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직원의 업무만족,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
Task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sion of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Employe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12, 2015년, pp.1881 - 1894  

박은혜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영은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국의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중 총 30개 센터, 227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2013년 12월 27일부터 2014년 1월 30까지 업무에 대한 만족도, 전반적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를 조사하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사업의 효과를 높이고 직원들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어린이 대상 방문교육'의 업무만족도가 4.24점으로 가장 높았고, '재정관리' 업무만족도가 2.92점으로 가장 낮았다. 직무만족 조사도구의 타당도 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9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직원의 직무만족에 대한 응답 결과 전반적 직무만족의 전체 평균값은 3.45점으로 나타났고, '동료와의 관계' 요인이 평균 3.99점, '직무성취감' 요인이 평균 3.98점, '회원 어린이급식소와의 관계'가 평균 3.45점으로 높게 응답되었다. 직무만족이 가장 낮게 응답된 요인은 '보수'로 2.45점이었으며, '업무의 양' 요인도 2.66점으로 낮게 응답되었다. 직원의 조직몰입에 대한 응답 결과 조직몰입의 전체 평균값은 3.54점으로 이직의도의 전체 평균값은 3.07점으로 나타났다. 전반적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영향을 끼치는 단면적 직무만족 요인 회귀분석 결과 전반적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공통적으로 상사와의 관계, 직무성취감, 고용안정성 및 복리후생 요인이 유의적인 영향을 끼쳤다. 센터의 공통적인 대표 업무 6가지로 영양순회지도 업무, 위생 안전순회방문지도, 어린이 방문교육, 조리원 방문교육, 집합교육, 재정관리를 선정하여 업무만족도, 근무하는 센터의 개소시기, 직원의 직위와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보기 위하여 6개의 모형의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6개의 모든 모형에서 업무만족도는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에 비해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더 강한 상관을 보였고,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사이에 조직몰입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위생 안전순회방문지도 업무(업무만족도 3.88점), 어린이대상 방문교육 업무(4.24점), 조리원대상 방문교육 업무(3.80점)는 경로모형에서 업무만족도가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에 유의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 업무에 비해 업무만족도가 4.24점으로 확연히 높게 응답된 어린이대상 방문교육 업무의 경우 업무만족도가 이직의도에도 유의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업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업무만족도가 낮은 업무를 수행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업무가 센터 업무 수행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함을 상기시킴으로써 조직몰입을 높이거나 업무만족이 낮은 업무와 높은 업무를 센터의 상황에 맞게 적절히 혼합하여 업무를 배정하는 방법을 통해 업무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직무만족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 모두에 유의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끼치는 '상사와의 관계', '담당기관과의 관계', '직무성취감', '고용안정성 및 복리후생' 요인에 해당하는 직무환경을 개선하여 최종적으로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고 센터에 필요한 유능한 인재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on difficulty of performing tasks, degree of task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s well as investigate correlations among these factors. Data were collected on employees working at Centers f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긍정적인 직무태도를 높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보는 많은 선행연구가 있었으나, 현재까지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와 관련하여 수행된 연구는 센터에서 수행한 사업의 결과나 효과성을 보고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19-25). 따라서 선행연구(26)에 이어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의 업무만족,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를 조사하고 변수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사업의 효과를 높이고 직원들의 직무만족을 제고하기 위한 센터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적인 직무만족과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대표적인 가설은 어떤 것이 있는가? 현재까지 직무성과를 높이는 변인으로서 직무만족을 분석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13). 전통적인 직무만족과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대표적인 가설은 크게 종업원의 만족이 높은 성과를 가져온다는 주장에 근거하는 사회교환 이론(13,14)과 높은 성과에 따라 높아지는 보상의 정도에 의해 직무만족이 결정된다는 기대이론(13,15)이 있다. 직무만족과 마찬가지로 조직몰입도 직무성과와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16).
업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따라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24점으로 확연히 높게 응답된 어린이대상 방문교육 업무의 경우 업무만족도가 이직의도에도 유의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업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업무만족도가 낮은 업무를 수행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업무가 센터 업무 수행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함을 상기시킴으로써 조직몰입을 높이거나 업무만족이 낮은 업무와 높은 업무를 센터의 상황에 맞게 적절히 혼합하여 업무를 배정하는 방법을 통해 업무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직무만족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 모두에 유의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끼치는 ‘상사와의 관계’, ‘담당기관과의 관계’, ‘직무성취감’, ‘고용안정성 및 복리후생’ 요인에 해당하는 직무환경을 개선하여 최종적으로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고 센터에 필요한 유능한 인재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목표는 무엇인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08년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특별법’을 제정하여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운영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으며(1), 효과적인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운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2011년부터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를 설치 운영하고 있다(2).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는 어린이집, 유치원, 지역아동센터 등 어린이에게 단체급식을 제공하는 집단급식소를 대상으로 체계적이고 철저한 위생관리 및 영양관리를 지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단체급식의 체계화, 어린이의 균형 성장, 학부모의 신뢰 회복을 목표로 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Jeong YH, Chae IS, Yang IS, Kim HY, Lee HY. 2013. Analysis of relative importance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center for child-care foodservice management through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Korean J Community Nutr 18: 154-164. 

  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4. Detailed operating guideline for CCFSM in 201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ejong, Korea. p 3 

  3. The Office of Legislation. 2013. Special act on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dietary life. Article 5-21. http://elaw.klri.re.kr/kor_service/lawView.do?hseq28049&langENG (accessed Mar 2015). 

  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4. Principal business plan in 201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ejong, Korea. p 4,21. 

  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4. Operating guideline for CCFSM in 201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ejong, Korea. p 45-55. 

  6. Cha IS. 2012.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in social welfare centers. PhD Dissertation. Daejeon University, Daejeon, Korea. p 79-80, 91-92. 

  7. Yang IS, Myung MS, Lee SJ, Lee HY.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quit of employees in F&B department of hotels by job typ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 151-157. 

  8. Kim KJ. 2003. A study on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in Busan. Social Sci Research Review 19: 65-93. 

  9. Locke EA. 1969. What i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4: 309-336. 

  10. Mowday RS, Porter LW, Steer RM. 1982. Employee organization linkage. Academy Press, New York, NY, USA. Vol 1, p 27. 

  11. Farrell D, Rusbult CE. 1981. Exchange variables as predictors of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nd turnover: The impact of rewards, costs, alternatives, and investment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27: 78-95. 

  12. Jun IW. 2003. A study on the teachers' intention related factors to leave and attitudes toward teaching profession of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J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7: 39-52. 

  13. Oh IS, Kim KH, Darnold TC, Hwang JO, Yoo TY, Park YA, Park LH. 2007. Relationships among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A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with Korean samples. Korean J of Management 15: 43-86. 

  14. Kim SS. 2013.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are workers working in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Focused on the social exchange theory and need theory. PhD Dissertation. Honam University, Gwangju, Korea. p 18-19. 

  15. Kwon SK. 2015.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government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M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p 23-25. 

  16. Lepine JA, Erez A, Johnson DE. 2002. The nature and dimensionality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 critical review and meta-analysis. J Appl Psychol 87: 52-65. 

  17. Cooper-Hakim A, Viswesvaran C. 2005. The construct of work commitment: testing an integrative framework. Psychol Bull 131: 241-259. 

  18. Tett RP, Meyer JP. 1993.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 Path analyses based on meta-analytic findings. Personnel Psychology 46: 259-293. 

  19. Kim HY, Yang IS, Chae IS, Yi BS, Park MK, Kim HY, Kang TS, Leem DG, Lee JH, Lee HY. 2013. Effectiveness of center for child-care foodservice management for menu management and dietary variety. Korean J Community Nutr 18: 243-256. 

  20. Kim SH, Oh EY, Han JS. 2014. Effects of food safety management support of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on foodservice facilities for children in Busan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 261-274. 

  21. Yang IS, Lee BS, Lee HY, Baek SH, Shin SY, Park MK, Kim YS, Ki SY. 2009. The effec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director and cooks of child-care facilities/kindergartens by the pilot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Poster No FSE-6 presented at 25th Spring Meeting of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p 220. 

  22. Park SH, Park SY, Kim SJ, Lee HN, Jung S, Han SE, Lee JW. 2011. The study on evaluating the effec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children in child-care facilities-focusing on Gangseo CCFSM. Sook-Myung J of Science for Better Living 28: 1-14. 

  23. Kim MJ, Kim JH, Bae HJ, Jin JK, Han JS. 2013. The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for children enlisted in CCFSM and evaluating educational effects. Poster No FSE-1 presented at 29th Spring Meeting of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p 173. 

  24. Park GN. 2012. Analysis of the effect of Center for Child-Care Foodservice Management on safety control of meal in child-care facility and kindergarten. M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p 1-97. 

  25. Kim SY, Yang IS, Lee BS, Baek SH, Shin SY, Lee HY, Park MK, Kim YS. 2011. Child-care facility and kindergarten's demands on foodservice support by Center for Child-Care Foodservice Management (CCFSM) in Seoul and Gyeonggi-do. Korean J Community Nutr 16: 730-739. 

  26. Park EH, Lee YE. 2015.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CCFSM) employees' perception on difficulties in performing task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619-634. 

  27. Kim HY. 2004. (The) effects of dietitians' job satisfaction, working in contracted food service management company, on customer orientation and financial performance.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p 113-119. 

  28. Kim JS. 2012. Job expectation and job satisfaction of nutrition teachers in Seoul area.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p 1-64. 

  29. Kim MJ. 2003. (The) effects of background variables and education programs on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job changing: A focus on educational rehabilitation teachers on the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isabled.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p 80-87. 

  30. Yang AS. 2008. ICU new nurses' job str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p 60-67. 

  31. Allen NJ, Meyer JP. 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 1-18. 

  32. Lawler EE. 1983. Satisfaction and behavior. In Motivation and Work Behavior. McGraw Hill, New York, NY, USA. p 287-301. 

  33. Park HS. 2002.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nursing care role orientation, job characteristics, and turnover among nurses.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p 1-67. 

  34. Cha MH, Seo SH. 2006. Comparison analysis of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job satisfaction, work value, and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expectation to be a nutrition teacher. Korean J Community Nutr 11: 361-373. 

  35.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014. Nutrition and dietetics (issued in May).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Seoul, Korea. p 13. 

  36. Choi KJ. 2008. A study on the work satisfaction of publishing editors: From the viewpoint of the ERG theory. M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37. Kim SW. 2011. Study on the important factors for non-commissioned officer's job satisfaction in R.O.K army based on Herzberg's two factor theory. J Korean Public Police and Security Studies 9: 217-238. 

  38. Shin YG. 1997. Human oriented management. Dasan Books, Seoul, Korea. p 184-185. 

  39. Lee SH. 2005. The effects of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ternational J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19: 95-108. 

  40. Woo JP. 2012. Principle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Hannarae, Seoul, Korea. p 309. 

  41. Curran PJ, West SG, Finch J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 16-29. 

  42. Kim KH. 2006. Discordance between job and major. Labor Rev 1: 92-1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