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합성 인자 조절 및 식이 섭취 감소를 통한 곽향의 항비만 효능
Effects of Agastache rugosa on Obesity Via Inhibit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and Reduction of Food Intake 원문보기

한방비만학회지 = Journal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v.15 no.2, 2015년, pp.104 - 110  

김용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융합한의과학교실) ,  김미혜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융합한의과학교실) ,  양웅모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융합한의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herb of Agastache rugosa (AR) is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used for colds, vomiting and furuncles. However, there are few reports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s of AR on obesity.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R on high fat diet (HFD)-induced obesity and its mechanism of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에서는 4주간 HFD를 쥐에게 섭취하게 하여 비만 상태를 유발시킨 후 곽향 추출물을 투여하여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고지방식이를 섭취하여 비만이 유도된 HFD군의 경우 일반식이 섭취군에 비하여 체중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고지방식이와 곽향 추출물을 함께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HFD군에 비해 체중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쥐에서 곽향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와 기전을 관찰하기 위하여 체중,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 변화, 체지방의 변화, 지방 세포의 크기 변화, 간 조직의 지방 침착, 지방합성 인자 발현 및 혈중 leptin 농도를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은 다양한 요인과 관련되어 있는데 그 중 환경적 요인으로는 어떤것이 있는가? 비만은 개인의 직업, 환경, 경제적 상태, 식생활패턴 등 다양한 요인과 관련되어 있는데, 이를 크게 의학적으로는 유전적 용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7). 환경적 요인으로는 잘못된 식생활 패턴과 과도한 열량 섭취, 탄수화물의 과다한 섭취 등이 보고되었으며, 유전적 요인으로 추정되는 비만 관련 유전자들에 대한 연구가 현재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8). 비만은 여러 가지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등의 심혈관계 질환, 당뇨병 등의 대사성질환, 유방암, 대장암 등의 유발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사망률을 높이게 될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 나쁘게 인식되어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우울증 등을 유발하는 등 정신적인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비만이란? 비만은 과다한 에너지 섭취로 인해 체내대사활동으로 쓰여진 에너지의 나머지가 중성지방으로 전환된 후 지방조직에 축적되어 야기된 체지방의 과다상태를 말한다1). 비만의 기준으로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를 사용하는데 정상체중은 BMI 18.
비만의 기준은? 비만은 과다한 에너지 섭취로 인해 체내대사활동으로 쓰여진 에너지의 나머지가 중성지방으로 전환된 후 지방조직에 축적되어 야기된 체지방의 과다상태를 말한다1). 비만의 기준으로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를 사용하는데 정상체중은 BMI 18.5∼24.9 kg/m2 , 과체중은 25∼29.9 kg/m2 ,비만은 30 kg/m2 이상으로 평가된다2). 생활양식의 변화와 더불어 전 세계적으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비만은 선진국에서 성인 인구의 10%∼40% 정도의 유병률을 보이고 있으며, 세계 인구 중 BMI 30 kg/m2이상의 비만 인구는 3억명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ua S. Leibel RL. Obesity genes: molecular and metabolic mechansims. Diabetes Rev. 1997 ; 1(5) : 2-7. 

  2. Clinical guidelines on the identifica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executive summary. Expert panel on the identifica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overweight in adults. Am J Clin Nutr. 1998 ; 68(4) : 899-917. 

  3. Kim TH, Yoo K. Obesity and tatty liver disease. Korean J Intern Med. 2005 ; 68(2) : 347-9. 

  4. Ogden CL, Carroll MD, Kit BK, Flegal KM. Prevalence of childhood and adult obesity in the United States, 2011-2012. JAMA. 2014 ; 311(8) : 806-14. 

  5. Foreyt J, Goodrick K. The ultimate triumph of obesity. Lancet. 1995 ; 346(8968) : 134-5. 

  6. Flegal KM, Kit BK, Orpana H, Graubard BI. Association of all-cause mortality with overweight and obesity using standard body mass index categori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AMA. 2013 ; 309(1) : 71-82. 

  7. Galobardes B, Morabia A, Bernstein MS. The differential effect of education and occupation on body mass and overweight in a sample of working people of the general population. Ann Epidemiol. 2000 ; 10(8) : 532-7. 

  8. Hamilton MT, Hamilton DG, Zderic TW. Role of low energy expenditure and sitting in obesity, metabolic syndrome, type 2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Diabetes. 2007 ; 56(11) : 2655-67. 

  9. Apfelbaum M, Vague P, Ziegler O, Hanotin C, Thomas F, Leutenegger E. Long-term maintenance of weight loss after a very-low-calorie diet: a randomized blinded trial of the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sibutramine. Am J Med. 1999 ; 106(2) : 179-84. 

  10. Yum K. Orlistat (XenicalR). Korean Soc Study Obes. 2001 ; 1 : 23-36. 

  11. Kang SY, Park Y. Effects of Agastachis herba extract on OVA-induced allergic asthma in mice. Kor J Herbol. 2015 ; 30(3) : 1-12. 

  12. Salah KB, Mahjoub MA, Chaumont JP, Michel L, Millet-Clerc J, Chraeif I,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d in vitro antifung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and methanolic extract of Teucrium sauvagei Le Houerou. Natl Prod Res. 2006 ; 20(12) : 1089-97. 

  13. Esmaeili MA, Yazdanparast R. Hypoglycaemic effect of Teucrium polium: studies with rat pancreatic islets. J Ethnopharmacol. 2004 ; 95(1) : 27-30. 

  14. Suleiman MS, Abdul-Ghani AS, Al-Khalil S, Amin R. Effect of Teucrium polium boiled leaf extract on intestinal motility and blood pressure. J Ethnopharmacol. 1988 ; 22(1) : 111-6. 

  15. Shin D, Kim D, Lee J. A clinical study on the effects of Gwakhyangjunggi-san gamibag on 9 obese children. J Korean Orient Pediatr. 2001 ; 15(1) : 183-94. 

  16. Kim JH, Park EJ. The antiobese effects of Gamikwakhyangjungkisan and fermented GamiKwakhyangjungkisan in preadipocytes and mice fed high fat diet. J Korean Orient Pediatr. 2015 ; 29(2) : 37-48. 

  17. Poulain M, Doucet M, Major GC, Drapeau V, Series F. The effect of obesity on chronic respiratory diseases: pathophysiology and therapeutic strategies. Can Med Assoc J. 2006 ; 174(9) : 1293-9. 

  18. Dixon JB, Bhathal PS, O'Brien PE.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predictors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nd liver fibrosis in the severely obese. Gastroenterology. 2001 ; 121(1) : 91-100. 

  19. Chitturi S, Abeygunasekera S, Farrell GC, Holmes-Walker J, Hui JM, Fung C, et al. NASH and insulin resistance: insulin hypersecretion and specific association with the insulin resistance syndrome. Hepatology. 2002 ; 35(2) : 373-9. 

  20. Wanless IR, Lentz JS. Fatty liver hepatitis (steatohepatitis) and obesity: an autopsy study with analysis of risk factors. Hepatology. 1990 ; 12(5) : 1106-10. 

  21. Yu AS, Keeffe EB.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Rev Gastroenterol Disord. 2002 ; 2(1) : 11-9. 

  22. Jones JR, Barrick C, Kim KA, Lindner J, Blondeau B, Fujimoto Y, et al. Deletion of PPARgamma in adipose tissues of mice protects against high fat diet-induced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Proc Natl Acad Sci U S A. 2005 ; 102(17) : 6207-12. 

  23. Caro JF, Sinha MK, Kolaczynski JW, Zhang PL, Considine RV. Leptin: the tale of an obesity gene. Diabetes. 1996 ; 45(11) : 1455-62. 

  24. Elmquist JK. Hypothalamic pathways underlying the endocrine, autonomic, and behavioral effects of leptin.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1 ; 25 Suppl 5 : S78-82. 

  25. Weigle DS, Bukowski TR, Foster DC, Holderman S, Kramer JM, Lasser G, et al. Recombinant ob protein reduces feeding and body weight in the ob/ob mouse. J Clin Investig. 1995 ; 96(4) : 2065-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