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신념 모형 기반 폐경 여성의 골다공증 예방행위 모형 개발 및 검정
An Equation Model Development and Test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Regarding Osteoporosis Prevention Behaviors among Postmenopausal Women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7 no.6, 2015년, pp.624 - 633  

장현정 (꽃동네대학교 간호학과) ,  안숙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a theoretical model based on the revised health belief model explaining osteoporosis prevention behaviors among postmenopausal women under 65. Methods: This secondary data analysis included 342 postmenopausal women under 65 from original data sources of 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골다공증 발생과 낙상으로 인한 골다공증성 골절의 위험이 증가하는 폐경 여성을 대상으로 골다공증 예방행위를 유도하는 건강신념 요인간 관련성을 통합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수정된 건강신념모형[6]을 바탕으로 대상자의 수정요인, 기대요인, 위협요인으로 구성된 골다공증 예방행위 예측모형의 이론적 기틀을 구축하였다(Figure 1). 또한 폐경 여성의 수정요인이 골다공증 예방에 대한 기대요인과 위협요인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기대요인과 위협요인은 골다공증 예방행위 실천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수정요인은 건강신념을 통해 간접 영향을 미치는 5개 경로의 가설모형을 설정하였다(Figure 2).
  • 본 연구는 골다공증성 골절 위험이 증가하는 폐경 여성에게 건강신념 모형 기반 폐경 여성의 골다공증 예방행위 모형 검증을 통해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건강행위 실천을 도모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고 중재를 제공하는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또한 이를 모형검증 연구와 비교하면, 유익성, 장애성, 자기효능감이 건강동기를 통해 예방행위를 유의하게 설명한 연구[19], 상대적 유익성과 자기효능감이 예방행위에 직접 효과를 보인 연구[20], 칼슘섭취/체중부하운동에 대한 상대적 유익성, 자기효능감, 건강동기를 통합한 건강신념 잠재 요인이 칼슘섭취 행위와 체중부하운동 행위에 각각 직접 효과를 나타낸 연구[21]와 유사한 결과이다. 본 연구는 상대적 유익성, 자기효능감, 건강동기 변수를 종합 평가한 기대요인이 골다공증 예방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으므로, 기대요인에 대한 중재가 예방행위 실천에 중요한 중재 내용이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수정된 건강신념모형[5,6]에 바탕을 두고 폐경 여성의 골다공증 예방행위를 설명하는 영향요인을 종합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의 적합도와 요인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횡단적 조사연구로 2차 자료분석이다.
  • 본 연구에서는 1) 지역사회 거주자로 45~64세의 자연폐경을 경험하고, 2) 골다공증으로 진단을 받은 적이 없이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여성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골다공증 예방 행위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대상자의 동질성을 확보하고자 자연폐경을 경험한 대상자와 골다공증을 진단받지 않은 자로 제한하였다. 그 이유는 인공 폐경자와 골다공증을 진단 받은 여성의 경우 호르몬 요법이나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 약물에 일찍 노출될 수 있고, 인공 폐경 후 골다공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건강신념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폐경 여성을 대상으로 수정된 건강신념모형에 근거한 골다공증 예방행위 예측모형을 개발하고, 이 가설모형에 대한 적합도를 검증하고, 골다공증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수정요인[5,6]에는 인구학적 요인으로 연령, 인종, 사회심리적 요인으로 교육수준과 성격, 구조적 요인으로 질병에 대한 지식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교육수준과 지식을 측정하였고, 이중 지식은 중재를 통해 수정 가능한 요인으로 가정하였다. 대상자의 교육수준은 중졸, 고졸, 대졸, 대학원 이상으로 측정한 후, 이를 더미변수로 처리하기 위해 고졸 이하는 0점, 대졸 이상은 1점으로 재코딩하여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여성의 평균 폐경기는? 우리나라 여성은 2012년 평균수명이 84.6세[1]이고, 평균 47세에 폐경을 경험[2]한 여성은 인생의 약 1/3을 폐경 후기로 살아간다. 국가 간 골밀도 비교연구에서[2] 65~74세 한국 여성은 미국 백인 여성에 비해 척추 및 골반 골밀도가 4~7% 낮게 나타나 한국 여성이 폐경 후에 골다공증과 이로 인해 척추골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골다공증에 있어 폐경기 여성이 유의해야하는 것은? 골다공증은 수년간 뚜렷한 증상 없이 점진적으로 진행되어 대부분의 여성은 낙상이나 골절이 발생한 후에야 골다공증 진단을 받게 되므로, 폐경기 여성은 골다공증성 골절을 예방하기 위한 행위 변화가 필요하다[4]. 그러나 개인이 골다공증 예방을 목적으로 칼슘섭취, 체중부하운동 참여, 골건강 정기검진 및 치료지시 수행과 같은 건강행위를 변화시키는 것은 매우 복잡하고 어렵기 때문에, 행동 변화를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유용한 이론적 기틀을 사용하여 골다공증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통합적으로 탐색하고 그 관련성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건강신념모형에서 나타나는 각종 요인과 그 영향은? 건강신념모형[5]은 사람들이 어떤 조건에서 어떻게 예방적 건강행위를 하는가 설명하고자 개발된 이론적 틀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건강신념을 구성하는 개념들을 수정요인, 기대요인과 위협요인으로 재구성하고 여기에 자기효능감 이론을 통합한 수정된 건강신념 모형[6]을 이론적 기틀로 사용하였다. 이 모형[6]에 따르면 기대요인(인지된 유익성에서 장애성을 뺀 상대적 유익성, 자기효능감, 건강동기)과 위협요인(민감성과 심각성)에 대한 개인의 인식이 예방적 건강행위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 또한 개인의 건강신념은 수정요인(연령, 교육수준, 기존 지식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tatistics Korea. 2012 Life tables for Korea [Internet]. Daejeon: Author; 2013 [cited 2013 December 20].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2/7/index.board 

  2. Nam HS, Kweon SS, Choi JS, Zmuda JM, Leung PC, Lui LY et al. Racial/ethnic differences in bone mineral density among older women. Journal of Bone and Mineral Metabolism. 2013; 31(2):190-8. http://dx.doi.org/10.1007/s00774-012-0402-0 

  3. Lee JS, Jang SO. A study on reference values and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 Korea: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1. Journal of the Korean Official Statistics. 2013;18(2):42-65. 

  4. Moon ES, Lee ES.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health beliefs, and prevention behaviors of osteoporotic fracture in patients receiving osteoporosis treatment.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0;16(2):147-56. http://dx.doi.org/10.4069/kjwhn.2010.16.2.147 

  5. Rosenstock IM, Strecher VJ, Becker MH. Social learning theory and the health belief model. Health Education Quarterly. 1988;15:175-83. 

  6. Champion, V. L., Skinner, C. S. The health belief model. 4th ed. In: Glanz K, Rimer BK, Viswanath K, editors.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San Francisco: Jossey-Bass; 2008. p. 49. 

  7. Kim KK, Horan ML, Gendler P, Patel MK.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osteoporosis health belief scale.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991;14(2):155-63. 

  8. Horan ML, Kim KK, Gendler P, Froman RD, Patel MD.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osteoporosis self-efficacy scale.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998;21(5):395-403. http://dx.doi.org/10.1002/(sici)1098-240x(199810)21:5 3.0.co;2-i 

  9. Shin SJ, Shin KR, Yi HR, Ju SK. Knowledge, health belief, and self-efficacy related to osteoporo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05;35(5):850-7. 

  10. Kim MH, Kim MS.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about osteoporosis and cognitive factors in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5;11(1):52-7. http://dx.doi.org/10.1007/s10900-010-9263-4 

  11. Song HR, So HY. Effects of the knowledge, health belief, and self-efficacy about osteoporosis on calcium intake behavior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7;19(5):80-91. 

  12. Sedlak CA, Doheny MO, Estok PJ, Zeller RA, Winchell J. DXA, health beliefs, and osteoporosis prevention behavior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2007;19(5):742-56. 

  13. Shakil A, Gimpel NE, Rizvi H, Siddiqui Z, Ohagi E, Billmeier TM, et al. Awareness and prevention of osteoporosis among South Asian women. Journal of Community Health. 2010;35(4):392-7. http://dx.doi.org/10.1007/s10900-010-9263-4 

  14. Von Hurst PR, Wham CA. Attitudes and knowledge about osteoporosis risk prevention: a survey of New Zealand women. Public Health Nutrition. 2007;10(7):747-53. http://dx.doi.org/10.1017/s1368980007441477 

  15. Deo P, Nayak R, Rajpura J. Women's attitudes and health beliefs toward osteoporosis screening in a community pharmacy. Journal of Osteoporosis. 2013;2013:650136. http://dx.doi.org/10.1155/2013/650136 

  16. Zhang YP, Xia RY, Zhang B, Zhang F, Zhao XS, Zhang LL, et al. Gender differences on osteoporosis health beliefs and related behaviors in non-academic community Chinese. Journal of Community Health. 2014;39(3):545-51. http://dx.doi.org/10.1007/s10900-013-9795-5 

  17. Johnson CS, McLeod W, Kennedy L, McLeod K. Osteoporosis health beliefs among younger and older men and women. Health Education & Behavior. 2008;35(5):721-33. http://dx.doi.org/10.1177/1090198107301331 

  18. McLeod KM, Johnson CS. A systematic review of osteoporosis health beliefs in adult men and women. Journal of Osteoporosis. 2011;2011:197454. http://dx.doi.org/10.4061/2011/197454 

  19. Lee SH. Prediction model on osteoporosis prevention behavior in middle aged women.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06. 

  20. Park YJ, Lee SJ, Shin NM, Kang HC, Kim SH, Kim T, et al. Structural model for osteoporosis preventive behaviors in postmenopausal women: focused on their own BMD awarenes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5):527-38. http://dx.doi.org/10.7475/kjan.2013.25.5.527 

  21. Estok PJ, Sedlak CA, Doheny MO, Hall R. Structural model for osteoporosis preventing behavior in postmenopausal women. Nursing Research. 2007;56(3):148-58. 

  22. Ahn SH, Kim YM, Chun NM, Lee SH. Incidence of osteoporosis and falls and predictors of fracture risk i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2;18(4):237-47. http://dx.doi.org/10.4069/kjwhn.2012.18.4.237 

  23. Kim GS.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2010. 

  24. Wallace LS. Osteoporosis prevention in college women: application of the expanded health belief model.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2002;26(3):163-72. 

  25. Choi ES, Kim JH, Chung MY, Hwang KH. Development of an osteoporosis awareness scale for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6):813-21. http://dx.doi.org/10.4040/jkan.2008.38.6.813 

  26. Doheny MO, Sedlak CA, Hall RJ, Estok PJ. Structural model for osteoporosis preventing behavior in men. American Journal of Men's Health. 2010;4(4):334-43. http://dx.doi.org/10.1177/1557988309351953 

  27. Jang HJ, Ahn SH. A predictive model of fall prevention behaviors in postmenopausal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14;44(5):525-33. http://dx.doi.org/10.4040/jkan.2014.44.5.5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