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아르바이트 경험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rt-time employment experience o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in dental hygiene student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5 no.6, 2015년, pp.1033 - 1041  

신선행 (삼육보건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part-time employment experience o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in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88 dental hygien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4.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재학 시기에 아르바이트 경험이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면 그러한 효과를 최대화 하는 방향으로 아르바이트를 이용함이 타당하고 부정적인 영향력을 가져온다면 그대로 방치할 것이 아니라 교육적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교내실습과 의료기관 현장 실습을 통하여 교육현장에서 강조하는 전문 기술직에 대한 의식이 증대되고 있으며, 국가시험을 비롯하여 전문직에 필요한 다양한 자격증 취득이라는 당면과제로 취업에 관하여 많은 고민을 하고 있는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아르바이트 경험에 대한 다양한 특성들을 이해하고 아르바이트 경험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대학생활적응에 긍정적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생의 시간제 취업이란 무엇인가? 학생의 시간제 취업(part-time employment)이란 상시 또는 전일제 고용이 아닌 형태로 돈을 받고 일을 하는 행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편의상 아르바이트라고 불러 왔다.
학업과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는 학생의 경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학업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 지속하는 아르바이트는 경험 자체만으로도 많은 스트레스를 주고 학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10). Koeske와 Koeske11)는 학업과 아르바이트를 병행하고 있는 학생의 경우 우울, 불안, 신체화 증상, 대인관계 문제 등의 어려움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이러한 영향은 아르바이트의 부담이 클 경우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의 역할에서의 과도한 부담이 다른 역할에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키고 심리적 스트레스를 야기한다는 관점이다.
청소년 아르바이트가 증가하는 학교에서 밀어내는 요인과 사회에서 끌어들이는 요인은 무엇인가? 청소년 아르바이트가 증가하는 데에는 학교에서 학생들을 밀어내는 요인과 사회에서 청소년들을 아르바이트 현장으로 끌어들이는 요인이 함께 작용한다. 즉,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이 생계 및 학업에 필요한 비용을 스스로 마련하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하기도 하지만, 최근에 들어서는 사회가 점차 후기 산업사회로 변화하면서 서비스업이 크게 증가하였고 그 결과 전일제 고용이 아닌 학생들에게 적합한 시간제 일자리들이 늘어나 아르바이트 현장으로 끌어들임으로써 청소년들의 아르바이트가 증가하게 된 것이다6). 이처럼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참여가 높아지게 된 것은 청소년의 필요와 사회변화가 맞아 떨어졌기 때문이라고 보여 진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o YJ. A study on the way of supporting and analysis according to the youth who job part-time of labor condition[Master's thesis]. Seoul: Univ. of Myong ji, 2003. 

  2. Ryu YH. A Study on the Part-time Work of Adolescents [Master's thesis]. Kongju: Univ. of Kongju National, 2005. 

  3. Ko KW, Nam CY. A study on the perceived level of stress of college students with part-time work experience. J Korean Adol Wel 2012; 14(2): 149-68. 

  4. Kim MJ.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part-time work experience o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Master's thesis]. Jeju: Univ. of Jeju, 2013. 

  5. Kim HG. Study on labor experience of young people working part time[Master's thesis]. Seoul: Univ. of Kyonggi, 2013. 

  6. Carr RV, Wright RD, Broody CJ. Effect of high school work experience a decade later; Evidence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J Socio of Edu 1996; 69: 66-81. 

  7. Im SJ. Job experience of youth in a fast-food restaurant [Master's thesis]. Seoul: Univ. of Seoul National, 2003. 

  8. Mun EY. Problem and counterplan of youth part-time job in Korea Labor Market[Master's thesis]. Seoul: Univ. of Sookmyung Women's, 2003. 

  9. Baik JS. Part-time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and its effects on college adaptation. Korean of Youth Facil Envi 2006; 4(1): 3-17. 

  10. Lee KH. A study on the social meaning of the part time jobs for youth. J Korean Adol Wel 2001; 3(2): 25-39. 

  11. Koeske RD, Koeske GF. Working and non-working students; roles, support and well-being. J Soci Work Edu 1989; 25(3): 244-56. 

  12. Ihm CS, Yang BM. An analysis of employment selection and school to work transition of recent university graduates in Korea, J Edul Admin 2006; 24(3): 1-25. 

  13. Baker RW, Sirky BD.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 Counseli Psycho 1984; 31: 179-89. 

  14. Kwon HJ.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and scholastic achievement with the university environment climate perception[Master's thesis]. Seoul: Univ. of Yonsei, 2007. 

  15. Han KH. A qualitative study part-time work experience of adolescents. National Youth Poli Insti 2000; 11(2): 153-80. 

  16. Kim YS. A study of part-time work experiences and adjustments of students[Master's thesis]. Seoul: Univ. of Seoul National, 2002. 

  17. Baker RW, McNeil OV, Sirky B. Expectation and reality in freshman adjustment to college. J Counseli Psychol 1985; 32: 94-1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