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등 수학교사의 과제 이해 및 변형 능력 : 인지적 노력 수준 중심으로
Investigating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Capacity to Select and Pose Cognitively Demanding Tasks 원문보기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7 no.4, 2015년, pp.633 - 652  

김정은 (목포중앙여자중학교) ,  이수진 (한국교원대학교) ,  김지수 (분당중앙고등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등 수학 교사가 수업 목표와 함께 제시된 교과서의 수학 과제를 해결하는 데 요구되는 인지적 노력수준 (Stein, Grover, & Henningsen, 1996)을 어떻게 이해하며, 과제에 대하여 실제 유발된 학생들의 인지적 노력 수준을 어떻게 선별하고, 그 학생에게 더 높은 인지적 노력 수준을 유발할 수 있도록 어떻게 과제를 변형하여 제기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함수 영역의 설문지를 개발하여 현직 중고등학교 교사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수업 목표에 따라 낮은 수준의 과제와 높은 수준의 과제를 적절하게 선별할 수 있었지만, 높은 수준의 과제를 높은 수준의 과제라고 선택하는 기준이 학생들의 인지노력 수준보다는 과제의 외형적 요소였다. 둘째, 비록 주목하는 부분은 다르더라도 대부분의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유발된 인지적 노력 수준을 적절히 판단할 수 있었고, 이를 기반으로 그 학생들에게 높은 인지적 노력 수준을 유발할 수 있는 과제로 변형할 수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더 높은 인지적 노력 수준이 유발되는 과제로 변형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문제 상황의 일반화, 조건 또는 맥락의 변화)을 이용하였는데, 실생활 관련 소재로 맥락화하는데 한계를 느끼는 교사들이 많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wofold: one is to understand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capacity to sort out given tasks based on Stein & Smith(1998)'s Cognitive Demands of Mathematical Task Framework; the second is to examine how the teachers assess the levels of cognitive demand indic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사들은 에 제시된 보기 3의 수학과제와 그에 따른 학생에 응답을 평가하고, 그렇게 평가한 이유를 학생의 응답을 토대로 밝히고, 학생에게 그러한 수준을 유발하는데 영향을 미친 과제의 특성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설명하도록 하였다.
  • 교사들이 수학과제에 대한 학생의 응답을 평가하고, 각각의 학생에게 적합한 높은 인지적 노력 수준을 유발할 수 있는 과제로 변형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들에게 인지적 노력 수준과 각 수준의 특성을 정리하여 제시해 교사들이 인지적으로 더 많은 노력을 요구하는 과제라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를 이해하고 설문에 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사들은 <표 IV-4> 에 제시된 보기 3의 수학과제와 그에 따른 학생에 응답을 평가하고, 그렇게 평가한 이유를 학생의 응답을 토대로 밝히고, 학생에게 그러한 수준을 유발하는데 영향을 미친 과제의 특성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설명하도록 하였다.
  • 이는 교사가 과제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학생에게 유발될 것이라고 생각되는 인지적 노력수준이 high-level이라고 할지라도 실제로 그 학생에게 유발된 인지적 노력 수준은 다를 수 있고, 이에 대하여 교사는 그 학생의 인지구조를 이해 하여 그에 맞는 수학과제로 변형하여 높은 수학적 사고력을 유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시사한다. 그러나 학생들의 사고를 매개체로 하여 교사의 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을 고려한 국내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교사가 교과서의 수학과제들을 어떻게 이해하여 선별하는지, 과제에 대한 학생의 응답을 어떻게 평가하고 그 학생에게 높은 인지적 노력 수준을 유발할 수 있도록 과제를 어떻게 변형하여 제기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예비교사들은 자신이 맡은 학생의 수준에 맞는 수학 과제를 개발하고 학생에게 풀어보게 한 뒤, 학생에게 실제 유발된 인지적 노력 수준을 고려하여 수학 과제를 다시 분석하고 변형하는 활동을 하였다. 논문에서는 특히 두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학생에게 과제를 제시하고 답안을 받는 과정 속에서 기대한 인지적 노력수준을 이끌지 못한 과제에 대해 어떻게 설명하고 자신이 맡았던 학생에게 더 높은 수준의 과제로 이끌기 위해 어떻게 수정하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두 교사는 학생에게 기대한 높은 수준의 인지적 노력 수준이 유발되지 않았을 때, 그 원인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변형한 문제의 종류와 그에 따라 학생에게 실제로 유발된 인지적 노력 수준의 차이가 있었다.
  • 본 연구는 현직 중등 수학교사들의 중학교 함수 단원의 수학과제 선별 능력과, 과제에 대한 다양한 학생들의 응답을 어떻게 평가하고, 그 학생에게 더 높은 인지적 노력 수준을 유발할 수 있도록 수학 과제를 어떻게 변형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개발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분석한 조사 연구이다. 앞서 논의한 분석결과는 다음의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 본 절에서는 수학 과제를 분석하는 하나의 기준이 되는 Stein & Smith(1998)의 인지적 노력수준과 높은 수준의 수학과제의 가치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한 내용을 기술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Stein & Smith(1998)의 인지적 노력수준이라는 분석틀을 이용하여 수학교사의 과제 이해 능력을 확인하고, 학생의 수준에 적합하며 높은 인지적 노력수준을 요구할 수 있는 과제로의 변형 과정에서 나타나는 양상을 살펴 봄으로써 과제 제기 능력을 분석하고, 수학교사가 학생들을 고려하여 과제 설정 단계에서 적절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과제란? 수학과제란 학생들의 수학적 아이디어의 계발을 위한 지적 배경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학생들이 참여하게 되는 프로젝트, 질문, 문제, 구성, 적용, 연습을 말하고(NCTM, 2000), 수학 아이디어를 계발하는데 기여하는 교실 활동의 일부분을 일컫는다(Stein et al., 2009).
교과서의 수학과제는 어떤 한계점이 있는가? 수학교사들은 수업 전반에 걸쳐 교과서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수업구성과정에서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교실환경과 상황에 맞게 재구성 하여 활용하고 있다(김민혁, 2013). 그러나 Stein & Smith(1998)의 분석틀에 따라 교과서의 수학과 제들의 수준을 분석한 연구들을 보면 교과서의 수학과제가 대부분 낮은 인지적 노력수준의 과제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공통적으로 말하고 있다(홍창준ㆍ김구연, 2012; 권지현ㆍ김구연, 2013;김미희ㆍ김구연, 2013). 제시된 수학과제의 수준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학생들의 수학 수준이 높아진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높은 수준의 수학과제는 학생들의 높은 성취를 위한 필요조건 (Stein, Smith, Henningnsen, Silver, 2009)이라는 점에서 교사들은 높은 수준의 과제를 설정할 수있어야 한다.
수학과제 프레임웍에서 과제 설정 단계에서의 수학 과제는 무엇을 포함하는가? 수학과제 프레임웍에서 수학과제는 세 단계로 나누어지는데 첫 번째는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에 표현된 과제, 두 번째는 과제 설정 단계에서의 과제, 세 번째는 수업에서 학생들에 의해 실행된 과제이다. 과제 설정단계에서의 수학과제는 교사의 입장에서 학생이 기대되는 것이 무엇인지, 그것을 어떻게 하기를 바라는지, 어떤 자료를 가지고 그렇게 할 것인지를 포함한다. 과제 실행 단계는 학생들이 과제를 풀기 시작했을 때부터 교사, 학생이 다른 과제로 관심 돌릴 때까지 실제 학생의 수행에 관한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교육과학기술부(2011). 수학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8]). 

  2. 권지현.김구연(2013).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기하영역의 수학과제 분석. 수학교육, 52(1), 111-128. 

  3. 김대영.김구연(2014). 중등 수학교사의 교과서 수학과제 이해 및 변형 능력. 학교수학, 16(3), 445-469. 

  4. 김미희.김구연(2013). 고등학교 교과서의 수학 과제 분석. 학교수학, 15(1), 37-59. 

  5. 김민혁(2013). 수학교사의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활용도 조사. 학교수학, 15(3), 503-531. 

  6. 김성희.방정숙(2005). 수학 교수?학습 과정에서 과제의 인지적 수준 분석-초등학교 '비와 비율' 단원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5(3), 251-272. 

  7. 이미연.오영열(2007). 수학적 과제가 수학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학연구, 17(4), 395-418. 

  8. 이혜림(2013). 수학교과서 문제에 대한 예비중등교사의 이해 및 구성능력.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이혜림.김구연(2013). 수학교과서 문제에 대한 예비중등교사의 이해 및 변형 능력. 수학교육학연구, 23(3), 353-371. 

  10. 홍창준(2011). 인지적 노력 수준에 따른 중학교 함수 단원의 수학 과제 분석.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홍창준.김구연(2012). 중학교 함수 단원의 수학과제 분석. 학교수학, 14(2), 213-232. 

  12.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13. Lester, F. K., & Kehle, P. E. (2003). From problem solving to modeling: The evolution of thinking about research on complex mathematical activity. In R. Lesh & H. M. Doerr (Eds.), Beyond constructivism (pp. 501-518). Mahwah, NJ: Lawrence Erlbaum. 

  14. Norton, A., & Kastberg, S. (2012). Learning to pose cognitively demanding tasks through letter writing.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5(2), 109-130. 

  15. Simon, M., & Tzur, R. (2004). Explicating the role of mathematical tasks in conceptual learning: An elaboration of the hypothetical learning trajectory.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6, 91-104. 

  16. Stein, M. K., & Lane, S. (1996). Instructional tasks and the development of student capacity to think and reason: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in a reform mathematics project. Educational Research and Evaluation, 2(1), 50-80. 

  17. Stein, M. K., & Smith, M. S. (1998). Mathematical tasks as a framework for reflection: from research to practice.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3(4), 268-275. 

  18. Stein, M. K., Smith, M. S., Hennignsen, M. A., & Silver, E. A. (2009). Implementing standardsbased mathematics instruction: A casebook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2nd ed.).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19. Sztajn, P., Confrey, J., Wilson, P. H., & Edgington, C. (2012). Learning trajectory based instruction: toward a theory of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41(5), 147-15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