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활습관중재가 부인암 환자의 피로와 영양상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ifestyle Intervention on Fatigue, Nutri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Gynecologic Cancer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5 no.6, 2015년, pp.812 - 822  

안현진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노주희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  유선영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김현민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노민지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유호정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lifestyle intervention on the development of fatigue, nutri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gynecologic cancer.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49 patient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상자 건강행위 상호작용모델은 동기화가 유발되어 건강증진을 위한 생활양식을 결정하고, 수행과 결과에 영향을 주는 요소사이에 포괄적인 상호작용이 병행 된다는 점에서 부인암 환자의 생활습관중재를 적용하는 데 적합한 모델이다. Cox [16]의 대상자 건강행위 상호작용모델은 대상자 고유요소, 대상자-전문가 상호작용요소, 대상자의 건강산출요소로 구성되며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일반적, 임상적인 건강특성을 확인한 후 부인암 환자-간호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건강산출요소인 피로, 영양상태와 삶의 질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 특히, 단백질과 야채 섭취에 관련된 오해에 대해 환자에게 지속적이고 정확한 영양교육을 시행한 것이 부인암 환자의 영양 개선에 기여를 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대상자와 긴밀한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간호사가 주축이 된 암 환자 영양교육과 전문적 지식을 배경으로 한 정확한 영양 사정이 부인암 환자의 심각한 영양 장애 발생률을 감소시켰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미가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Cox의 대상자 건강행위 상호작용모델에 근거한 신체활동과 영양교육이 포함된 생활습관중재가 부인암 환자의 피로와 영양상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부인암 환자의 일상생활 복귀를 향상시키고 건강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 연구 결과, 생활습관중재는 부인암 환자의 피로감소, 영양상태 개선, 삶의 질의 하부영역 중 사회/가족 안녕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신체활동과 영양교육이 포함된 생활습관중재를 치료 중인 부인암 환자에게 적용하여 효과와 적용 가능성을 처음으로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Cox의 대상자 건강행위 상호작용모델에 기반한 신체활동과 영양교육이 접목된 6주간의 생활습관중재가 부인암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중재를 제공한 부인암 환자의 피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영양상태 및 사회/가족 영역의 삶의 질이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부인암 환자의 건강증진을 위해 Cox의 대상자건강행위 상호작용모델을 기반으로 한 생활습관중재를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함이다.
  • 대조군에게는 항암화학요법시 제공되는 일반적인 간호중재인 전반적인 항암치료 과정, 작용, 부작용, 식이, 운동에 대한 책자를 통한 교육을 시행하였으며, 설문지 회수 후 중재 프로그램이 담긴 안내책자와 동영상 CD를 제공하였다. 설문지 작성 및 면담은 대상자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기 위해 조용한 면담실에서 이루어졌으며, 설문지 작성 및 면담 도중 연구 참여 대상자가 원하지 않으면 참여를 거부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연구에 자발적인 참여를 보장하도록 하였다. 연구 자료와 증례기록서는 암호를 사용하여 접근할 수 있는 방의 잠금장치가 있는 파일 캐비닛에 넣어 보관하였고, 수집된 정보의 기밀유지를 위해 연구자만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암 환자에게 신체활동과 건강한 식이형태를 갖춘 생활습관은 암환자의 예후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추천되는 바[12], 신체활동과 영양교육이 포함된 6주간의 생활습관중재가 부인암 환자의 피로와 영양상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생활습관중재는 부인암 환자의 피로감소, 영양상태 개선, 삶의 질의 하부영역 중 사회/가족 안녕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따라서, 본 연구는 Cox의 대상자 건강행위 상호작용모델에 근거한 신체활동과 영양교육이 포함된 생활습관중재가 부인암 환자의 피로와 영양상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부인암 환자의 일상생활 복귀를 향상시키고 건강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 그러나 치료 중인 암 환자가 부작용 경험 시 신체활동의 양과 정도는 대상자가 힘들어하지 않는 정도로 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은 없는 상태이다[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암화학요법 중인 환자가 대상자로 치료 후 부작용을 경험하는 시기에는 고강도의 신체활동을 하는 것이 어려울 것으로 생각하여, 중간정도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된 30분간의 신체활동을 매일 시행하도록 하였고 부작용이 심할 경우에는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가능한 정도까지 하도록 하였다. 완화요법(palliative care)을 받고 있는 환자에게 신체활동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본 연구에 따르면[26], 50분의 그룹운동을 1주일에 2번씩 6주간 시행하였고 이러한 운동량은 환자에게 무리가 되지 않고 피로 감소에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가설 설정

  • 1) 생활양식중재를 시행한 군은 시행하지 않은 군보다 피로가 낮을 것이다.

  • 2) 생활양식중재를 시행한 군은 시행하지 않은 군보다 영양상태가 좋을 것이다.

  • 3) 생활양식중재를 시행한 군은 시행하지 않은 군보다 삶의 질이 높을 것이다.

  • 가설 3. 생활습관중재를 시행한 군은 시행하지 않은 군보다 삶의 질이 높을 것이다.
  • 가설 2. 생활습관중재를 시행한 군은 시행하지 않은 군보다 영양 상태가 좋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인암은 무엇인가? 부인암은 여성생식기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대표적으로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등이 있으며 국내 여성에게 발생하는 암의 15%를 차지하고 있다[1]. 부인암 환자는 암이라는 질환 뿐만 아니라, 수술, 항암제, 방사선 등과 같은 치료를 함으로써 다양한 증상들을 경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삶의 질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2].
생활습관의학이란 무엇인가? 생활습관의학(lifestyle medicine)은 건강 유지 증진을 위한 생활 양식과 관련된 건강문제를 다루면서 환경, 행동, 의학, 동기유발의 원칙을 제공하고 신체활동, 영양, 스트레스 관리, 금연 및 비약물적인 다양한 활동들을 적용하는 것으로 정의된다[11]. 미국 암협회에서는 암 환자가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신체활동, 건강한 식이, 정상 체중유지와 금연을 하는 생활습관이 필요하다고 하였고[12], 호주 정부에서는 SNAP (Smoking, Nutrition, Alcohol, Physical Activity) 체계를 의료현장에 배포하여 의료진들이 생활습관에 관심을 갖고 중재를 하도록 하였다[13].
생활습관중재가 부인암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연구 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Cox의 대상자 건강행위 상호작용모델에 기반한 신체활동과 영양교육이 접목된 6주간의 생활습관중재가 부인암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중재를 제공한 부인암 환자의 피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영양상태 및 사회/가족 영역의 삶의 질이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부인암 환자의 건강 증진을 위해서는 신체활동과 영양교육이 포함된 생활습관중재를 전문가인 간호사가 대상자와 긴밀한 상호작용을 통해 시행해나가는 중재가 적절하다고 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National Cancer Center.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09.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2. von Gruenigen VE, Frasure HE, Kavanagh MB, Lerner E, Waggoner SE, Courneya KS. Feasibility of a lifestyle intervention for ovarian cancer patients receiving adjuvant chemotherapy. Gynecologic Oncology. 2011;122(2):328-333. http://dx.doi.org/10.1016/j.ygyno.2011.04.043 

  3. Lawrence DP, Kupelnick B, Miller K, Devine D, Lau J. Evidence report on the occurrenc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fatigue in cancer patients.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Monographs. 2004;32:40-50. http://dx.doi.org/10.1093/jncimonographs/lgh027 

  4. Mock V, Pickett M, Ropka ME, Muscari Lin E, Stewart KJ, Rhodes VA, et al. Fatigue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of exercise during cancer treatment. Cancer Practice. 2001;9(3):119-127. 

  5. Cramp F, Daniel J. Exercise for the management of cancer-related fatigue in adult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08;2:CD006145.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6145.pub2 

  6. Albrecht TA, Taylor AG. Physical activity in patients with advanced- stage cancer: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12;16(3):293-300. http://dx.doi.org/10.1188/12.cjon.293-300 

  7. Sternfeld B, Weltzien E, Quesenberry CP, Jr., Castillo AL, Kwan M, Slattery ML, et al. Physical activity and risk of recurrence and mortality in breast cancer survivors: Findings from the LACE study.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and Prevention. 2009;18 (1):87-95. http://dx.doi.org/10.1158/1055-9965.epi-08-0595 

  8. Nho JH. Effect of PLISSIT model sexual health enhancement program for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and their husban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5):681-689. http://dx.doi.org/10.4040/jkan.2013.43.5.681 

  9. Nho JH, Kim SR, Kang GS, Kwon YS. Relationships among malnutri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gynecologic cancer receiving chemotherap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4;20(2):117-125. http://dx.doi.org/10.4069/kjwhn.2014.20.2.117 

  10. Morey MC, Snyder DC, Sloane R, Cohen HJ, Peterson B, Hartman TJ, et al. Effects of home-based diet and exercise on functional outcomes among older, overweight long-term cancer survivors: RENEW: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9;301(18):1883-1891. http://dx.doi.org/10.1001/jama.2009.643 

  11. Egger G, Binns A, Rossner S. Lifestyle medicine: Managing diseases of lifestyle in the 21st century. 2nd ed. Research of Lifestyle Medicine, translator. North Ryde, NSW: McGraw-Hill; 2011. 

  12. Doyle C, Kushi LH, Byers T, Courneya KS, Demark-Wahnefried W, Grant B, et 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during and after cancer treatment: An American Cancer Society guide for informed choices.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2006;56(6):323-353. 

  13. The Royal Australian College of General Practitioners. Smoking, nutrition, alcohol, physical activity (SNAP): A population health guide to behavioural risk factors in general practice [Internet]. Melbourne, AU: Author; 2015 [cited 2015 July 10]. Available from: http://www.racgp.org.au/download/Documents/Guidelines/snap.pdf. 

  14. Hudon C, Fortin M, Soubhi H. Single risk factor interventions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among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Systematic review. Canadian Family Physician. 2008;54(8):1130-1137. 

  15. von Gruenigen VE, Courneya KS, Gibbons HE, Kavanagh MB, Waggoner SE, Lerner 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a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in obese endometrial cancer patients: A randomized trial. Gynecologic Oncology. 2008;109(1):19-26. http://dx.doi.org/10.1016/j.ygyno.2007.12.026 

  16. Cox CL. An interaction model of client health behavior: Theoretical prescription for nursing. AN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82;5(1):41-56. 

  17. Park MN, Choi SY. Development of reproductive health program and identification of effect for married women immigr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3):248-258. http://dx.doi.org/10.4040/jkan.2014.44.3.248 

  18. Van Belle S, Paridaens R, Evers G, Kerger J, Bron D, Foubert J, et al. Comparison of proposed diagnostic criteria with FACT-F and VAS for cancer-related fatigue: Proposal for use as a screening tool. Supportive Care in Cancer. 2005;13(4):246-254. http://dx.doi.org/10.1007/s00520-004-0734-y 

  19. Ottery FD. Definition of standardized nutritional assessment and interventional pathways in oncology. Nutrition. 1996;12(1 Suppl): S15-S19. 

  20. Bauer J, Capra S, Ferguson M. Use of the scored Patient-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PG-SGA) as a nutrition assessment tool in patients with cancer.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2;56(8):779-785. http://dx.doi.org/10.1038/sj.ejcn.1601412 

  21. Cella DF. FACIT manual: Manual of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hronic illness therapy (FACIT) measurement system. 4th ed. Evanston, IL: Center on Outcomes, Research and Education; 1997. 

  22. Cho MY, Park JY, Lee CE, Song SK, Lee SH, Byun ES, et al. The effect of a video exercise program on cancer-related fatigue, physical function and emotional status in patients with cancer during chemotherap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2;18(3):368-380. 

  23. Vickers AJ, Altman DG. Statistics notes: Analysing controlled trials with baseline and follow up measurements. BMJ: British Medical Journal. 2001;323(7321):1123-1124. 

  24. Demark-Wahnefried W, Peterson B, McBride C, Lipkus I, Clipp E. Current health behaviors and readiness to pursue life-style changes among men and women diagnosed with early stage prostate and breast carcinomas. Cancer. 2000;88(3):674-684. 

  25. Speck RM, Courneya KS, Masse LC, Duval S, Schmitz KH. An update of controlled physical activity trials in cancer survivo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Cancer Survivorship. 2010;4(2):87-100. http://dx.doi.org/10.1007/s11764-009-0110-5 

  26. Oldervoll LM, Loge JH, Paltiel H, Asp MB, Vidvei U, Wiken AN, et al. The effect of a physical exercise program in palliative care: A phase II study.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2006;31(5):421-430. http://dx.doi.org/10.1016/j.jpainsymman.2005.10.004 

  27. Alshadwi A, Nadershah M, Carlson ER, Young LS, Burke PA, Daley BJ. Nutritional considerations for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2013;71(11):1853-1860. http://dx.doi.org/10.1016/j.joms.2013.04.028 

  28. Byun MS, Kim NH. Energy intake and fatigue in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Th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2;14(4):258-267. http://dx.doi.org/10.7586/jkbns.2012.14.4.258 

  29. Dhillon HM, van der Ploeg HP, Bell ML, Boyer M, Clarke S, Vardy J. The impact of physical activity on fatigue and quality of life in lung cancer patients: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protocol. BMC Cancer. 2012;12:572. http://dx.doi.org/10.1186/1471-2407-12-572 

  30. Pierce JP, Faerber S, Wright FA, Rock CL, Newman V, Flatt SW, et al. A randomized trial of the effect of a plant-based dietary pattern on additional breast cancer events and survival: The Women's Healthy Eating and Living (WHEL) study. Controlled Clinical Trials. 2002;23(6):728-7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