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등록 시설 국물음식의 염도 모니터링
Salinity Monitoring of Soups of The Institutions Enrolled at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6 no.6, 2016년, pp.507 - 516  

박현내 (서울시 강동구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  김순미 (서울시 강동구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속적인 염도 관리의 교육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강동구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 등록된 21인 이상의 어린이집에서 제공되는 국물음식의 염도를 모니터링 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모니터링을 실시한 시설은 1차 102개소, 2차 76개소, 3차 78개소이며, 맑은 장국, 된장국, 곰국, 찌개, 기타로 구분한 국물음식의 평균 염도는 1차(0.45%), 2차(0.41%), 3차(0.39%)로 진행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1). 2.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염도는 국공립어린이집의 경우, 1차 0.43%, 2차 0.35%, 3차 0.38%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민간어린이집은 1차 0.46%, 2차 0.43%, 3차 0.39%로 모니터링을 진행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1). 3. 집단급식소 등록 여부에 따라 급식 인원 50인 이상의 대규모 급식소와 50인 미만의 소규모 급식소의 염도를 비교한 결과, 대규모 급식소의 국물음식의 평균 염도가 낮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모두 1차에 비해 3차의 평균 염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4. 3차에 걸친 모니터링 시 어린이집에서 제공한 국물음식의 횟수는 총 256회였으며, 이 중 맑은 장국이 139회로 가장 많이 제공되었고, 된장국이 76회, 기타(들깻국, 수제비 등) 24회, 찌개 9회, 곰국 8회 순서로 나타났다. 5. 국물음식의 종류별 염도는 곰국을 제외하고는 맑은 장국, 된장국, 찌개 모두 1차에서 3차로 진행될수록 염도가 감소하였으나, 국의 종류 및 모니터링 차수에 따른 염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동일한 국물음식 간에도 염도의 차이가 매우 커서 개별 국물음식의 최소치와 최대치의 차이는 1차의 경우 달걀국이 0.62%, 2차는 감잣국이 0.54%, 3차는 양송이국이 0.64%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 지속적인 염도 모니터링 진행을 통해 어린이집 국물음식의 염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센터에서 진행하는 교육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영유아 급식시설에서의 국물음식의 염도 기준은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으나,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성인의 경우 0.6% 이하, 영유아 급식시설에서는 이보다 더 낮은 0.5% 이하로 관리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적정 염도는 음식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영유아를 위한 주요 나트륨 급원 메뉴의 적정 염도범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3차에 걸쳐 조사된 국물음식의 전체 염도 평균치는 모두 0.5% 미만으로 적절한 범위에서 관리하고 있었으나, 개별 국물음식의 염도는 매우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영유아는 미각이 형성되는 시기이며, 염도는 음식에 대한 기호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국물음식의 염도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후 최고 염도뿐만 아니라, 음식의 맛과 건강을 함께 고려하는 최저 염도에 대한 논의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alinity of soups of institutions enrolled at the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was monitored to reduce sodium intake of children by continuously managing salinity of soups provided by children food service. Monitoring of salinity was conducted by a salinity meter (SB-1500H, HM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 급식시설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나트륨 저감화를 위한 최선의 방안을 국물음식의 염도 관리로 보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16년에 강동구 어린이급식지원센터에 등록된 급식시설에서 제공한 국물음식을 종류별로 분류한 후 모니터링한 염도를 비교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강동구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 등록된 어린이 급식소 중 정원 21인 이상의 어린이 급식소를 대상으로 국물음식의 염도를 중심으로 하는 나트륨 저감화 교육 프로그램(Gangdong-gu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2016)의 일환으로 진행한 결과이다.
  • 본 연구는 지속적인 염도 관리의 교육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강동구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 등록된 21인 이상의 어린이집에서 제공되는 국물음식의 염도를 모니터링 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주된 역할 전국 센터에서 관리 받고 있는 수혜아동 수는 77만 명으로 전체 해당 인구의 55%를 차지하고 있다(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b). 센터의 주된 역할은 순회방문을 통한 급식소의 위생 및 영양관리이며, 영양관리 부분의 주요 업무는 어린이영양교육과 함께 식단 및 레시피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Mi- 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c). 강동구 센터의 경우, 등 록 시설의 87.
전국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 관리 받고 있는 수혜아동 수는? 등록 대상 시설은 영양사 고용의무가 없는 100인 미만의 어린이집 등 급식소이다(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a). 전국 센터에서 관리 받고 있는 수혜아동 수는 77만 명으로 전체 해당 인구의 55%를 차지하고 있다(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b). 센터의 주된 역할은 순회방문을 통한 급식소의 위생 및 영양관리이며, 영양관리 부분의 주요 업무는 어린이영양교육과 함께 식단 및 레시피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Mi- 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c).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등록 대상 시설은?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는 2008년 제정된 어린이식생활 안전관리특별법 제21조에 의거해 설치․운영되고 있으며, 2016년 10월 현재 전국 206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등록 대상 시설은 영양사 고용의무가 없는 100인 미만의 어린이집 등 급식소이다(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a). 전국 센터에서 관리 받고 있는 수혜아동 수는 77만 명으로 전체 해당 인구의 55%를 차지하고 있다(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n Y, Kim KW, Kim KM, Pyun JW, Yeo IH, Nam, KS (2015) Nutrition knowledge, eating attitudes, nutrition behavior, self-efficacy of childcare center foodservice employees by stages of behavioral change in reducing sodium intake. Korean J Nutr 48(5): 429-440. 

  2. Chang SK, Kim YS, Lee SD, Suh SK, Yu SW (1983) A study on optimal gustation of salt in hypertensive patients in Korea. Korean J Nutr 16(1): 21-26. 

  3. Cho MH, Kim SJ, Lee KH (2008) A study on preference of salinity and temperature of soups served in the institutional foodservice establishment.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4): 601-607. 

  4. Ekhrd EZ, Filer JR (1996) Salt, water and extracellular volume regulation present knowledge in nutrition, 7th ed., ILSL Press, pp 265-271. 

  5. Gangdong-gu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2016) Report on Sodium Reduction Education Program. 

  6. Gary K (1983) Modification of salt taste. Annals of Internal Medicine 98(5): 763-769. 

  7. Jung HR, Lee MJ, Kim KC, Kim JB, Kim DH, Kang SH, Park JS, Kwon KI, Kim HK, Park YB (2010) Survey on the sodium contents of nursery school meals in Gyeonggi-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4): 526-534. 

  8. Kim GY (2003) Soup in Korean food cultur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5): 448-466. 

  9. Kim JA, Lee YM (2014) The effect of a periodic visiting education program on food safety knowledge of cooks in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J Korean Diet Assoc 20 (1): 36-49. 

  10. Kim JN, Park SY, Ahn SH, Kim HK (2013) A survey on the salt content of kindergarten lunch meals and meal providers’ dietary attitude to sodium intake in Gyeonggi-do area. Korean J Comm Nutr 18(5): 478-490. 

  11. Korean Consumer Agency (2013) Survey for the reduction of sodium intake. Korean Consumer Agency, Korea. pp 1-23. 

  12. Lim HJ (2001) A study on the calcium and sodium intakes and urinary calcium excretion of preschool children in Busan. Korean J Nutr 34(7): 786-796. 

  13. Lim HJ (2001) A study on the calcium and sodium intakes and urinary calcium excretion of preschool children in Busan. Korean J Nutr 34(7): 786-796. 

  14. Matters RD (1984) Salt taste and hypertention: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J Chron Dis 37(3): 195-208. 

  15. Michell AR (1978) Salt appetite, salt intake and hypertension: A deviation of perspective. Perspect Bio Med 21(3): 335-347. 

  1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a) The status of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https://ccfsm.foodnara.go.kr (Assessed on 30. 9. 2016). 

  1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b) Report on the satisfaction about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1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c) Guidelines for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for 2014. 

  1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d) Salt taste assessment tool. https://www.foodnara.go.kr/Na_down (Assessed on 30. 9. 2016). 

  2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e) Restaurant operations management practice to reduce sodium guidelines for 2016.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Korea Health Statistics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3).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24. Pangborn RM, Pecore SD (1982): Taste perception of sodium chloride in relation to dietary intake of salt. Am J Clin Nutr 35(3): 510-520. 

  25. Shin EK, Lee HJ, Jun SY, Jung YY, Park EJ, Ahn MY, Lee YK (2008)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sodium reduction in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J Comm Nutr 13(2): 216-227. 

  26. Shin HW, Lee YM (2014) The effectiveness of Na reduction program for cook in child care center -Focus on self-revaluation and strengthen consciousness-. Korean J Comm Nutr 19(5): 425-435. 

  27.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2016)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25070&cid46672&categoryId46672 (Assessed on 30. 9. 2016). 

  28.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3)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report of a joint WHO/FAO Expert Consultation.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Technical report series, No. 916). 

  30. Yoon YS, Oh SW (2013) Sodium density and obesity: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0. Eur J Clin Nutr 67(2): 141-146. 

  31. Yu JE, Park RS (2012)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 culinary education effectiveness by the education’s motive and contents consideration. J Korean Home Econ 50(4):11-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