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생아 집중 치료실 퇴원 후 미숙아 영아 어머니의 모성 역할 발달
Maternal Role Development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Graduate Mothers of Premature Infant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1 no.4, 2015년, pp.308 - 320  

김아림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  탁영란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dictive factors for maternal role development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A total sample of 121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following discharge from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NICU 퇴원 후에도 지속적 추후 관리와 치료적 돌봄이 필요한 미숙아 영아를 가정에서 양육 중인 어머니를 대상으로 모아 애착, 모성 정체성, 부부 친밀감과 모성 역할 발달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모성 역할 발달 예측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미숙아 영아 어머니의 모성 역할 발달 예측 요인을 규명하는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부 친밀감이란 무엇인가? 부부 친밀감은 ‘부부가 서로에게 상호적으로 느끼는 매우 가깝고도 공유되는 밀접함’을 나타내는 정도’로 부부 관계성을 대표하는 개념이다. Lee의 부부 친밀감 척도[27]는 한국 실정에 맞게 개발되어 표현 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우리나라 부부의 결혼 생활을 측정하는 데 적합한 도구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모성 역할 발달은 어떻게 개시되며 조화를 이루는가? 모성 역할 발달은 어머니와 영아 간의 애착이 시작되며 일어나는 발달적 상호 작용 과정으로 일생 동안 어머니 역할 내재화와 적응, 모성 행위의 발달과 확장을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그 역할에 대한 만족과 기쁨을 표현하는 것으로 정의 된다. 이는 영아가 어머니의 삶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면서 형성되는 모아 애착(maternal attachment)구축을 통해 개시되며, 모성 정체성(maternal identity) 통합과 상호 의존성을 띄며 조화를 이룬다[19]. 영아와 어머니 간의 첫 사회적 관계 이자 애정적 유대감인[20] 모아 애착은 모성 정체성 통합을 위해 필요한 자원으로 양육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수적이다[19].
모성 역할 발달이란 무엇인가? 모성 역할 발달(maternal role development)은 모성 이행기의 핵심 요소로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 전 생애에 걸친 성장과 역할의 진화를 반영하는 개념이며 영아의 신체적, 행동적, 사회 정서적 발달에 필요한 핵심 자원이다[13-16]. 여성의 적극적 몰입, 능동적 변화와 지속적인 협상 과정이 필요한 모성 이행기 자체가 여성에게 심리적 고통을 초래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최근 건강한 만삭아 어머니의 모성 역할 연구가 상당수 이루어져 있다[14-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2013 Birth certificate data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4 [cited 2014 December 1].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aSeq329406&pageNo&rowNum10&amSeq&sTarget&sTxt0 

  2. Tooten A, Hoffenkamp HN, Hall RA, Braeken J, Vingerhoets AJ, van Bakel HJ. Parental perceptions and experiences after childbirth: A comparison between mothers and fathers of term and preterm infants. Birth. 2013;40(3):164-171. 

  3. Altimier L, Phillips RM. The Neonatal Integrative Developmental Care Model: Seven neuroprotective core measures for family-centered developmental care.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 2013;13(1):9-22. 

  4. Lopez GL, Anderson KH, Feutchinger J. Transition of premature infants from hospital to home life. Neonatal Network. 2012;31(4):207-214. 

  5. Hane AA, Myers MM, Hofer MA, Ludwig RJ, Halperin MS, Austin J, et al. Family nurture intervention improves the quality of maternal caregiving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Developmental & Behavioral Pediatrics. 2015;36(3):188-196. 

  6. Bae CW, Shim KS, Hahn WH, Kim KS, Kim BI, Shin SM, et al. Rehospitalization rate and medical cost of infants in the first year after discharge from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Neonatology. 2010;17(1):13-20. 

  7. Boykova M, Kenner C. Transition from hospital to home for parents of preterm infants. The Journal of Perinatal & Neonatal Nursing. 2012;26(1):81-87. 

  8. Pisoni C, Garofoli F, Baiardini I, Tzialla C, Stronati M. The development of parents-infant relationship in high-risk pregnancies and preterm birth. Journal of Pediatric and Neonatal Individualized Medicine. 2014;3(2):e030233. 

  9. Im M, Oh J. Integrative review on caring education papers for parents with a premature infant.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3;19(2):120-129. 

  10. Miles MS, Holditch-Davis D, Burchinal MR, Brunssen S. Maternal role attainment with medically fragile infants: Part 1. Measurement and correlates during the first year of life.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11;34(1):20-34. 

  11. Holditch-Davis D, Miles MS, Burchinal MR, Goldman BD. Maternal role attainment with medically fragile infants: Part 2. Relationship to the quality of parenting.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11;34(1):35-48. 

  12. Pennestri MH, Gaudreau H, Bouvette-Turcot AA, Moss E, Lecompte V, Atkinson L, et al. Attachment disorganization among children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Preliminary results. Early Human Development. 2015;91(10):601-606. 

  13. Mercer RT. Becoming a mother versus maternal role attainment.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04;36(3):226-232. 

  14. Emmanuel EN, Creedy DK, St John W, Brown C. Maternal role development: The impact of maternal distress and social support following childbirth. Midwifery. 2011;27(2):265-272. 

  15. Ngai FW, Wai-Chi Chan S, Ip WY. Predictors and correlates of maternal role competence and satisfaction. Nursing Research. 2010;59(3):185-193. 

  16. Liu CC, Chen YC, Yeh YP, Hsieh YS. Effects of maternal confidence and competence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in newborn ca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2;68(4):908-918. 

  17. Song JE, Ahn JA. Effect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improving maternal adaptation in Korea: Sytematic review.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3;19(3):129-141. 

  18. Chon MY, Ji ES, Lee SH. Mothers' parenting experience of premature infants: Q method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6):704-713. 

  19. Mercer RT. The process of maternal role attainment over the first year. Nursing Research. 1985;34(4):198-204. 

  20. Ainsworth MD. Attachments beyond infancy. American Psychologist. 1989;44(4):709-716. 

  21. Lindblom J, Flykt M, Tolvanen A, Vanska M, Tiitinen A, Tulppala M, et al. Dynamic family system trajectories from pregnancy to child's first year.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2014;76(4):796-807. 

  22. Jung YY, Kim HW. Factors associated with postpartum depression and its influence on maternal identit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4;20(1):29-37. 

  23. Kang H, Yeon K, Han ST. A Review on the use of effect size in nursing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5):641-649. 

  24. Pridham KF, Chang AS. What being the parent of a new baby is like: Revision of an instrument.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989;12(5):323-329. 

  25. Choi HS, Shin YH. Effects on maternal attachment, parenting stress, and maternal confidence of systematic information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3;19(3):207-215. 

  26. Walker LO. Investigating the semantic properties of two concepts. Unpublished manuscript paper.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1977. 

  27. Lee KH. A measure of marital intimacy.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1995;33(4):235-249. 

  28. Ha JY, Kim YJ. Factors influencing self-confidence in the maternal role among early postpartum mother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3;19(1):48-56. 

  29. Lee LA, Carter M, Stevenson SB, Harrison HA. Improving family- centered care practices in the NICU. Neonatal Network. 2014;33(3):125-132. 

  30. Samra HA, McGrath JM, Fischer S, Schumacher B, Dutcher J, Hansen J. The NICU parent risk evaluation and engagement model and instrument (PREEMI) for neonates in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2015;44(1):114-1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