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낙상지식 및 태도가 낙상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연구 -복지관 이용 사례중심으로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Knowledge and Attitude Related to Falls on Fall Preventive Behaviors in the Elderly - Based on Case Study of Seniors Welfare Center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9, 2018년, pp.389 - 397  

현일선 (경운대학교 간호학과) ,  박경민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의 낙상지식, 태도와 예방행위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와 낙상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대상자는 복지관 이용 노인 167명이고, 일대일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낙상지식과 낙상태도(r=0.28, p<.001), 낙상태도와 낙상예방행위(r=0.45, p<.001)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낙상예방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별(${\beta}=-0.17$, p=.019)과 낙상태도(${\beta}=0.41$, p<.001)가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21.1%이었다(F=8.41, p<.001).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노인 낙상예방행위 향상을 위해 낙상태도 개선에 초점을 둔 낙상예방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dentified the knowledge, attitude and degree of prevention behaviors on falls of the elderly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among them as well as their effects on fall prevention behaviors. This study was targeted at 167 elderly attending senior welfare centers and data collected by in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D와 G시에 소재하는 2개의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낙상지식, 낙상태도 및 낙상예방 행위의 정도를 파악하고, 낙상예방행위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복지관 이용 노인의 낙상지식, 낙상태도, 낙상예방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그들 간의 상호관계 확인 및 낙상예방행위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 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낙상지식, 낙상태도, 낙상예방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낙상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부활동을 적극적으로 하는 실외 낙상 위험에 노출된 복지관 이용 노인을 대상으로 낙상지식, 낙상태도, 낙상예방행위 정도를 알아보고 낙상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의 낙상예방행위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상지식은 무엇인가? 낙상지식은 낙상의 내인성, 외인성, 환경적 및 심리적 위험요인인 청력, 시력, 보조기구 사용 등의 신체적 관리 요소, 질병, 투약, 환경관리 등의 낙상 위험요소에 대한 지식을 측정하는 것이다[10]. 입원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낙상에 대한 위험요인 인식정도와 낙상지식이 높을수록 낙상 예방행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1].
우리나라 낙상 발생률은 얼마인가? 우리나라 낙상 발생률은 13.8∼52%[6-8]에 이르며, 일개 도시 조사결과에서는 65세 이상 노인층의 건강관련 문제 중 97.5%가 낙상인 것으로 나타났다[5]. 이러한 낙상으로 인한 건강 위해 문제는 상해 30%, 골절 26%이었고, 낙상으로 입원한 노인의 50%가 사망에 이르며[6], 외인으로 인한 사망사고 중 낙상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다[7].
낙상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낙상태도라는 것은 무엇을 시사하는가? 그러나 간호사 대상 연구에서 낙상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낙상태도, 연령, 낙상예방교육[26,28]으로 나타나 낙상예방행위를 결정하는데 낙상태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즉 낙상예방행위를 잘 실천하기 위해서는 낙상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성별이 낙상예방행위에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낙상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선행연구에서도 여성이 낙상률이 높고[30-32], 두려움도 높았다[23,2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Statistics Korea. (2017). Elderly people Statistics.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PA002&vw_cdMT_TM1_TITLE&list_id101_A0502&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 &itm_id&conn_pathMT_TM1_TITLE 

  2. K. I. Lee & J. H. Lee. (2017). The Impacts Daily Stress, Ego Resilience,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Institution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6), 325-336. 

  3. P. Kannus, H. Sievanen, M. Palvanen, T.Jarvinen & J. Parkkari. (2005). Prevention of falls and consequent injuries in elderly people. The Lancet, 366(9500), 1885-1893. 

  4. Patrick McCarthy. (2016). RECOIL OFFGRID Magazine. https://www.offgridweb.com/survival/falling-injuries-fatality-rates/ 

  5. M. S. Lee. (2007). Manan community health survey analysis. Anyang: Manan-gu Elderly Health Center. 

  6. M. Vassallo, R. Vignaraja, J. C. Sharma, R. Briggs & S. Allen. (2005). The relationship of 15falls to injury among hospital inpatients. The international Journal on Clinical Practice, 59(1), 17-20. 

  7. D. H. Im, Y. B. Ji & G. M. Kim. (2018). A Analysis on Extracting Vulnerables and Policy Suggestion by Analyzing Fall Death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8(1), 171-178. 

  8. R. Ruchinskas. (2003). Clinical prediction of falls in the elderly. American Geriatric Society, 82(4), 273-278. 

  9. S. L. Park & T. W. Kim. (2000). Poverty and income distribution. Health and Welfare Forum, 41, 17-25. 

  10. I. S. Hyeon, M. H. Park, K. M. Park & N. Kim. (2010). The Effects of a Fall Prevention Program on the Low-Income Elderly at Risk of Fal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1 (2), 200-209. 

  11. S. Y. Hwang & S. J. Shin. (2013). Predictors of fall Prevention Behaviors in Elderly Inpati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3(2), 76-85. 

  12. K. R. Shin, J. S. Kim & S. J. Shin. (2004). The effect safety accident prevention program on safety accident related Knowledge, attitude and activity of low-income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Gerontological Society, 24(4), 53-67. 

  13. S. W. Lee. (2015). Effects of Positive Attitude of Laughter Recreation Convergence Education on Psychological Happines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3), 37-49. 

  14. S. O. Kim, H. S. Oh & M. S. Mee. (2016). A Study on the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towards the Elderly. Journal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22(2), 163-170. 

  15. Y. O. Kang & R. Y. Song. (2018). Effects of Fall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n Attitudes, Prevention Behaviors, and Satisfaction among Elderly In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0(1), 49-59. 

  16. I. Y. Yoo & J. H. Choi. (2007). Experience of Falls and Predictors of Fall in the Elderly at Senior Citizens'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8(1), 14-22. 

  17. J. Y. Hur & H. J. Kim. (2009). Relationship of Risk Factors, Knowledge and Attitude to Falls in Elderly Inpatients. Journal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Society, 11(1), 38-50. 

  18. M. Y. Jeon & S. H. Yang. (2013). Risk Factors for Recurrent Falls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in Rural Area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12), 6353-6363. 

  19. C. H. Joo & O. N. Kim. (2018). The Study on the Analysi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Elderly Welfare Center Programs by Region Characteristics.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1), 370-379. 

  20. I. Y. Yoo & J. W. Choi. (2007). Experience of Falls and Predictors of Falls in the Elderly at Senior Citizens'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8(1), 14-22. 

  21. C. G. Kim & M. J. Suh. (2002). An analysis of fall incidence rate and its related factors of fall in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9(2), 210-228. 

  22. K. S. Jang. (2014). A Model for Fall Prevention Behavior of Arthritis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PhD. dissertation. Chungnam University, Daejeon. 

  23. M. S. Kwon. (2010). Relations among Knowledge, Fear and Efficacy of Fall in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1(2), 139-147. 

  24. M. J. Moon.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for exercise,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fall knowledge, and fear of falling.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2), 887-900. 

  25. M. Y. Kim. (2008). Fall-related Knowledge and Prevention Behavior among Hospitalized Elderly Inpatients.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6. S. H. Kim & J. M. Seo. (2017). Geriatric Hospital Nurses' Knowledge, Attitude toward Falls, and Fall Prevention Activities. Journal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Society, 19(19), 81-91. 

  27. Y. M. Seo, M. S. Kang, & M. Y. Jeon. (2016). Predictive Factors on Level of Physical Activity in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6), 151-160. 

  28. I. K. Lee & J. Y. Choi. (2013). Factors associated with nurses' activities for hospital fall prevention.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6(1), 55-62. 

  29. J. W. Park & H. R. Yoo. (2006). Fear of, ADL and Physical Functioning among Senior Citizen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9(2), 117-125. 

  30. Y. H. Kim, K. H. Yang & K. S. Park. (2013). Fall Experience and Risk Factors Falls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2), 91-101. 

  31. Y. J. Bae. (2017). Relationship Between Older Adults' Fear of Falling and Satisfaction of Life: Case Study of Seniors Welfare Center. The Korean Journal of Sport, 15(4), 511-518. 

  32. K. C. Lim, K. J. June & J. L. Yoon. (2009).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Functional Status, and Home Environment Hazards in Terms of the Fear of Falling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the Gerontological Society, 29(4), 1577-15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