죽음개념 및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권리학회, 제13권, 제3호, pp.417-437, 2009. 

  16. A. M. Wiseman, "Summer's End and Sad Goodbyes: Children's Picture Books about Death and Dying," Children's Literature in Education, Vol.44, pp.1-14, 2013. 

  17. C. A. Corr, "Bereavement, Grief, and Mourning in Death-related Literature for Children," Omega, Vol.48, No.4, pp.337-363, 2003-2004. 

  18. F. P. Weber, Aspects of Death and Correlated Aspects of Life in Art, Epigram and Poetry, London: Lewis, 1922. 

  19. C. Snow and A. Ninio, "The Contracts of Literacy: What Children Learn from Learning to Read Books. In W. H. Teale and E. Sulzby, (Eds.)," Emergent Literacy: Writing and Reading, pp.116-138, Norwood, NJ: Ablex, 1986. 

  20. 박나은, 아동의 이야기 이해력 수준에 따른 그림책에 대한 반응,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8. 

  21. K. J. Vanhooser, Is there a Meaning in this Text? Zondervan, 2009. 

  22. E. Katz and T. Liebes, "Mutual Aid in the Decoding of Dallas: Preliminary Notes from a Cross-Cultural Study," In P. Drummond and R. Patterson (Eds.), Television in Transition, London: British Film Institute, pp.187-198, 1985. 

  23. L. Galda and R. Beach, "Response to Literature as a Cultural Activity," Reading Research Quarterly, Vol.36, No.1, pp.64-73, January/February/March 2001. 

  24. S. Lehr, "Literature and the Construction of Meaning: the Preschool Child's Developing Sense of Theme,"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Vol.5, No.1, pp.37-46, 1990. 

  25. L. M. McGee, "Exploring the Literature-based Reading Revolution," Language Arts, Vol.69, pp.529-537, 1992. 

  26. 강은진, 현은자, "환상그림책과 사실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반응 비교연구 -소집단 그림책 읽기 활동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Vol.19, No.1, pp.169-182, 1998. 

  27. L. R. Sipe, "The contruction of Literary Understanding be First and Second Graders in Oral Response to Picture Storybook Read-alouds," Reading Research Quarterly, Vol.35, No.2, pp.52-275, 2000. 

  28. N. Lyons and V. K. LaBoskey, Narrative Inquiry in Practice: Advancing the Knowledge of Teaching,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2002. 

  29.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I, 아카데미프레스, 2012. 

  30. 이란, 현은자, "죽음 교육 자료로서의 그림책에 대한 기독교적 고찰," 신앙과 학문, Vol.19, No.4, pp.135-167, 2014. 

  31. M. Crotty, The foundations of social research: Meaning and perspective in the research process, London: Sage, 1998. 

  32. D. J. Clandinin and F. M. Connelly,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Bass, 2000. 

  33. N. K. Denzin, Interpretative interactionism, Newbury Park, CA: Sage, 198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