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우스 흑색종세포에서 Purpurogallin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Antimelanogenic Effect of Purpurogallin in Murine Melanoma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12, 2015년, pp.1905 - 1911  

김한혁 (경북테크노파크 첨단메디컬융합섬유센터) ,  김태훈 (대구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연 미백소재 개발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들이 멜라닌 합성저해 및 활성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으며, 이러한 이유로 tyrosinase 저해제 개발이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배 유래의 polyphenol oxidase를 이용하여 천연에 존재하는 단순 폴리페놀인 pyrogallol의 산화 축합반응을 유도하여 purpurogallin을 효율적으로 생합성하였으며, 본 화합물에 대해서 미백 활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MTT assay를 통해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구간을 설정하였으며, purpurogallin은 $25{\mu}M$ 농도의 melanoma 세포 내에서 tyrosinase 활성을 20% 이상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25{\mu}M$의 시험 농도에서 purpurogallin은 약 20% 이상의 melanin 생합성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미백 관련 전사인자인 MITF, TRP-1, TRP-2, tyrosinase의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본 화합물은 B16F10 melanoma 세포에서 tyrosinase, TRP-1과 TRP-2의 단백질 생합성을 두 추출물 모두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yrosinase, TRP-1과 TRP-2의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로는 MITF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로 MITF는 melanin 생성과 관련된 여러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다. 따라서 purpurogallin은 melanin 생성과 관련된 중요한 세 가지 단백질의 생합성을 전사단계에서 조절 전사인자인 MITF의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멜라닌 생합성에 있어서 상위 신호단계에 있는 전사인자 MITF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하위 신호전달 과정을 억제하는 것임을 시사하며, 향후 추가적인 검증작업을 통해 화장품 소재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lani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skin color. Melanogenesis is the bioprocess of melanin production by melanocytes in the skin and hair follicles and is mediated by several enzymes, such as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 (TRP)-1, and TRP-2. Convenient enzymatic transfor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천연 미백소재 개발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들이 멜라닌 합성 저해 및 활성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으며, 이러한 이유로 tyrosinase 저해제 개발이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배 유래의 polyphenol oxidase를 이용하여 천연에 존재하는 단순 폴리페놀인 pyrogallol의 산화축합반응을 유도하여 purpurogallin을 효율적으로 생합성 하였으며, 본 화합물에 대해서 미백 활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MTT assay를 통해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구간을 설정하였으며, purpurogallin은 25 μM 농도의 melanoma 세포 내에서 tyrosinase 활성을 20% 이상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 팀에서도 배 유래의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활용하여 phenylpropanoid 화합물의 산화반응을 통해 lignan 화합물을 생합성하였고 이들 신규 화합물의 cyclooxygenase-2에 대한 저해 활성의 결과를 보고하였다(9). 본 연구에서는 배 유래의 polyphenol oxidase를 활용하여 pyrogallol의 산화축합반응 생성물인 purpurogallin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탐색하고자 미백 활성을 평가하였다. 미백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마우스 흑색세포종 cell line인 B16F10 cell을 이용하여 추출물의 세포 독성 확인 및 melanin 생합성 검증, 멜라닌 생합성에 관련되어있는 전사인자인 MITF, TRP1, TRP-2, tyrosinase의 단백질 발현을 측정하여 미백 소재 개발을 위한 천연유래 자원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녹차에는(-)-epigallocatechin gallate(EGCG) 등 다량의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들 화합물은 녹차 잎에 존재하는 polyphenol oxidase에 의해 카테킨의 catechol 과 pyrogallol 부분이 산화되고 benzotropolone의 새로운 구조를 가진 theaflavin과 같은 축합물을 생성한다(8).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에서 보고한 페놀성 화합물의 효소반응 산화생성물의 항염증 효능 평가를 수행한 실험과 동일한 방법(9)으로 배 유래의 polyphenol oxidase를 효소원으로 하여 페놀성 화합물인 pyrogallol이 산화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purpurogallin의 피부 미백 활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yrosinase의 저해제로 알려진 hydroquinone, arbutin 및 kojic acid의 문제점은? 최근에는 melanin 과잉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금까지 알려진 tyrosinase의 저해제로 hydroquinone, arbutin 및 kojic acid 등이 있다. 그러나 피부 안전성 및 제품 제형 안정성 등의 문제로 제한된 양만 사용되고 있으며(7), 이에 따라 melanin 합성을 감소시키고 동시에 부작용이 없는 천연소재 개발이 주목을 받고 있다.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는? 피부세포는 자외선과 환경오염 및 그 밖의 요인에 의한 자극의 방어 기전으로 포유동물의 표피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세포(melanocyte)의 멜라노좀에서 tyrosine이 tyrosinase 효소에 의해 멜라닌을 생성한다(1). 멜라닌 생성과 관련하여 잘 알려진 효소로는 tyrosinase 외에도 tyrosinase related protein-1(TRP-1)과 dopachrome tautomerase(DCT) 등이 있다. 그러나 이 중에서 tyrosinase 는 멜라닌 생합성의 속도 결정 단계인 초기 반응에 작용하는 효소로서 tyrosine을 3,4-dihydroxyphenylalanine(DOPA)으로 전환시키는 tyrosine hydroxylase 활성과 DOPA를 DOPA quinone으로 산화시키는 DOPA oxidase 활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녹차에 함유된 다량의 폴리페놀은? 녹차에는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등 다량의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들 화합물은 녹차 잎에 존재하는 polyphenol oxidase에 의해 카테킨의 catechol 과 pyrogallol 부분이 산화되고 benzotropolone의 새로운 구조를 가진 theaflavin과 같은 축합물을 생성한다(8).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에서 보고한 페놀성 화합물의 효소반응 산화생성물의 항염증 효능 평가를 수행한 실험과 동일한 방법(9)으로 배 유래의 polyphenol oxidase를 효소원으로 하여 페놀성 화합물인 pyrogallol이 산화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purpurogallin의 피부 미백 활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gar N, Young AR. 2005. Melanogenesis: a photoprotective response to DNA damage?. Mutat Res 571: 121-132. 

  2. Sanchez-Ferrer A, Rodriguez-Lopez JN, Garcia-Canovas F, Garcia-Carmona F. 1995. Tyrosinase: a comprehensive review of its mechanism. Biochim Biphys Acta 1247: 1-11. 

  3. Hearing VJ. 1999. Biochemical control of melanogenesis and melanosomal organization. J Investig Dermatol Symp Proc 4: 24-28. 

  4. del Marmol V, Beermann F. 1996. Tyrosinase and related proteins in mammalian pigmentation. FEBS Lett 381: 165-168. 

  5. Chakraborty AK, Funasaka Y, Komoto M, Ichihashi M. 1998. Effect of arbutin on melanogenic proteins in human melanocytes. Pigment Cell Res 11: 206-212. 

  6. Curto EV, Kwong C, Hermersdorfer H, Glatt H, Santis C, Virador V, Hearing VJ Jr, Dooley TP. 1992. Inhibitors of mammalian melanocytes tyrosinase: in vitro comparisons of alkyl esters of gentisic acid with other putative inhibitors. Biochem Pharmacol 57: 663-672. 

  7. Desmedt B, Rogiers V, Courselle P, De Beer JO, De Paepe K, Deconinck E. 201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ast chromatographic method for screening and quantification of legal and illegal skin whitening agents. J Pharm Biomed Anal 83: 82-88. 

  8. Li Y, Shibahara A, Matsuo Y, Tanaka T, Kouno I. 2010. Reaction of the black tea pigment theaflavin during enzymatic oxidation of tea catechins. J Nat Prod 73: 33-39. 

  9. Bae JS, Kim TH. 2012. Enzymatic transformation of caffeic acid with enhanced cyclooxygenase-2 inhibitory activity. Bioorg Med Chem Lett 22: 793-796. 

  10. Carmichael J, DeGraff WG, Gazdar AF, Minna JD, Mitchell J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11. Martinez-Esparza M, Jimenez-Cervantes C, Solano F, Lozano JA, Garcia-Borron JC. 1998. Mechanism of melanogenesis inhibition by tumor necrosis factor- $\alpha$ in B16/F10 mouse melanoma cells. Eur J Biochem 255: 139-146. 

  12. Sies H. 2010. Polyphenols and health: update and perspectives. Arch Biochem Biophys 501: 2-5. 

  13. Yasuda T, Inaba A, Ohmori M, Endo T, Kubo S, Ohsawa K. 2000. Urinary metabolites of gallic acid in rats and their radical-scavenging effects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J Nat Prod 63: 1444-1446. 

  14. Nonaka GI, Hashimoto F, Nishioka I. 1986. Tannins and related compounds. XXXVI. Isolation and structures of theaflagallins, new red pigments from black tea. Chem Pharm Bull 34: 61-65. 

  15. Park JG, Kramer BS, Steinberg SM, Carmichael J, Collins JM, Minna JD, Gazdar AF. 1987. Chemosensitivity testing of human colorectal carcinoma cell lines using a tetrazolim-based colorimetric assay. Cancer Res 47: 5875-5879. 

  16. Kwak JH, Seo UK, Han YH. 2001. Inhibitory effect of mugwort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Korean J Biotechnol Bioeng 16: 220-223. 

  17. Huang HC, Chou YC, Wu CY, Chang TM. 2013. [8]-Gingerol inhibits melanogenesis in murine melanoma cells through down-regulation of the MAPK and PKA signal pathways. Biochem Biophys Res Commun 438: 375-381. 

  18. Busca R, Ballotti R. 2000. Cyclic AMP a key messenger in the regulation of skin pigmentation. Pigment Cell Res 13: 60-69. 

  19. Sassone-Corsi P. 1998. Coupling gene expression to cAMP signalling: role of CREB and CREM. Int J Biochem Cell Biol 30: 27-38. 

  20. Li Y, Shibahara A, Matsuo Y, Tanaka T, Kouno I. 2010. Reaction of the black tea pigment theaflavin during enzymatic oxidation of tea catechins. J Nat Prod 73: 33-39. 

  21. Tanaka T, Miyata Y, Tamaya K, Kusano R, Matsuno R, Tamaru S, Tanaka K, Matsui T, Maeda M, Kouno I. 2009. Increase of theaflavin gallates and thearubigins by acceleration of catechin oxidation in a new fermented tea product obtained by the tea-rolling processing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and green tea leaves. J Agric Food Chem 57: 5816-5822. 

  22. Miyata Y, Tamaru S, Tanaka T, Tamaya K, Matsui T, Nagata Y, Tanaka K. 2013. Theaflavins and theasinensin A derived from fermented tea have antiherperglycemic and hypotriacylglycerolemic effects in KK-A(y) mice and Sprague-Dawley rats. J Agric Food Chem 61: 9366-93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