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가 관절염 노인의 낙상 예방행위 예측모형 구축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Fall Prevention Behavior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ith Osteoarthriti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7 no.6, 2015년, pp.684 - 694  

장경숙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  송라윤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fall prevention behaviors of community-dwelling elderly with osteoarthritis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Methods: A total of 200 older adults with osteoarthritis residing in community was recruited from July 10 to August 30, 2013. The direct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모델은 질병예방 프로그램에 대한 개인의 수행도를 설명하기 위해 1950년대 개발된 이후 확대된 건강신념모델을 통해 개인의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행동들을 효과적으로 설명함으로써 그 유용성을 인정받고 있다 [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확대된 건강신념 모델에서 제시하는 사회 인구학적 특성과 낙상지식,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낙상예방 효능감이 관절염을 가진 노인의 낙상 예방행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낙상 예방행위를 설명하는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재가 관절염 노인의 낙상 예방행위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확대된 건강신념모델을 근거로 하여 가설적 모형을 제시한 후에 모형의 적합도와 연구가설을 검증하는 구조 모형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재가 관절염 노인의 낙상 예방행위를 예측하기 위하여 구축한 모형이 포괄적이고 적합한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가설적 모형에서 낙상 지식과 연령, 낙상 위험지각, 지각된 유익성, 낙상예방 효능감이 낙상 예방행위를 설명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확대된 건강신념모델[14]과 문헌고찰을 통해 관절염을 가진 재가노인의 낙상 예방행위를 설명하는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는 것이다.
  • 만성질환인 관절염을 가진 노인의 경우 일상생활의 어려움을 동반하므로 일반 노인들에 비해 낙상위험의 지각이나 두려움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절염을 가진 노인을 대상으로 낙상예방행위를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는 동기요소들을 이론적 틀을 이용하여 총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낙상에 대한 지각된 민감성과 심각성은 건강신념모델에서 통합개념인 ‘위협’으로 제시되며 건강 행동을 예측한다[14] 본 연구에서는 관절염을 가진 노인의 특성상 낙상 위험에 대해 민감성과 심각성 즉, 위험지각이 높아 낙상예방행위 수행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하였으며, 이때 지각된 유익성과 지각된 장애성, 낙상예방 효능감을 통해 낙상예방행위로 경로를 설정하였다. 또한 지각된 유익성과 지각된 장애성은 낙상예방효능감과 낙상예방행위로 가는 경로를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매개변수의 설정은 위험지각과 지식은 낙상예방행위에 대해 직접효과와 더불어 지각된 유익성과 지각된 장애성, 자기효능감 등 건강신념을 통한 간접효과가 존재한다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였다[15,1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관절염의 특징은? 골관절염은 침범된 부위의 통증과 강직, 관절의 불안정 등으로 일상활동 수행에 제한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신체의 민 첩성이나 균형감 등 신체기능이 감소되어 낙상을 초래하는 주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재가 관절염 노인은 비관절염 노인 보다 낙상할 확률이 2.
우리나라 재가 관절염 노인은 비관절염 노인보다 낙상할 확률이 몇 배 높았는가? 골관절염은 침범된 부위의 통증과 강직, 관절의 불안정 등으로 일상활동 수행에 제한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신체의 민 첩성이나 균형감 등 신체기능이 감소되어 낙상을 초래하는 주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재가 관절염 노인은 비관절염 노인 보다 낙상할 확률이 2.12배 높았으며 호주에서 관절염 노인의 낙상 발생률은 48.4%로 비관절염 노인보다 1.
재가관절염 노인의 낙상과 낙상 예방행위에 대해 인식 하여 수행하게 되는 동기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낙상예방 관련 중재를 제공하기 전에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조건인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노인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낙상 위험요인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거나[6], 낙상은 노화로 인한 것으로 피할 수 없다고 인식하고 있어[7], 낙상 예방 프로그램 참여에 저조하거나 낙상 예방행위를 잘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8]. 뿐만 아니라 관절염이 있는 노인의 경우 일반 노인에 비해 낙상을 더 두려워하고 낙상예방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낮아 낙상 예방행위 수행에 소극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ang IS, Kim SM. A study on risk factors of injuries from fall experienced by home-staying elders in a provincial are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06;8(2):107-16. 

  2. Sturnieks DL, Tiedemann A, Chapman K, Munro B, Murray SM, Lord SR. Physiological risk factors for falls in older people with lower limb arthritis. Journal of Rheumatology. 2004;31:2272-9. 

  3. Kannus P, Sievanen H, Palvanen M, Jarvinen T, Parkkari J. Prevention of falls and consequent injuries in elderly people. Lancet. 2005;366(26):1885-93. http://dx.doi.org/10.1016/S0140-6736(05)67604-0 

  4. Deandrea S, Lucenteforte E, Bravi F, Foschi R, La Vecchia C, Negri E. Risk factors for falls in community-dwelling older peopl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pidemiology. 2010;21(5):658-68. http://dx.doi.org/10.1097/EDE.0b013e3181e89905 

  5. Todd C, Skelton D. What are the main risk factors for falls amongst older people and what are the most effective interventions to prevent these falls?. Copenhagen,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Health Evidence Network report). 2004 [cited 2014 December 5]. Available from: http://www.euro.who.int/document/E82552.pdf 

  6. Braun BL. Knowledge and perception of fall-related risk factors and fall-reduction techniques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individuals. Physical Therapy. 1998;78:1262-76. 

  7. Stevens JA, Noonan RK, Rubenstein LZ. Older adult fall prevention: perceptions, beliefs, and behaviors. American Journal of Life style Medicine. 2010;4(1):16-20. http://dx.doi.org/10.1177/1559827609348350 

  8. Yardley L, Bishop FL, Beyer N, Hauer K, Kempen GI, Piot-Ziegler C, et al. Older people's views of falls-prevention interventions in six European countries. Gerontologist. 2006;46(5):650-60. http://dx.doi.org/10.1093/geront/46.5.650 

  9. Bunn F, Dickinson A, Barnett-Page E, Mcinnes E, Horton K. A systematic review of older people's perceptions of facilitators and barriers to participation in falls-prevention interventions. Ageing and Society. 2008;28(4):449-72. http://dx.doi.org/10.1017/S0144686X07006861 

  10. Kim YH. Relations among fall efficacy, perception of fall risk and fall prevention behavior in the frail elderly at hom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7):3383-9. http://dx.doi.org/10.5762/KAIS.2013.14.7.3383 

  11. Shin KR, Shin SJ, Kim JS, Kim, JY. The effects of fall prevention program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preventive activity related to fall, and depression of low-income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5;35(1):104-12. 

  12. Hyeon IS, Park MH, Park KM, Kim CN. The effects of a fall prevention program on the low-income elderly at risk of fall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010;21(2):200-9. 

  13. Glanz K, Rimer BK, Viswanath K.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Australia: John Wiley & Sons; 2008. 

  14. Rosenstock IM, Strecher VJ, Becker MH. Social learning theory and the health belief model. Health Education & Behavior. 1988;15(2):175-83. 

  15. Lee SH. Prediction model on osteoporosis prevention behavior in middle aged women.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06. 

  16. Jang HJ, Ahn SH. A predictive model of fall prevention behaviors in postmenopausal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5):525-33. http://dx.doi.org/10.4040/jkan.2014.44.5.525 

  17. Kim NS, Lee KE. Factors affecting cancer preventive behavior in middle-aged peop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4;21(1):29-38. http://dx.doi.org/10.7739/jkafn.2014.21.1.29 

  18. Kang JS, Kang HS, Yun EK, Choi HR. Factors influencing health behavior compliance of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2;24(2):191-9. http://dx.doi.org/10.7475/kjan.2012.24.2.191 

  19. Bae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9: Principles and Practice. Seoul: Chunglam; 2011. 

  20. Hong CM. Development of a knowledge scale of fall risk factors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2;24(3):244-52. http://dx.doi.org/10.7475/kjan.2012.24.3.244 

  21. Champion VL. Instrument development for health belief model construct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84;6(3):73-85. 

  22. Moon JS. A study of instrument development for health belief of Korean adult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90. 

  23. Clemson L, Cumming RG, Heard R. The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to evaluate behavioral factors associated with falling.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003;57(4):380-8. http://dx.doi.org/10.5014/ajot.57.4.380 

  24. Finch JF, West SG. The investigation of personality structure: statistical model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1997;31(4):439-85. http://dx.doi.org/10.1006/jrpe.1997.2194 

  25. Moon ES, Lee ES.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health beliefs, and prevention behaviors of osteoporotic fracture in patients receiving osteoporosis treatment. Korean Society of Women Health Nursing. 2010;16(2):147-56. http://dx.doi.org/10.4069/kjwhn.2010.16.2.147 

  26. Blalock SJ, DeVellis RF, Giorgino KB, DeVellis BM, Gold DT, Dooley MA, et al. Osteoporosis prevention in premenopausal women: using a stage model approach to examine the predictors of behavior. Health Psychology. 1996;15(2):84. 

  27. Tinetti ME, Richman D, Powell L. Falls efficacy as a measure of fear of falling. Journal of gerontology. 1990;45(6):239-43. http://dx.doi.org/10.1093/geronj/45.6.P239 

  28. Kwon MS. Relations among knowledge, fear and efficacy of falling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010;21(2):139-47. 

  29. Kim MH, Kim MS.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about osteoporosis and cognitive factors in middle-aged women. Korean Society of Women Health Nursing. 2005;11(1):52-7. 

  30. Shon YH. Predictive model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Korean patients on hemodialysi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