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악치료가 Paclitaxel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말초 신경병성 통증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usic Therapy as Intervention on Peripheral Neuropathic Pain and Anxiety of Gynecologic Cancer Patients Undergoing Paclitaxel Chemotherapy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7 no.3, 2011년, pp.215 - 224  

노기옥 (삼성서울병원 부인종양) ,  황문숙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  조금숙 (삼성서울병원 서7병동) ,  임정아 (삼성서울병원 동7 병동) ,  강미경 (삼성서울병원 동7 병동) ,  김효진 (삼성서울병원 서7 병동) ,  김지연 (숙명여자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sic therapy as intervention on peripheral neuropathic pain and anxiety of gynecologic cancer patients who were undergoing paclitaxel chemotherapy. Methods: Hospitalized 62 patient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n=30) and a control gr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음악치료가 Paclitaxel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말초 신경병성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다.
  • 본 연구는 Paclitaxel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에게 음악치료를 적용하여 말초 신경병성 통증과 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음악치료가 Paclitaxel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말초 신경병성 통증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실시한 유사 실험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를 사용하였다(Table 1).
  • 본 연구는 음악치료가 Paclitaxel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말초 신경병성 통증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에 따라 설정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종속변수인 말초 신경병성 통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리적 변인으로 선행논문(Chen, Chang, & Yeh, 2000)에서 제시되고 있는 우울의 영향력을 배제하고자 사전 조사에서는 대상자의 우울을 함께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음악치료를 적용하여 항암화학요법을 투여 받는 부인암 환자의 말초 신경병성 통증 및 불안이 감소되는가를 실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이론적 기틀은 다음과 같다(Figure 1).
  • 그러나 표준 예방법이나 치료법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관문통제이론에 의거하여 임상현장에서 시도된 마사지, 접촉과 같은 자극요법, 전기 신경자극, 열과 냉의 적용 등의 통증조절을 위한 간호중재방법 중의 하나로 음악치료를 적용해 보고자 한다. 관문통제이론을 근간으로 통증조절에 대한 음악치료의 적용은 동기유발정의 영역 및 중추 조절 과정과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 음악은 멜로디, 리듬, 음색, 빠르기 등의 요소들이 합쳐져서 하나의 의미를 갖도록 체계화된 비침습적인 치료도구로서 인간의 정서에 작용하여 심리적, 신체적 반응에 영향을 미쳐 통증을 완화시키고, 이완감을 증가시키며, 안위의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Kim & Han, 1996; Wallace, 2001). 이에 본 연구는 Paclitaxel 항암화학요법을 위해 입원한 부인암 환자를 대상으로 1회의 음악치료를 제공함으로써 말초 신경병성 통증이 완화되고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를 검증하여, 음악치료 중재의 실무적용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전하고 편안한 환경에서 자신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설정된 음악치료가 Paclitaxel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말초 신경병성 통증과 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며, 그 결과는 음악치료 중재의 실무적용을 위한 근거로 활용될 것이다.

가설 설정

  • 가설 1. 음악치료를 받은 실험군의 말초 신경병성 통증 점수는 대조군 보다 낮을 것이다.
  • 가설 2. 음악치료를 받은 실험군의 불안 점수는 대조군 보다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악치료란 무엇인가? 음악치료는 음악치료사가 음악을 이용하여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감정적 상태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고자 시행한 일체의 활동으로(American National Association of Music Therapy [ANAMT], 2005), 본 연구에서의 음악치료는 전문 음악치료사에 의해 진행된 1시간의 프로그램으로 음악 감상, 즉흥연주를 포함한 악기연주, 노래 부르기와 노래 만들기로 구성된 활동을 말한다.
부인암 치료를 하며 항암화요법으로 인해 발생하는 말초 신경병성 통증을 줄일 수 있는 중재적 접근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해 유발되는 부작용은 투여되는 약제의 종류에 따라 조금씩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최근 부인암 치료에는 Paclitaxel 이라는 항암화학 약제가 기준요법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Paclitaxel은 강력한 항암작용을 가지고 있으나 저 용량이더라도 반복 투여에 의한 신경학적 독성, 즉 말초 신경병성 통증이 문제가 된다(Postma, Vermorken, Liefting, Pinedo, & Heimans, 1995). Paclitaxel 투여로 인해 유도되는 신경학적 독성의 경우 많게는 약제를 투여 받은 대상자의 90% 이상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되기도 한다, 초기 증상은 사지 말단부의 저린감과 무감각 및 통증이고 장기적인 증상발현으로 인해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불편감이 되고 있다(Viens et al., 2006).
관문통제이론은 어떻게 나누어 설명할 수 있는가? 본 연구에서의 이론적 기틀은 Melzack과 Wall (1965)이제시한 관문통제이론(gate control theory)을 근거로 하였다. 관문통제이론은 관문통제계(gate control system)가 시작되는 말초신경 단계, 척수에서 신경이 전달되는 척수 단계, 대뇌로 전달되는 대뇌전달 단계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대뇌전달 단계에서는 대뇌의 특정 부위에 따른 감각식별계, 동기유발정의계 그리고 중추 조절 과정이 작용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merican National Association of Music Therapy [ANAMT] (2005). What is the music therapy, from http://www. musictherapy.org/ 

  2. Amstorng, T., Almadrones, L., & Gilbert, M. R. (2005). Chemotherapy- 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Oncology Nursing Forum, 32(2), 305-311. 

  3. Chen, M. L., Chang, H. K., & Yeh, C. H. (2000). Anxiety and depression in Taiwanese cancer patients with and without pai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2(4), 944-951. 

  4. Colwell, C. M. (1997). Music as distraction and relaxation to reduce chronic pain and narcotic ingestion: A case study. Music Therapy Perspectives, 15(1), 24-31. 

  5. Frisch, A. (1990). Symbol and structure: Music therapy for the adolescent psychiatric inpatient. Music Therapy, 9(1), 16-34. 

  6. Hong, M. S. (2008).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comfort in terminal canc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University, Daegu. 

  7.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 [IASP]. (2001). History, definitions, and contemporary viewpoints-IASP, from http://www.iasp-pain.org/AM/Template 

  8. Jung, S. E. (1992). A case study of Psychology in patient undergoing hysterectom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9. Kim, G. S. (2000).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reduction of pain, anxiety, and vital sign in the exchange of burn wound dres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onnam University, Gwangju. 

  10. Kim, J. T., & Sin, D. G. (1978). The Korean standardization of the STAI. New Medical Journal, 21(11), 68-75. 

  11. Kim, S. Y. J., & Han, G. S. (1996).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anxiety in neurot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6(4), 889-901. 

  12. Lee, I. S. (2003). Depression, anxiety, and spouse support in married women who had received gynecologic cancer trea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17(1), 58-68. 

  13. Lee, J. H. (2005).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anxiety, nausea and vomiting in patient receiving total body irradiation fo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14. Lee, M. S. (2006).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anxiety and depression of breast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15. Melzack, R., & Wall, P. D. (1965). Pain mechanism: A new theory. Science, 150(19), 971-979. 

  16. Postma, T. J., Vermorken, J. B., Liefting, A. J., Pinedo, H. M., & Heimans, J. J. (1995). Paclitaxel induced neuropathy. Annual Oncology, 6(5), 489-494. 

  17. Razavi, D., Delvaux, N., Farvacques, C., De Barier, F., Van Heer, C., & Kaufman, L. (1993). Prevention of adjustment disorders and anticipatory nausea secondary to adjuvant chemotheraphy: A double blind placebo controlled study assessing the usefulness of alprazolam.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11(7), 1384-1390. 

  18. Sim, J. C. (2003). Trends in the treatment of primary ovarian cancer. Dongguk Medical Journal, 10(2), 17-24. 

  19. Song, O. H. (1977). A study of the SDS on psychiatric out patients clinic. Journal of Neuropsychiatry, 16(1), 84-93. 

  20. Spielberger, C. D. (1972). Anxiety as an emotional state. In C. D. Spielberger (Ed.), 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Academic Press. 

  21. Statistics Korea. (2007). Cancer occurrence ratio in Korea - women, 2007, from Statistics Korea Web site: http:// www.kostate.go.kr 

  22. Thaut, M. H. (1989). The influence of music therapy interventions on self-rated changes in relaxation, affect, and thought in psychiatric prisoner-patients. Journal of Music Therapy, 26(3), 155-166. 

  23. Viens, P., Petit, T., & Yovine, A. (2006). A phase II study of a paclitaxel and oxaliplatin combination in platinum-sensitive recurrent advanced ovarian cancer patients. Annual Oncology, 17(3), 429-436. 

  24. Wallace, J. H. (2001). The effect of music intervention on anxiety in the patient waiting for cardiac catheterization.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17 , 279-285. 

  25. Yang, H. J. (2004). The effect of music therapy after the trauma care on alleviation of depression and pain. Unpublished master's thesis, Busan University, Busan. 

  26. Yu, H. S. (2002). The effect of music intervention on anxiety of terminal cancer patient through music appreci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Graduate School of Music Therapy, Seoul. 

  27. Zung, W. W. (1965).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2 , 63-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