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장이식 수혜자의 삶의 질 예측모형 구축
A Prediction Model Development on Quality of Life in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39 no.4, 2009년, pp.518 - 527  

김혜숙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  소향숙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and to understand the concrete pathway of influence and the power of each variable, so that integrated prediction model to promote the quality of life of kidney transplant recipi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하여 본 연구자는 신장이식 수혜자의 삶의 질을 실증적 자료에 바탕을 두고, 체계적이고 포괄적으로 예측하는 구조 모형을 검증, 제시함으로써 향후 신장이식 수혜자를 위한 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문헌고찰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신장이식 수혜자의 삶의 질을 예측하는 가설적 예측모형을 설정하고, 신장이식 수혜자에게 횡단적으로 조사한 후 다변량 통계분석으로 모형 부합도와 가설을 검증하는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신장이식 수혜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제 요인들을 규명하여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토대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가설을 검증하는 공분산 구조분석이다.
  • 본 연구는 신장이식 수혜자의 삶의 질을 설명하기 위해 관련 요인을 규명하고 요인 간의 경로와 영향력을 분석하여 인과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신장이식 수혜자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간호 중재의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장이식 수혜자의 이식 후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삶의 질에 관련 요인들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가설 모형을 구축하고 실제 신장이식 수혜자들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모형을 검증하는 데에 있다.
  • 본 연구의 수정모형에 의하면, 신장이식 수혜자의 삶의 질은 면역억제제 관련 불편감을 제외한 지각된 건강상태, 이행, 자기효능감, 지각된 스트레스에 의해 87%정도 이하로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식대상자를 대상으로 삶의 질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가 적어 비교하기가 어려우므로 만성질환자와 관련하여 비교하여 보기로 하겠다. 이는 이식 후 경과기간,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우울에 의해 간이식환자의 삶의 질이 65% 설명되었던 Kim (2004)의 연구와 가족지지, 대응 및 자아존중감, 의료인지지, 질병 증상 심각도에 의해 혈액투석 환자의 삶의 질이 4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말기신부전증은 어떤질병인가? 만성 질병 중에서 말기신부전증은 몸 안의 노폐물을 배설하고 전해질과 수액의 균형을 조절하는 신장의 기능이 돌이킬 수 없게 상실된 것을 의미하는 신진대사 이상으로, 보존요법으로는 더 이상 치료가 불가능하여 평생 신대체 요법인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 또는 신장이식을 받아야만 생명 연장이 가능한 질병이다(Malick & Gokal, 1999). 현재 혈액투석, 복막투석, 신장이식 수술 등 신대체 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들의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에 의하면, 신장이식 수혜자가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을 받고 있는 말기신부전증 환자들보다 생존율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만족도가 가장 우월하였고(Ogutmen et al.
신장이식 수혜자의 삶에 미치는 요인중 이식관련,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신장이식 수혜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기존 연구의 고찰 결과 크게 이식관련 요인과 신체적, 정서인지적, 사회적 요인 등으로 분류할 수 있겠다. 즉, 이식관련 요인으로는 이식 후 경과기간과 면역억제제 사용과 관련한 불편감이 있고, 신체적 요인으로는 지각된 건강상태, 정서인지적 요인으로는 질병 예후에 대한 불확실성, 사회적 요인으로는 사회적 지지가 있으며, 이들 요인이 이행과 자기효능감 그리고 지각된 스트레스와 관련하여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성공적인 신장이식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한편, 성공적인 신장이식은 투석치료보다 우수한 결과를 초래한다는 장점은 있으나 이식의 실패나 사망에 이르는 치명적인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정상적인 신장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추후관리가 필요하다. 즉, 지속적인 건강관리를 위해 치료지시 이행을 지키지 않을 경우 이식받은 신장 기능이 악화될 수도 있다(Cho, 1999; Kim, 199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J. H. (2001). The effects of the self efficacy promotion and exercise training program on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3, 223-232 

  2. Bae, B. R. (2005). Lisrel structural equation model: Interactive Lisrel (2nd ed.). Seoul: Chunglam Publishing 

  3. Bentler, P. M., & Bonett, D. G. (1980).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Psychological Bulletin, 88, 588-606 

  4. Cho, Y. S. (1999). A study on stress and the quality of life of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1, 215-226 

  5. Frey, G. M. (1990). Stressor in renal transplant recipients at six week after transplantation. American Nephrology Nurses'Association, 17, 443-447 

  6. Hayward, M. B., Kish, J. P., Frey, G. M., Kircher, J. M., Carr, L. S., & Wolfe, C. M. (1989). An instrument to identify stressors in renal transplant recipients. American Nephrology Nurses'Association, 16, 81-84 

  7. Hong, E. J. (200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stress perceived by the patients with kidney transplanted social support, and the quality of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8. Kim, E. M. (2004). Quality of life model for the liver transplant recip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9. Kim, J. H., Choi, H. J., & Kim, J. S. (1996). Modeling hemodialysis patient's quality of lif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3, 183-199 

  10. Kim, K. S., Kang, J. Y., & Jeong, I. S. (2003).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organ transplant recip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 365-375 

  11. Kim, M. S. (1995). Knowledge and compliance of renal transplant pa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2. Kleinbaum, D. G., Kupper, L. L., & Muller, K. E. (1988). Applied regression analysis and other multivariate methods. Boston, MA:PWS-KENT Publishing Company 

  13. Lee, D. S., & Lee, E. O. (1997). Social support need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f patients having gastric cancer.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11, 175-190 

  14. Lee, J. S. (199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stress, self-efficacy, and the quality of life in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5. Lee, S. M. (1992). Model equivalence in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JID approach and its application.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11, 5-23 

  16. Malick, N. P., & Gokal, R. (1999). Hemodialysis. The Lancet, 353, 737-742 

  17. Milleu, P., Wikoff, R., McMahon, M., Garrett, M. J., & Hohnson, N. (1982). Development of a health attitude scale. Nursing Research, 31, 132-136 

  18. Mintzer, L. L. (2001).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adolescent solid organ transplant recip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orthwestern University, USA 

  19. Mishel, M. H. (1981). The measurement of uncertainty in illness. Nursing Research, 30, 258-263 

  20. Moons, P., De Geest, S., Abraham, I., Van Cleeput, J., & Vanhaecke, J. (1998). Symptom experience associated with maintenance immunosupression after heart transplantation: Patients' appraisal of side effects. Heart &Lung, 27, 315-325 

  21. Niu, S. F., & Li, C. I. (2005). Quality of life of patients having renal replacement therap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1, 15-21 

  22. Ogutmen, B., Yildirim, A., Server, M. S., Bozfakioglu, S., Ataman, R., Eerk, E., et al. (2006).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in comparison intermittent hemodialysis, peritoneal dialysis and normal controls. Transplantation Proceedings, 38, 419-421 

  23. Oh, S. H., & Yoo, E. K. (2006).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between kidney transplant and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1145-1153 

  24. Park, M. R. (2003). Survey on symptom experience and self care in patients with kidney transpla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5. Shah, V. S., Ananth, A., Sohal, G. K., Bertges-Yost, W., Eshelman, A., Parasuraman, R. K., et al. (2006). Quality of life and psychosocial factors in renal transplantation recipients. Transplantation Proceedings, 38, 1283-1285 

  26. Sherer, M., & Maddux, J. E.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27. Shon, Y. H. (2001). A predictive model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Korean patients on hemodialy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8. Speake, D. L., Cowart, M. E., & Pellet, K. (1989). Health perceptions and life styles of the elderly.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2, 93-100 

  29. Yang, H. J. (2001). A model for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