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암수술 환자의 삶의 질 예측모형 구축
A Predictive Model of Quality of Life for Stomach Cancer Patients with Gastrectomy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7 no.6, 2015년, pp.613 - 623  

김영숙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  태영숙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nstruct a predictive model to explain quality of life of stomach cancer patients with gastrectom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0 to August 30, 2013 through survey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 total of 218 patients with gastrectomy was recru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위암수술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이를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함으로써 위암수술 환자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방안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Ferrans 등[5]의 건강 관련 삶의 질 모형과 Sousa [13]의 행동-강화 수행 모형 및 선행연구를 토대로 위암수술 환자의 삶의 질을 예측하는 구조모형을 구축하여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검증하고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Ferrans 등[5]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연구모형과 Sousa[13]의 행동-강화 수행 모형 및 선행연구의 문헌고찰을 근거로 하여 위암수술 환자의 삶의 질을 설명하는 변인의 인과관계에 대한 예측 모형을 제시한 후에 모형의 자료에 대한 적합도와 연구가설을 검정하는 구조모형 검증연구이다.
  • 본 연구는 위암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경로를 규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근거로 삶의 질 예측모형을 구축함으로써 위암수술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이론 및 기존의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위암수술 환자의 삶의 질을 예측하는 가설적 모형을 제시하고, 삶의 질 관련 변인들 간의 직 ‧ 간접효과를 확인하여 구조관계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 Ferrans 등[5]은 건강 관련 삶의 질 개념 모형을 구축함에 있어 전반적 건강지각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개념으로 제시하였고, Shin 등[29]은 인간은 자신이 어떻게 인지하느냐에 따라 행동이 좌우되기 때문에 건강에 대한 지각 정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도와 삶의 질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과 우울이 지각된 건강상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검증되었으므로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우울을 감소 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방안을 개발하여 위암수술 환자의 지각된 건강상태를 증진시킬 필요가 있으리라 사료된다.
  • 9%로 높으며, 위암수술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직접효과 크기는 자가간호행위, 우울, 지각된 건강상태 순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는 삶의 질에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세부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란 무엇인가? 삶의 질이란 전반적인 삶에 대한 주관적인 안녕감(wellbeing)으로[5], 현대에는 암 치료 평가 지표로서 환자가 삶의 질을 얼마나 영유할 수 있는가가 중요한 평가지표로 대두되었다[6]. 간호를 대상자의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 영적 차원에서 최적의 안녕 상태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 정의할 때[7], 위암수술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방안의 개발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위암 수술 환자는 치료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게 되는가? 이런 위암 생존율의 증가와 위암의 특성 중 많은 부분이 생활습관과 관련되어 위암수술 환자의 관리는 일평생 관리를 필요로 하는 만성적인 질환의 개념으로 바뀌고 있다[2]. 위암 수술 환자는 치료과정 동안 영양결핍, 덤핑증후군, 빈혈, 피로, 골수기능 저하, 구내염, 변비, 설사, 오심, 구토 등과 같은 신체적 부작용과 치료과정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해 생리적 변화와 정서적인 각성을 경험하게 된다[3]. 또한 수술 및 보조치료로 인한 기능의 변화를 장기적으로 경험하게 되며, 퇴원 후 사회로 복귀한 후에도 암의 재발 가능성, 직장 동료나 가족들의 변화된 태도와, 기능적 변화에 적응해야 하는 등 다양한 문제와 부딪치게 되어 위암수술 환자의 삶의 질이 저하될 수 있다[4].
퇴원 후 위암 수술 환자의 삶의 질이 저하되는 원인은 무엇이 있는가? 위암 수술 환자는 치료과정 동안 영양결핍, 덤핑증후군, 빈혈, 피로, 골수기능 저하, 구내염, 변비, 설사, 오심, 구토 등과 같은 신체적 부작용과 치료과정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해 생리적 변화와 정서적인 각성을 경험하게 된다[3]. 또한 수술 및 보조치료로 인한 기능의 변화를 장기적으로 경험하게 되며, 퇴원 후 사회로 복귀한 후에도 암의 재발 가능성, 직장 동료나 가족들의 변화된 태도와, 기능적 변화에 적응해야 하는 등 다양한 문제와 부딪치게 되어 위암수술 환자의 삶의 질이 저하될 수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 National Cancer Center.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2.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4. December. 

  2. Yun HM, Kim KY, Lee TY, Kim HJ, Kim KH, Kim DK. The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stomach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1;12(10):4513-22. http://dx.doi.org/10.5762/kais.2011.12.10.4513 

  3. Kim JH. Influencing factors on depression in stomach cancer patients receiving.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2;24(6):588-96. http://dx.doi.org/10.7475/kjan.2012.24.6.588 

  4. Kim KH, Chung BY, Kim GD, Byun HS. Cognitive funct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adjuvant chemotherapy. Journal of Asian Oncology Nursing. 2009;9(1):52-9. 

  5. Ferrans CE, Zerwic JJ, Wilbur J, Larson JL. Conceptual model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05;37(4):336-42. http://dx.doi.org/10.1111/j.1547-5069.2005.00058.x 

  6. Kim HW, Choi S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quality of life in pre-dialysis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5):699-708. http://dx.doi.org/10.4040/jkan.2012.42.5.699 

  7. Ko MS, Kim TS, Min S, Park JS, Yeom YH, Yun SH, et al. Introduction to nursing. 3rd ed. Seoul: Soomoonsa; 2011. 

  8. Kim MY, Tae YS.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web-based self-efficacy promoting program on stomach cancer patients with gastrectomy. Journal of Wholistic Nursing Science. 2014;7:51-65. 

  9. Jeong HY, Kwon MS. The effects on self-care knowledge and performance in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for chemotherapy.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2008;8(1):8-16. 

  10. Kim SY. Predicting factors on self-care behavior in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11. 

  11. Lee IK, Choi JY. Relationship of body weight,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radical gastrectomy according to perioperative period. Journal of Asian Oncology Nursing. 2014;14(4):212-20. http://dx.doi.org/10.5388/aon.2014.14.4.212 

  12. Oh PJ. A structural model for health promotion and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cancer.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996;8(2):291-308. 

  13. Sousa VD, Zauszniewski JA, Musil CM, McDonald P, Milligan SE. Testing a conceptual framework for diabetes self-care management. Research & Theory for Nursing Practice. 2004;18 (4):293-316. http://dx.doi.org/10.1891/rtnp.18.4.293.64089 

  14. Satin JR, Linden W, Phillips MJ. Depression as a predictor of disease progression and mortality in cancer patients: A metaanalysis. Journal of Cancer. 2009;115(22):5349-61. http://dx.doi.org/10.1002/cncr.24561 

  15. Kang HS. Related factors on quality of life in male bladder cancer patients. [master's thesis]. Busan: Kosin University; 2008. 

  16. Lee EO, Park HA, Kwon IG. Effect of discharge education of program of stomach cancer patient on patient's and caregiver's coping and quality of lif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996;6(2):308-23. 

  17. Moon SB. Basic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7.0. Seoul: Hakjisa; 2009. 

  18. Tae YS.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f the cancer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986. 

  19. Cancer Net Podcast. Cancer and depression [Internet]. Alexandria: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2014 [cited 2014 April]. Available from: http://www.cancer.net/coping-with-cancer/managing-emotions/depression 

  20. Chon KK, Choi SC, Yang GC. Integrated adaptation of CES-D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1;6(1):59-76. 

  21. Orem DE. Nursing concepts of practice. 5th ed. St. Louis: Mosby; 1995. 

  22. Lee EH.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quality of life scale for Korean patients with cancer (C-QO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3):324-33. 

  23. Lee EO, Eom AY, Song RY, Chae YR, Lam P.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neoplasm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5):649-55. http://dx.doi.org/10.4040/jkan.2008.38.5.649 

  24. Andrews DR, Richard D, Aroian K. Factor structure of the Denyes self care practice instrument (DSCPI-90(C)).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09;31(6):799-811. http://dx.doi.org/10.1177/0193945909337726 

  25. Somerset W, Stout SC, Miller AH, Musselman D. Breast cancer and depression. Journal of Oncology. 2004;18(8):1021-34. 

  26. Bultz BD, Carlson LE. Emotional distress: the sixth vital signfuture directions in cancer care. Journal of PsychoOncology. 2006;15(2):93-5. http://dx.doi.org/10.1002/pon.1022 

  27. Chae YR. Relationships of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breast cancer survivor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5;17(1):119-27. 

  28. Kim EM, Kim KS. A structural model on quality of life for recipients of liver transpl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2007;14(3):340-50. 

  29. Shin IS, Han SS. A study on cancer patients' quality of life,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usceptibility.severity for cancer recurrence.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05;11(2):146-54. 

  30. Salonen P, Tarkka MT, Kellokumpu-Lehtinen PL, Koivisto AM, Aalto P, Kaunonen M. Effect of social support on changes in quality of life in early breast cancer patients: a longitudinal study.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012;27(2):396-4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