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듬청각자극을 동반한 경사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Effects of Inclined Treadmill Walking Training with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on Balance and Gait in Stroke Patients: A pilot stud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3 no.4, 2015년, pp.69 - 78  

윤성경 (한국교통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강순희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inclined treadmill gait training with rhythmic auditory simulation (RAS) could improve on balance and gait in stroke patients. Method: Fifteen stroke patients who had agreed with the study were allocated to the group 1(n=5), group 2(n=5), 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예비연구로써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대한 RAS를 동반한 트레드밀 보행훈련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향후 더 많은 수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간의 중재를 통하여 훈련효과를 알아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후속평가를 통하여 중재효과의 유지여부를 평가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RAS를 동반한 경사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예비연구를 시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RAS를 동반한 경사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훈련 전·후 균형과 보행 관련변수의 변화량을 평가한 결과, 실험군 1이 실험군 2 및 실험군 3에 비해 균형 및 보행에서 더 많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 현재까지 뇌졸중환자의 보행에 있어서 리듬청각자극의 효과에 대한 관련 선행연구의 결과는 일관된 결과를 보이지 않고 있고, 또한 일부 보행변수들에 대한 트레드밀 훈련의 효과만 이 보고되었으며, 뇌졸중환자의 균형에 대한 RAS를 동반한 경사트레드밀 보행훈련의 효과에 대한 근거는 불충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사 트레드밀 보행훈련에 RAS를 함께 적용함으로써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서교철, 김현애(2013). 계단보행훈련과 경사로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8(3), 397-406. 

  2. 위근수(2011). 계단과 경사로 보행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윤남식, 이경옥, 김지연(2001). 트레드밀 운동 시 속도와 경사도에 따른 운동역학적 변인의 특성 비교. 한국유산소운동과학회지, 5(1), 49-68. 

  4. 이효기, 황성재, 조성필 등(2009). 뇌졸중으로 인한 뇌졸중 환자의 보행평가를 위한 체중심 가속도센서 기반의 새로운 보 검출 알고리즘 개발. 의공학회지, 30(3), 213-220. 

  5. 장은정(2013). 경사로와 계단에서 PNF 하지패턴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전광열, 최원재, 이승원(2014). 기능적 전기 자극을 병행한 점진적 속도 트레드밀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지, 53(3), 365-383. 

  7. 차영아(2009). 리듬, 음악 그리고 뇌. 서울, 학지사. 

  8. 하귀현, 이명모, 송창호(2013). 양측 리듬청각자극을 이용한 트레드밀 보행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지, 52(1), 295-315. 

  9. 한진태(2008). 계단과 경사로 오르기 시 노인의 보행특성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0. Ada L, Dean CM, Hall JM, et al(2003). A treadmill and over ground walking program improves walking in persons residing in the community after stroke: a placebo-controlled, randomiz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84(10), 1486-1491. 

  11. Beninato M, Portney LG, Sullivan PE(2009). Using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as a framework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falls and clinical assessment tools in people with stroke. Phys Ther, 89(8), 816-825. 

  12. Bobath B(1990). Adult hemiplegia: evaluation and treatment. 3rd ed, London, Heinemann. 

  13. Brown LA, Sleik RJ, Winder TR(2002). Attentional demands for static postural control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83(12), 1732-1735. 

  14. Chen G, Patten C, Kothari DH, et al(2005). Gait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with post-stroke hemiparesis and non-disabled controls at matched speeds. Gait Posture, 22(1), 51-56. 

  15. Del Olmo MF, Arias P, Furio MC, et al(2006).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training using auditory stimulation on rhythmic movement in Parkinsonjan patientsa combined motorand [18F]-FDG PET study. Parkinsonism Relat Disord, 12(3), 155-164. 

  16. Dickstein R, Dvir Z, Jehosua AB, et al(1994). Automatic and voluntary lateral shifts in rehabilitation of hemiparetic patients. Clin Rehabil, 8(2), 91-99. 

  17. Eich HJ, Mach H, Werner C, et al(2004). Aerobic treadmill plus Bobath walking training improves walking in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18(6), 640-651. 

  18. Eimer M(2001). Crossmodal links in spatial attention between vision, audition, and touch: evidence from event-related brain potentials. Neuropsychologia, 39(12), 1292-1303. 

  19. Eng JJ, Chu KS(2002). Reliability and comparison of weight bearing ability during standing tasks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83(8), 1138-1144. 

  20. Flansbjer UB, Holmback AM, Downham D, et al(2005). Reliability of gait performance tests in men and women with hemiparesis after stroke. J Rehabil Med, 37(2), 75-82. 

  21. Ford MP, Wagenaar RC, Newell KM(2007). The effects of auditory rhythms and instruction on walking patterns in individuals post stroke. Gait Posture, 26(1), 150-155. 

  22. Hase K, Suzuki E, Matsumoto M, et al(2011). Effects of therapeutic gait training using a prosthesis and a treadmill for ambulatory patients with hemiparesis. Arch Phys Med Rehabil, 92(12), 1961-1966. 

  23. Hayden R, Clair AA, Johnson G, et al(2009). The effect of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RAS) on physical therapy outcomes for patients in gait training following stroke: a feasibility study. Int J Neurosci, 119(12), 2183-2195. 

  24. Hiengkaew V, Jitaree K, Chaiyawat P(2012). Minimal detectable changes of the Berg Balance Scale, Fugl-Meyer Assessment Scale, Timed "Up & Go" Test, gait speeds, and 2-minute walk test in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with different degrees of ankle plantarflexor tone. Arch Phys Med Rehabil, 93(7), 1201-1208. 

  25. Hesse S, Werner C, Paul T, et al(2001). Influence of walking speed on lower limb muscle activity and energy consumption during treadmill walking of hemiparetic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82(11), 1547-1550. 

  26. Horenstein C, Lowe MJ, Koenig KA, et al(2009). Comparison of unilateral and bilateral complex finger tapping-related activation in premotor and primary motor cortex. Human Brain Mapp, 30(4), 1397-1412. 

  27. Howe TE, Lovgreen B, Cody FW, et al(2003). Auditory cues and modify the gait of persons with early-stage Parkinson's disease: a method for enhancing Parkinsonian walking performance?. Clin Rehabil, 17(4), 363-367. 

  28. Lay AN, Hass CJ, Richard NT, et al(2007). The effects of sloped surfaces on locomotion; an electromyographic analysis. J Biomech, 40(6), 1276-1285. 

  29. Leroux A, Fung J, Barbeau H(1999). Adaptation of the walking pattern to up hill walking in normal and spinal-cord injured subjects. Exp Brain Res, 126(3), 359-368. 

  30. Mauritz KH(2002). Gait training in hemiplegia. Eur J Neurol, 9(S1), 23-29. 

  31. McDonald JJ, Teder-Salejarvi WA, Di Russo F, et al(2003). Neural substrates of perceptual enhancement by cross-modal spatial attention. J Cogn Neurosci, 15(1), 10-19. 

  32. McIntosh AS, Beatty KT, Dwan LN, et al(2006). Gait dynamics on an inclined walkway. J Biomech, 39(13), 2491-2502. 

  33. Michel JA, Mateer CA(2006). Attention rehabilitation following stroke and traumatic brain injury: a review. Eura Medicophys, 42(1), 59-67. 

  34. Nilsson L, Carlsson J, Danielsson A, et al(2001). Walking training of patients with hemiparesis at an early stage after stroke: a comparison of walking training on a treadmill with body weight support and walking training on the ground. Clin Rehabil, 15(5), 515-527. 

  35. Pelton TA, Johannsen L, Huiya C, et al(2010). Hemiparetic stepping to the beat: asymmetric response to metronome phase shift during treadmill gait. Neurorehabil Neural Repair, 24(5), 428-434. 

  36. Perry J(1969). The mechanics of walking in hemiplegia. Clin Orthop Rel Res, 63, 23-31. 

  37. Perry J(1992). Gait analysis: normal and pathological function. New Jersey, Slack Inc. 

  38. Podsiadlo D, Richardson S(1991). The timed UP & GO: a test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 J Am Geriatr Soc, 39(2), 142-148. 

  39. Popescu M, Otsuka A, Ioannides AA(2004). Dynamics of brain activity in motor and frontal cortical areas during music listening: a magnetoencephalographic study. Neuroimage, 21(4), 1622-1638. 

  40. Roerdink M, Lamoth CJ, Kwakkel G, et al(2007). Gait coordination after stroke: benefits of acoustically paced treadmill walking. Phys Ther, 87(8), 1009-1022. 

  41. Roth EJ, Merbitz C, Mroczek K, et al(1997). Hemiplegic gait relationships between walking speed and other temporal parameters. Am J Phys Med Rehabil, 76(2), 128-133. 

  42. Silsupadol P, Shumway-Cook A, Lugade V, et al(2009). Effect of single-task versus dual-task training on balance performance in older adults: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90(3), 381-387. 

  43. Thaut MH, Leins AK, Rice RR, et al(2007).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improves gait more than NDT/Bobath training in near ambulatory patients early post stroke: a single blind, randomized tri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21(5), 455-459. 

  44. Thaut MH, McIntosh GC, Rice RR, et al(1997). Rhythmic facilitation of gait training in hemiparetic stroke rehabilitation. J Neurol Sci, 151(2), 207-2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