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히솝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
Antioxidant and Anti-Melanogenic Activities of Hyssopus officinalis Extracts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2 no.2, 2016년, pp.195 - 201  

신서연 (동신대학교 제약공학과) ,  김하늘 (동신대학교 제약공학과) ,  강세원 ((주)월드코스텍) ,  조홍석 ((주)월드코스텍) ,  김은지 ((주)월드코스텍) ,  박선화 ((주)월드코스텍) ,  박경목 (동신대학교 제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히솝(Hyssopus officinalis)은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방부제, 기침, 거담제 등 일반적으로 방향족 허브와 약용식물로 사용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및 미백소재의 개발을 위해 히솝을 열수와 주정으로 추출하여 각 추출물의 in vitro 상에서의 항산화 효과 및 B16F10 melanoma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를 평가하였다. DPPH와 ABTS assay 시험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히솝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히솝 추출물은 tyrosianse 활성을 저해시켰으며, B16F10 세포에서 UVB로 증가된 활성산소와 ${\alpha}$-MSH로 유도된 멜라닌 또한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RT-PCR을 실시한 결과 히솝 추출물에 의해 MITF, tyrosinase, TRP-2의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히솝 추출물은 미백개선을 위한 화장품 소재로서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yssopus officinalis is a herbaceous plant of the genus Hyssopus. Due to its properties as an antiseptic, cough reliever and expectorant, it is commonly used as an aromatic herb and medicinal plan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nd anti-melanogenic properties of Hyssop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열수와 주정으로 추출한 히솝 추출물을 각각 사용하여 B16F10 melanoma 세포에서 항산화 및 미백효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적용한 DPPH와 ABTS 시험법의 결과, 히솝 추출물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 된 것을 확인하였다.
  • 이와 같이 히솝의 다양한 효능이 알려진 바에 비해, 항산화 및 멜라닌 생성 저해에 대한 연구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16F10 melanoma 세포를 사용하여 히솝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및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와 그 작용기전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와 중요 조절 인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또한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로는 tyrosinase와 tyrosinase관련 단백질인 tyrosinase related protein 1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 2 (TRP-2)가 알려져 있으며, 멜라닌 합성의 중요한 조절 인자로 알려진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는 tyrosinase, TRP-1, TRP-2의 전사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 려져 있다[17-22]. 따라서 미백 활성 연구개발에 있어서 MITF 뿐만 아니라 tyrosinase, TRP-1, TRP-2 등과 같은 효소의 활성 억제효과 검증은 유용한 1차 평가방법으로 인정되고 있다[23].
히솝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사용된 히솝(Hysspus officinalis)은 통화 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국내에서는 우슬초라고 명명되기도 한다. 히솝의 매운맛이 있는 말빈 성분은 거담작용에 효과가 있으며, 달인액이나 부순 생잎은 세정약 혹은 습포제로 사용하기도 하며, 히솝 추출물 자체는 바이러스 증식 억제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천연물을 이용한 미백소재 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따라서 미백 활성 연구개발에 있어서 MITF 뿐만 아니라 tyrosinase, TRP-1, TRP-2 등과 같은 효소의 활성 억제효과 검증은 유용한 1차 평가방법으로 인정되고 있다[23]. 이러한 평가에 적용할 때 tyrosinase 억제제 대조군으로 많이 사용되는 kojic acid, 알부틴, 하이드로퀴논과 같은 많은 색소침착 저해 물질들은 강한 미백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피부자극 및 접촉성 피부염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다[24,25]. 따라서 천연물을 이용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미백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 A. Ferguson and S. H. Kidson, The regulation of tyrosinase gene transcription, Pigment Cell Res., 10(3), 127 (1997). 

  2. D. Tobin, A. Quinn, S. Ito, and A. Thody, The presence of tyrosinase and related protein in human epidermis and their relationship in melanin type, Pigment Cell Res., 7(4), 204 (1994). 

  3. K. N. Kim, H. M. Yang, S. M. Kang, D. Kim, C. Ahn, and Y. J. Jeon, Octaphlorethol a isolated from Ishige foliacea inhibits ${\alpha}$ -MSH-stimulated induced melanogenesis via ERK pathway in B16F10 melanoma cells, Food Chem. Toxicol., 59, 521 (2013). 

  4. S. Y. Choi, Y. C. Kim, and B. S. Chang, Inhibitory effect of black tea water extract on melanogenesis in melan-a cells and its action mechanism, Korean J. Microsc., 41(3), 169 (2011). 

  5. H. C. Huang, W. Y. Hsieh, Y. L. Nin, and T. M. Chang, Inhibitory effects of adlay extract on melanin production and cellular oxygen stress in B16F10 melanoma cells, Int. J. Mol. Sci., 15(9), 16665 (2014). 

  6. M. Tsatmali, J. Ancans, and A. J. Thody, Melanocyte fuction and its control by melanocortin peptides, J. Histochem. Cytochem., 50(2), 125 (2002). 

  7. S. Alaluf, A. Heath, N. Carter, D. Atkins, H. Mahalingam, K. Barrett, R. Kolb, and N. smit, Variation in melanin content and composition in type V and VI photoexposed and photoprotected human skin: the dominant role of DHI, Pigment Cell Res., 14(5), 337 (2001). 

  8. J. Cabanes, S. Chazarra, and F. Garcia-Carmona, Kojic acid, a cosmetic skin whitening agent, is aslow-binding inhibitor of catecholase activity of tyrosinase, J. Pharm. Pharmacol., 46(12), 982 (1997). 

  9. V. Del Marmol and F. Beermann, Tyrosinase and related proteins in mammalian pigmentation, FEBS Lett., 381(3), 165 (1996). 

  10. T. Kobayashi, K. Urabe, and A. J. Winder, Tyrosinase related protein (TRP-1) functions as a DHICA oxidase activity in melanin biosynthesis, EMBO J., 13(24), 5818 (1994). 

  11. E. V. Curto, C. Kwong, H. Hermersdorfer, H. Glatt, C. Santis, V. Virador, V. J. Hearing, and P. Dooley, Inhibitors of mamalian melanocytes tyrosinase: in vitro comparisons of alkyl esters of gentisic acid with other putative inhibitors, Biochem. Pharmacol., 57(6), 663 (1999). 

  12. J. K. No, D. Y. Soung, Y. J. Kim, K. H. Shim, Y. S. Jun, S. H. Rhee, T. Yokizawa, and H. Y. Chung, Inhibition of tyrosinase by green tea components, Life Sci., 65(21), 241 (1999). 

  13. G. Prota, Recent advances in the chemistry of melanogenesis in mammals, J. Invest. Dermatol., 75(122), 31 (1990). 

  14. S. H. Lee, J. S. Park, S. Y. Kim, J. J. Kim, and S. R. Chung, Isolation of inhibitory components on tyrosinase activity from the bark of Paeonia moutan, J. Pharm. Soc. Korea, 42(4), 353 (1998). 

  15. E. J. Seo, E. S. Hong, M. H. Choi, K. S. Kim, and S. J. Lee, Antioxidant and skin whitening effects of Rhamnus yoshinoi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6), 750 (2010). 

  16. J. Lopez, R. Tudela, F. Varon, G. Carmona, and F. G. Canovas, Analysis of a kinetic model for melanin biosynthesis pathway, J. Biol. Chem., 267(6), 381 (1992). 

  17. R. Busca and R. Ballotti, Cyclic AMP a key messenger in the regulation of skin pigmentation, Pigment Cells Res., 13(2), 60 (2000). 

  18. B. Saha, S. K. Singh, C. Sarkar, R. Bera, J. Ratha, D. J. Tobin, and R. Bhadra, Activation of the MITF promoter by lipid-stimulated activation of p38-stress signalling to CREB, Pigment Cells Res., 19(6), 595 (2006). 

  19. I. Aksan and C. R. Goding, Targeting the microphthalmia basic helix-loop-helix-leucine zipper transcription factor to a subset of E-box elements in vitro and in vivo, Mol. Cell. Biol., 18(12), 6930 (1998). 

  20. C. A. Hodgkinson, K. J. Moore, A. Nakayama, E. Steingrimsson, N. G. Copel, N. A. Jenkins, and H. Arnheiter, Mutations at the mouse microphthalmi a locus are associated with defects in a gene encoding a novel basic-helix-loop-helix-zipper protein, Cell, 74(2), 395 (1993). 

  21. E. Steingrimsson, K. J. Moore, M. L. Lamoreux, A. R. Ferre-D'Amare, S. K. Burley, D. C. Zimring, L. C. Skow, C. A. Hodgkinson, H. Arnheiter, N. G. Copeland, and N. A. Jenkins, Molecular basis of mouse microphthalmia (mi) mutations helps explain their developmental and phenotypic consequences, Nat. Genet., 8(3), 256 (1994). 

  22. H. R. Widlund and D. E. Fisher, Microphthala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a critical regulator of pigment cell development and survival, Oncogene, 22(20), 3035 (2003). 

  23. S. Mallick, S. K. Singh, C. Sarkar, B. Saha, and R. Bhadra, Human placental lipid induces melanogenesis b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and its related protein in vitro, Pigment Cell Res., 18(1), 25 (2005). 

  24. J. P. Ortonne and T. Passeron, Melanin pigmentary disorders: treatment update, Dermatol. Clin., 23(2), 209 (2005). 

  25. M. Nakagawa and K. Kawai, Contact allergy to kojic acid in skin care products, Contact Derm., 32(1), 9 (1995). 

  26. E. K. Kwon, Y. E. Kim, C. H. Lee, and H. Y. Kim, Screening of nine herbs with biological activities on ACE inhibition HMG-CoA reductase inhibition, and fibrinoly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5), 691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