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르바이트 청소년의 성장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Growth Experience of Youth with Part-time Job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0, 2017년, pp.406 - 419  

구승신 (세계사이버대학교 청소년복지상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청소년들이 아르바이트를 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것들과 그것의 의미를 탐색하고 특히 아르바이트를 통한 성장경험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조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연구참여에 사전동의한, 평균 2년의 아르바이트 경험을 가지고, 현재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는 경기도 거주 고교생 7명을 대상으로 2017년 3월부터 4월까지 심층면접을 하였다. 연구 결과 확인된 주요영역은 '아르바이트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찾아나서기', '아르바이트의 고된 현실에 적응하기', '아르바이트를 통해 성장경험하기'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에 대한 필요성은 소비욕구 충족, 가정경제 보조, 독립성 추구, 사교 및 여가, 자기성장 및 미래준비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 적응은 업무 적응과 관련하여 '업무 익히기', '견디어내기' '능숙해지기'로, '관계'적응과 관련하여 '텃새에 적응하기', '중단하기와 지속하기', '유대감 형성하기'의 과정으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를 통한 성장경험은 돈에 대한 합리적 관리능력 형성, 정신적 성장, 미래를 위한 준비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ssence and meaning of part-time job experience, in particular, to deduce growth experience through part-time jobs. This study is based on time-experience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developed by the van Manen. For this research, th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b...

주제어

표/그림 (1)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르바이트를 하는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시각은 어떠한가? 청소년들이 익숙한 소비문화, 소비생활과 이들의 현실적 구매력, 경제적 자원의 보유 사이에 괴리가 존재함으로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만성적인 돈 가뭄에 시달리는데 반해 청소년들이 돈을 벌 기회는 쉽게 주어지지 않으며 부족한 용돈을 메우기 위해 택하는 아르바이트가 기회의 전부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청소년 아르바이트의 종류는 극히 제한적이며 청소년 아르바이트를 보는 사회적 시각도 매우 부정적이어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청소년을 ‘불우 청소년’ 또는 ‘탈선학생’으로 연관지어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6]. 무엇보다 노동이란 학생의 본분에서 벗어난다는 사회적 인식은 근대사회의 형성과 함께 일로부터 유예되는 청소년의 존재 특성에서 기인한다[7].
학년에 따른 아르바이트 경향은? 이는 현재 우리 사회에 일을 하고 있거나 하고 싶어하는 10대들이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다는 현실의 반영이기도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지식기반사회의 대두와 함께 10대들의 원활한 직업세계로의 이행을 도와주는 동시에 산업현장의 요구에 적극 대응하는 차원에서 청소년들의 일에 대한 관심을 새롭게 부각시키고 있기도 하다[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청소년패널조사의 종단연구[4]에 의하면 비록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아르바이트 참여정도가 미국에서와 같이 보편화된 수준으로 보기엔 어려운 단계라고 볼 수는 있지만, 아르바이트 경향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아르바이트를 지속하는 기간과 근무일수, 근무시간이 증가하는 등 비교적 장기간 일을 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경혜(2000)[5]는 요즘 청소년들은 큰 경제적 어려움을 경험하지 않은 세대로서 물질주의,소비주의 성향이 강하고 일보다 여가를 중시하는 소비지향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청소년기의 아르바이트 경험의 긍적적인 측면은? 청소년기의 학업성취가 대학의 진학여부를 결정하고 그 결정이 나머지의 인생에 다각도로 영향을 미치는 한국사회의 현실에서는 청소년 노동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이 더욱 우세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 것이다[8]. 반면, 긍정적 관점에서는 청소년들에게 노동경험은 현재의 생활 및 미래의 진로를 계획하고 건전한 소비자로서의 자세를 형성시켜주며, 자립심과 책임감을 길러주고, 대인관계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다고 보며[9],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사회적 관계망의 확대나, 미래 직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술 습득 등 다양한 측면의 사회적 자본을 축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들은 또한 청소년들이 아르바이트 경험을 통하여 장래 직업 목표나 직업 가치, 특정 직업에 대한 선호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생각해 볼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H. W. Marsh, "Employment during high school: Character building or a subversion of academic goals?," Sociology of Education, Vol.64, July. pp.172-189, 2003. 

  2. 김정현, "학생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에 대한 문화기술지," 청소년복지연구, 제11권, 제3호, pp.69-98, 2009. 

  3. 이광호, "청소년 아르바이트(일)의 사회적 의미 이해에 관한 연구 -청소년 생활양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3권, 제2호, pp.25-39, 2001. 

  4. 유성렬, "청소년 아르바이트의 변화추이 및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패널자료를 중심으로," 제3회 한국청소년패널 학습대회, pp.187-229, 2006. 

  5. 한경혜,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 : 그 과정과 의미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11권, 제2호, pp.153-180, 2000. 

  6. 조한혜정, 2000년 6월 28일 중앙일보, 

  7. 이광호, "90년대 이후 청소년 존재혁신과 사회적 대응방식 변화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0권, 제3호, pp.331-349, 2003. 

  8. 황나영, 이자형, "전문계 고등학교 여학생 아르바이트의 경험과 의미," 교육인류학연구, 제14권, 제3호, pp.233-260, 2011. 

  9. 김예성, 학교청소년의 시간제 노동 경험과 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6. 

  10. 김혜경, 이광호, "아르바이트 청소년의 이중 노동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10호, pp.23-51, 2014. 

  11. D. M. Hansen and P. A. Jarvis, "Adolescent employment and psychosocial outcomes: A comparison of two employment contexts," Youth society, Vol.31, No.4, pp.417-436, 2000. 

  12. 김예성, "청소년 아르바이트 경험과 학교적응의 관계에 관한 연구: 노동-학업 간 갈등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14권, 제2호, pp.213-244, 2007. 

  13. 박창남, "청소년의 재학 중 노동경험이 고교졸업후 진로에 미치는 영향," 미래청소년학회지, 제7권, 제4호, pp.107-128, 2010. 

  14. 김성언, "청소년의 아르바이트와 비행 간 관계의 검토," 경찰학논총, 제7권, 제2호, pp.431-458, 2012. 

  15. D. Entwisle, K. L. Alexander, and L. S. Olson, "Early work histories of urban youth,"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65, No.2, pp.279-297, 2000. 

  16. H. W. Marsh and S. Kleitman, "Consequences of Employment during high school: Character building, subversion of academic goals, or a threshold?," American E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42, No.2, pp.331-369, 2005. 

  17. K. C. Longest and M. J. Shanahan, "Adolescent work intensity and substance use:The mediational and moderational roles of parenting,"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69, No.3, pp.703-720, 2007. 

  18. K. C. Monahan, J. M. Lee, and L. Steinberg, "Revisiting the impact of part-time on adolescent adjustment: distinguishing between selection and socialization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Child Development, Vol.82, No.1, pp.96-112, 2011. 

  19. 유성렬, "청소년 아르바이트 참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미래청소년학회지, 제7권, 제4호, pp.47-66, 2010. 

  20. 황나영, 이자형, 이기혜, '가정배경과 학교적응을 중심으로 한 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 시간 결정요인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제23권, 제1호, pp.223-250, 2012. 

  21. 정경은, 이혜경,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과 진로성숙도 관계," 청소년복지연구, 제7권, 제2호, pp.59-79, 2005. 

  22. 구효진, 최진선, "아르바이트 경험과 청소년들의 경제의식 및 근로의식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13권, 제4호, pp.39-71, 2006. 

  23. M. K. Johnson, "Further evidence on adolescent employment in the transition to adulthood," J. Health Soc. Behaw, Vol.41, pp.276-294, 2004. 

  24. H. Markus, S. Cross, and E. Wurf, The role of the self-system in competence. In Steinberg, R. J. & J. Kolligan, Jr. (eds.), Competence Considered, pp.205-226, New Haven, CT:Yale University Press, 1990. 

  25. Y. Bersen, "Exploitation or fun? The experience of teenage employment in suburban America," Journal of Contemporary Ethnography, Vol.35, pp.319-340, 2006. 

  26. Camerson Allen, Greg, J. Bamber, and Nils Timo, "Fast-food work: are Mcjobs satisfying? (job satisfaction in fast-food restaurants," Employee Relation, Vol.28, No.5, pp.402-420, 2006. 

  27. 육혜련, "가출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제16권, 제1호, pp.327-353, 2014. 

  28. M. van Manen, Phenomenology & Practice, Volume1(2007), No.1, pp.11-30, sensitivepedagogy, London, Ont.:Althouse Press;Albany, NY:SUNY Press. 

  29. Y. S. Lincoln and E. G. Guba,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30. 정현주, 학업중단 청소년들이 위탁형 대안학교에서 겪는 경험,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31. J. Barling, K. Rogers, and K. Kelloway, "Some effects of teenager's part-time employment: the quantity and quality of work make the differenc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6, pp.143-154, 1995. 

  32. D. M. Hansen and P. A. Jarvis, "Adolescent employment and psychosocial outcomes: A comparison of two employment contexts," Youth society, Vol.31, No.4, pp.417-436, 2000. 

  33. 문성호, 청소년의 노동시장 참여와 비행,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한국청소년개발원, pp.1-101, 2003. 

  34. M. A. Park, Relationship of the juvenile working experience and career maturity, The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201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