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초향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산화방지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the Agastache rugosa extract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9 no.3, 2017년, pp.331 - 337  

김보민 (세명대학교 자연약재과학과) ,  한영은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  이화진 (세명대학교 자연약재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배초향 추출물 및 분획별 생리활성 물질의 분포양상을 검정하기 위해 파이토케미컬 검색을 한 결과, 플라보노이드 확인시험에서 헥세인을 제외한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에서 양성반응을 확인하였다. 배초향 추출물의 극성에 따른 분획-헥세인,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의 산화방지 정도를 평가한 결과,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환원력 실험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이 다량의 폴리페놀을 함유하며 강력한 라디칼 소거 및 환원능력을 나타냈다. 또한 배초향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항염 활성을 평가한 결과, 지방질다당류로 활성화된 BV-2 microglia에서 발생하는 과량의 산화질소(II) 생성을 억제하였을 뿐 아니라, 산화질소(II) 생성 효소인 iNOS염증성 사이토카인 IL-6의 발현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강력한 산화방지 및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배초향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내의 활성물질을 확인하고자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배초향의 산화방지 물질로 잘 알려져 있는 로스마린산이 배초향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hexane, ethyl acetate, and butanol fractions obtained from Agastache rugosa extract, we measured the total polyphenol level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A. rugosa (AREA) displayed high phenolic levels,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강력한 산화방지 활성을 나타내는 배초향 에틸아세테이트 분획(AREA)에 대해 세포에서 발생하는 라디칼 생성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기로 하였다. 지방질다당류(LPS)로 처리한 BV-2 microglia에서 배초향 에틸아세테이트 분획(AREA)의 산화질소(II) 생성 정도를 평가한 결과, 지방질다당류 단독처리군에 비해 배초향 에틸아세테이트 분획(AREA)은 농도 의존적으로 산화질소(II) 생성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Fig.
  • 또한 폴리페놀 함량 측정법은 다양한 페놀성 물질들이 전자를 제공함으로써 기질을 환원시키는 산화방지 능력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폴리페놀 함량이 높다는 것은 산화 방지 능력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27,28). 따라서 배초향 추출물 및 각 분획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산화방지 활성이 강한 분획을 찾고자 하였다(Table 2). 배초향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AREA)에서 갈산으로 환산한 폴리페놀 함량이 186 mg/g인 반면, 헥세인(ARH) 및 뷰탄올(ARBu) 분획은 각각 31 mg/g 및 73 mg/g으로 확인되어 배초향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AREA)이 강한 산화방지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 Microglia는 뇌에 존재하는 큰 포식세포로서 일차면역체계를 담당하고 있지만(17), 다양한 면역자극에 의해 활성화되면 기능적 특성이 변화하여 산화질소(II) (nitric oxide, NO)와 같은 활성질소종, 활성산소종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등을 분비할 뿐 아니라, 만성염증상태와 같은 지속적인 면역 자극상태에서는 뉴런의 손상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8,1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배초향의 극성에 따른 분획별 산화방지 활성을 평가하고, 그 중 강력한 산화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분획에 대해 지방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로 유도된 BV-2 microglia에서의 산화질소(II) 및 염증인자 생성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여 배초향의 산화방지 및 항염증 기능성 식품소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플라보노이드(35), 리그난(36), 터펜(37) 및 알칼로이드(38) 등을 포함한 천연물 유래 항염증 분획 및 화합물들의 대부분은 iNOS 발현을 저해하여 과도한 산화질소(II)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방질 다당류로 활성화된 BV-2 microglia에서 산화질소(II) 생성억제효과를 나타낸 배초향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AREA)에 대해 산화질소(II) 생성효소인 iNOS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iNOS 단백질 및 mRNA level을 측정하였다. Fig.
  • 1B에서 나타난 것처럼 배초향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AREA) 처리군의 경우, 지방질다당류 단독처리군에 비해 농도의존적으로 iNOS 단백질 수준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β-actin 의 단백질 수준은 변화 없음을 확인하였다. 배초향 에틸아세테이트 분획(AREA)이 iNOS 단백질 발현에 대해 억제활성을 나타내었기에, 단백질 생성 전단계인 mRNA 단계에 대해서도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 하고자 하였다. 지방질다당류 단독처리군에 비해 배초향 에틸아세테이트 분획(AREA) 25 μg/mL에서 현저히 감소된 iNOS mRNA level을 확인하였으나, β-actin mRNA level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배초향의 정유성분의 종류는? 한방에서는 지상부를 ‘곽향’이라는 명칭으로 건위, 구풍, 소화, 두통, 구토 및 설사에 사용하고 위장병 치료에 중요한 약재로 사용해 왔다(1). 배초향의 정유성분으로 에스트라골(estragole), 아네톨(trans-anethole), 메틸 유게놀(methyl eugenol), 리모넨(limonene), 피넨(β-pinene) 및 티몰(thymol) 등이 보고되었으며(2,3), 이들 정유성분이 살선충작용(4) 및 항균작용(5-7)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배초향의 강력한 항산화 성분으로 로스마린산(rosmarinic acid)이 보고되었으며(8), 플로보노이드(flavonoid) 화합물인 아카세틴(acacetin)은 항치매(9) 및 간세포보호 효과가(10)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배초향이란? 배초향(Agastache rugosa O. Kuntze)은 꿀풀과(Labiat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방아 혹은 한국민트 (Korean mint)라고도 불리며 생선찌개 및 추어탕 등 각종 음식의 향료로서 오래 전부터 사용하여 왔다. 한방에서는 지상부를 ‘곽향’이라는 명칭으로 건위, 구풍, 소화, 두통, 구토 및 설사에 사용하고 위장병 치료에 중요한 약재로 사용해 왔다(1).
한방에서 사용된 배초향 지상부의 명칭과 용도는? Kuntze)은 꿀풀과(Labiat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방아 혹은 한국민트 (Korean mint)라고도 불리며 생선찌개 및 추어탕 등 각종 음식의 향료로서 오래 전부터 사용하여 왔다. 한방에서는 지상부를 ‘곽향’이라는 명칭으로 건위, 구풍, 소화, 두통, 구토 및 설사에 사용하고 위장병 치료에 중요한 약재로 사용해 왔다(1). 배초향의 정유성분으로 에스트라골(estragole), 아네톨(trans-anethole), 메틸 유게놀(methyl eugenol), 리모넨(limonene), 피넨(β-pinene) 및 티몰(thymol) 등이 보고되었으며(2,3), 이들 정유성분이 살선충작용(4) 및 항균작용(5-7)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Lee BY, Hwang JB.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gastache rugosa O. Kuntze extract by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8 (2000) 

  2. Zielinska S, Matkowski A. Phytochemistry and bioactivity of aromatic and medicinal plants from the genus Agastache (Lamiaceae). Phytochem. Rev. 13: 391-416 (2014) 

  3. Ahn B, Yang CB.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Bangah (Agastache rugosa O. Kuntze) herb.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582-586 (1991) 

  4. Li HQ, Liu OZ, Liu ZL, Du SS, Deng ZW. Chemical composition and nematicidal activity of essential oil of against Agastache rugosa Meloidogyne incognita. Molecules 18: 4170-4180 (2013) 

  5. Haiyan G, Lijuan H, Shaoyu L, Chen Z, Ashraf MA. Antimicrobial, antibiofilm and antitumor activities of essential oil of Agastache rugosa from Xinjiang, China. Saudi. J. Biol. Sci. 23: 524-530 (2016) 

  6. Shin S. Essential oil compounds from Agastache rugosa as antifungal agents against Trichophyton species. Arch. Pharm. Res. 27: 295-299 (2004) 

  7. Shin S, Kang CA. Antifung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of Agastache rugosa Kuntze and its synergism with ketoconazole. Lett. Appl. Microbiol. 36: 111-115 (2003) 

  8. Kim JB, Kim JB, Cho KJ, Hwang YS, Park RD.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activity of rosmarinic acid, a potent antioxidant extracted from Korean Agastache rugosa. J Korean Soc. Agri. Chem. Biotechnol. 42: 262-266 (1999) 

  9. Wang X, Perumalsamy H, Kwon HW, Na YE, Ahn YJ. Effects and possible mechanisms of action of acacetin on the behavior and eye morphology of Drosophila models of Alzheimer's disease. Sci. Rep. 5: 16127 (2015) 

  10. Cho HI, Park JH, Choi HS, Kwak JH, Lee DU, Lee SK, Lee SM. Protective mechanisms of acacetin against D-galactosamine and lipopolysaccharide-induced fulminant hepatic failure in mice. J. Nat. Prod. 77: 2497-2503 (2014) 

  11. Vincent L, Chen W, Hong L, Mirshahi F, Mishal Z, Mirshahi-Khorassani T, Vannier JP, Soria J, Soria C. Inhibition of endothelial cell migration by cerivastatin, an HMG-CoA reductase inhibitor: Contribution to its anti-angiogenic effect. FEBS Lett. 495: 159-166 (2001) 

  12. Cho HI, Hong JM, Choi JW, Choi HS, Kwak JH, Lee DU, Lee SK, Lee SM. Beta-Caryophyllene alleviates D-galactosamine and lipopolysaccharide-induced hepatic injury through suppression of the TLR4 and RAGE signaling pathways. Eur. J. Pharmacol. 764: 613-621 (2015) 

  13. Moon H, Kim MJ, Son HJ, Kweon HJ, Kim JT, Kim Y, Shim J, Suh BC, Rhyu MR. Five hTRPA1 agonist found in indigenous Korean mint, Agastache rugosa. PLoS One. 10: e0127060 (2015) 

  14. Oh HM, Kang YJ, Lee YS, Park MK, Kim SH, Kim HJ, Seo HG, Lee HG, Lee JH, Chang KC. Protein kinase G-dependent heme oxygenase-1 induction by Agastache rugosa leaf extract protects RAW 264.7 cells from hydrogen peroxide-induced injury. J. Ethnopharmacol. 103: 229-235 (2006) 

  15. Kim HK, Lee HK, Shin CG, Huh H. HIV integrase inhibitory activity of Agastache rugosa. Arch. Pharm. Res. 22: 520-523 (1999) 

  16. Rani V, Deep G, Singh RK, Palle K, Yadav UC. Oxidative stress and metabolic disorders: pathogenesis and therapeutic strategies. Life Sci. 148: 183-193 (2016) 

  17. Rivest S. Regulation of innate immune responses in the brain. Nat. Rev. Immunol. 9: 429-439 (2009) 

  18. Li L, Lu J, Tay SS, Moochhala SM, He BP. The function of microglia, either neuroprotection or neurotoxicity, is determined by the equilibrium among factors released from activated microglia in vitro. Brain Res. 1159: 8-17 (2007) 

  19. Lue LF, Kuo YM, Beach T, Walker DG. Microglia activation and anti-inflammatory regulation in Alzheimer's disease. Mol. Neurobiol. 41: 115-128 (2010) 

  20. Uddin R, Saha MR, Subhan N, Hossain H, Jahan IA, Akter R. Alam A. HPLC-analysis of polyphenolic compounds in Gardenia jasminoides and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by using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s. Adv. Pharm. Bull. 4: 273-281 (2014) 

  21. Aziz MA. Qualitative phytochemical screening and evaluation of anti-inflammatory, analgesic and antipyretic activities of Microcos paniculata barks and fruits. J. Integr. Med. 13: 173-184 (2015) 

  22. Padda MS, Picha DH. Methodology optimization for quantification of total phenolics and individual phenolic acids in sweetpotato (Ipomoea batatas L.) roots. J. Food Sci. 72: C412-C416 (2007) 

  23.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58) 

  24. Jasprica I, Bojic M, Mornar A, Besic E, Bucan K, Medic-Saric M. Evalu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Croatian propolis samples using DPPH* and $ABTS*^{+}$ stable free radical assays. Molecules 12: 1006-1021 (2007) 

  25. Quideau S, Deffieux D, Douat-Casassus C, Pouysegu L. Plant polyphenols:chemical properties, biological activities, and synthesis. Angew. Chem. Int. Ed. Engl. 50: 586-621 (2011) 

  26. Manach C, Williamson G, Morand C, Scalbert A, Remesy C. Bioavailability and bioefficacy of polyphenols in humans. I. Review of 97 bioavailability studies. Am. J. Clin. Nutr. 81: 230S-242S (2005) 

  27. Singleton VL, Rossi JA.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 16: 144-158 (1965) 

  28. Bray HG, Thorpe WV.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of interest in metabolism. Meth. Biochem. Anal. 1: 27-52 (1954) 

  29. Devasagayam TP, Tilak JC, Boloor KK, Sane KS, Ghsakadbi SS, Lele RD.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J. Assoc. Physicians India 52: 794-804 (2004) 

  30. Alfadda AA, Sallam RM. Reactive oxygen species in health and disease. J. Biomed. Biotechnol. 2012: 936486 (2012) 

  31. Khurana S, Piche M, Hollingsworth A, Venkataraman K, Tai TC. Oxidative stress and cardiovascular health: therapeutic potential of polyphenols. Can. J. Physiol. Pharmacol. 91: 198-212 (2013) 

  32. Jhee OH, Yang CB.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 from Bangah herb.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157-1163 (1996) 

  33. Moncada S, Palmer RM, Higgs EA. Nitric oxide:physiology, pathophysiology, and pharmacology. Pharmacol. Rev. 43: 109-142 (1991) 

  34. Geller DA, Billiar TR. Molecular biology of nitric oxide synthases. Cancer Metastasis Rev. 17: 7-23 (1998) 

  35. Hu C, Kitts DD. Luteolin and luteolin-7-o-glucoside form dandelion flower suppress iNOS and COX-2 in RAW 264.7 cells. Mol. Cell Biochem. 265: 107-113 (2004) 

  36. Lee HJ, Li H, Chang HR, Jung H, Lee DY, Ryu JH. (-)-Nyasol, isolated from Anemarrhena asphodeloides suppresses neuroinflammatory response through the inhibition of I-kBa degradation in LPS-stimulated BV-2 microglial cells. J. Enzyme Inhib. Med. Chem. 28: 954-959 (2013) 

  37. Lee HJ, Lim HJ, Lee DY, Jung H, Kim MR, Moon DC, Kim KI, Lee MS, Ryu JH. Carabrol suppresses LPS-induced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by inactivation of p38 and JNK via inhibition of I-kappa B alpha degradation in RAW 264.7 cells. Biochem. Biophys. Res. Commun. 391: 1400-1404 (2010) 

  38. Zhao F, Chen L, Zhang M, Bi C, Li L, Zhang Q, Shi C, Li M, Zhou S, Kong L. Inhibition of lipopolysaccharide-induced iNOS and COX-2 expression by indole alkaloid, 3-(hydroxymehtyl)-6,7-dihydroindolo[2,3-a]quinolizin-(12H)-one, via NF- ${\kappa}B$ inactivation in RAW 264.7 macrophages. Planta Med. 79: 782-787 (2013) 

  39. Erkan N, Ayranci G, Ayranci E. Antioxidant activities of rosemary (Rosmarinus officinalis L.) extract, blackseed (Nigella sativa L.) essential oil, carnosic acid, rosmarinic acid and sesamol. Food Chem. 110: 76-82 (2008) 

  40. Huang N, Hauck C, Yum MY, Rizshsky L, Widrlechner MP, McCoy JA, Murphy PA, Dixon PM, Nikolau BJ, Birt DF. Rosmarinic acid in Prunella vulgaris ethanol extract inhibits lipopolysaccharide-induced prostaglandin E2 and nitric oxide in RAW 264.7 mouse macrophages. J. Agric. Food Chem. 57: 10579-10589 (2009) 

  41. Fallarini S, Miglio G, Paoletti T, Minassi A, Amoruso A, Bardelli C, Brunelleschi S, Lombardi G. Clovamide and rosmarinic acid induce neuroprotective effects in in vitro models of neuronal death. Br. J. Pharmacol. 157: 1072-1084 (2009) 

  42. Domitrovic R, Skoda M, Vasiljev Marchesi V, Cvijanovic O, Pernjak Pugel E, Stefan MB. Rosmarinic acid ameliorates acute liver damage and fibrogenesis in carbon tetrachloride-intoxicated mice. Food Chem. Toxicol. 51: 370-378 (2013) 

  43. Zhu F, Asada T, Sato A, Koi Y, Nishiwaki H, Tamura H. Rosmarinic acid extract for antioxidant, antiallergic,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isolated by supramolecular technique and solvent extraction from Perilla leaves. J. Agr. Food Chem. 62: 885-892 (2014) 

  44. Xu Y, Jiang Z, Ji G, Liu J. Inhibition of bone metastasis from breast carcinoma by rosmarinic acid. Planta Med. 76: 956-962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