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한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행동 군집유형과 영향요인
Health related behavior patterns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using latent class analysi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2 no.5, 2015년, pp.17 - 31  

조원섭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유승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김혜경 (이화여자대학교 보건관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health related behaviors patterns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in Korea, and discusses their application to health promotion strategie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7,591 immigrant wives in Gyeonggi province who part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결혼이주여성의 건강 관련행동 유형과 주요 건강행동 문제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고위험 표적 집단과 그들의 건강행동유형, 건강행동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이들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근거를 마련하고 건강행동군집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에서 언급된 건강행동유형이 결혼이주여성에서 어떻게 차이 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하여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행동 유형을 확인하고, 결혼이주여성에게서 대표적인 건강관련행동 잠재계층을 선별하여 해당 집단의 주요 건강행동 문제와 그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행동이 이질적인 하위행동들의 집단임을 발견하여 결혼이주여성의 대표적인 건강관련행동 특성을 보이는 잠재계층을 파악하여 건강증진중재 우선순위가 높은 집단을 파악한 점, 이들의 주요 건강행동 문제 및 그 영향요인을 파악한 점이본 연구의 중요한 기여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건강관련행동 잠재계층별로 사회인구학적 요인, 건강관련 요인이 유의미하게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여 건강관련행동 잠재계층별 접근이 유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본 연구는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결혼이주여성의 건강 관련행동 유형과 주요 건강행동 문제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고위험 표적 집단과 그들의 건강행동유형, 건강행동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이들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근거를 마련하고 건강행동군집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에서 언급된 건강행동유형이 결혼이주여성에서 어떻게 차이 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흡연과 음주의 군집유형이 결혼이주여성에게서 신체활동 부족, 불건강한 식습관, 건강검진 미수진이라는 다른 양상의 군집 유형을 나타낸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사회에서 국제결혼의 증가로 인한 현상 및 어떤 것이 관심사가 되었는가? 최근 한국 사회에서 국제결혼의 증가로 한국 남성과 외국인 여성의 혼인이 2003년부터 2012년까지 매년 2만 건 이상(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3) 이루어지 면서 결혼이주여성들의 수적 증가와 함께 이들의 정착과 한국사회로의 통합이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이와 함께 결혼이주여성들의 건강과 삶의 질 증진에도 국가와 사회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Kim, 2008).
건강관련행동의 특징 및 제공되는 것은? 그런데 건강관련행동을 연구할 때 각각의 행동들이 독립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Kang, Sung, & Kim, 2010)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건강관련행동은 동시에 여러 행동들이 연관되어 발생되므로 이 행동들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어떠한 경향을 보이는지 파악함으로써 대상자집단의 행동 특성에 적합한 건강증진 교육 및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개별적인 건강행동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보다 여러 건강행동이 함께 발생할 경우의 건강영향력이 더 크다는 연구결과(Kang et al.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행동의 전반적, 집합으로서의 행동특성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어떻게 할 필요가 있는가? 하지만 기존연구에서 건강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행동으로 밝혀진 음주, 흡연, 신체 활동, 식습관 등의 항목 중 일부만 연구하거나, 개별적인 행동특성만 연구되어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행동의 전반적 특성과 집합으로서의 행동특성을 파악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의 음주, 흡연, 신체활동, 식습관뿐 아니라 수면습관, 건강검진행태 등을 모두 고려하였을때 어떤 건강행동특성을 보이는지, 그리고 어떤 건강관련 행동이 다른 건강관련행동과 함께 일어나는지 등의 특성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ccess Alliance. (2014). Community Programs. Retrieved from http://accessalliance.ca/programs-services/community-programs/ 

  2. Ahn, Y. (2008).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f immigrant women married to Korea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2(1), 18-26. 

  3. Chou, K. L. (2008). The prevalence and clustering of four major lifestyle risk factors in Hong Kong Chinese older adult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20(7), 788-803. 

  4. Chung, K. S. & Han, J. E. (2009).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s'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2(2), 87-114. 

  5. Huh, J., Riggs, N. R., Spruijt-Metz, D., Chou, C. P., Huang, Z., & Pentz, M. (2011). Identifying patterns of eating and physical activity in children: A latent class analysis of obesity risk. Obesity, 19(3), 652-658. 

  6. Huh, S. I., & Kim, S. J. (2007). Unmet needs for health care among Korean adults: differences across age group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13(2), 1-16. 

  7. Jeon, J. Y., Yoo, S., & Kim, H. (2012). Clustering Patterns and Correlates of Multiple Health Behaviors in Middle-aged Koreans with Metabolic Syndrome.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9(2), 93-105. 

  8. Kang, E. J. (2007). Clustering of lifestyle behaviors of Korean adults using smoking, drinking, and physical activity.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7(2), 44-66. 

  9. Kang, K. W., Sung, J. H., & Kim, C. Y. (2010). High Risk Groups in Health Behavior Defined by Clustering of Smoking, Alcohol, and Exercise Habit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3(1), 73-83. 

  10. Kang, M. Y. & Jang, I. J. (2009). Mothering Experiences of Filipino Immigration Women in Korea: Through the Cultural Politics of Identity. Journal of Contemporary Society and Culture, 28, 73-103. 

  11. Keller, S., Maddock, J. E., Hannover, W., Thyrian, J. R., & Basler, H. D. (2008). Multiple health risk behaviors in German first year university students. Preventive Medicine, 46(3), 189-195. 

  12. Kim, B. & Cho, A. (2013).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chool dropouts: A latent class analysis approach. Studies on Korean Youth, 24(3), 5-31. 

  13. Kim, H. (2008).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4(4), 248-256. 

  14. Kim, H. J. (2008). A study of spousal support, the demand for health education, and quality of life for married female immigra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4(1), 5-11. 

  15. Kim, H. R., Hwang, N. M., Jang, I. S., Yoon, K. J., & Kang, B. J. (2008). Status and policy of reproductive health of marital immigrant women in Korea.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6. Kim, H. R., Yeo, J. Y., Jung, J. J., & Baek, S. H. (2012). Health status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health policy recommendations(No. 2012-10).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uthor. Retrieved fromhttps://www.kihasa.re.kr/html/jsp/publication/research/view.jsp?bid12&ano1413 

  17. Kim, H., Yoo, S., Cho, S., Kwon, E., Kim, S., & Park, J. (2010). Health Status and Associated Health Risks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5), 79-89. 

  18. Kim, M. J., Kim, T. I., & Kwon, Y. J. (2008). A stud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contraception in married immigrant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4(4), 323-332. 

  1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4). 2013 Health Behavior and Chronic Disease Statistics. Cheongju, Korea: Author. 

  20.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3). Retrieved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entIdA#SubCont 

  2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4). Retrieved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entIdA#SubCont 

  22. Lanza, S. T., Rhoades, B. L., Nix, R. L., Greenberg, M. T., & The Conduct Problems Prevention Research Group. (2010). Modeling the interplay of multilevel risk factors for future academic and behavior problems: A person-centered approach.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2(2), 313-335. 

  23. Lee S. (2015). Identifying and Predicting Patterns of Healthy Behavior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26(2), 251-271. 

  24.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11). Retrieved from http://www.liveinkorea.kr/homepage/kr/multidata/dataView.asp?mcM0030&id1649&num2041322&pg14 

  25.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12). Retrieved from http://www.liveinkorea.kr/homepage/en/multicenter/program.asp?mcM0028&id5 

  26. Mistry, R., McCarthy, W. J., Yancey, A. K., Lu, Y., & Patel, M. (2009). Resilience and patterns of health risk behaviors in California adolescents. Preventive Medicine, 48(3), 291-297. 

  27. Moon, S. (2014). Types of Health Behavior Clusters and Related Factors among Korean Adul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8), 397-410. 

  28. Nagin, D. S. (2005). Group-Based Modeling of Development. London: Harvard University Press. 

  29. Nylund, K. L. (2007). Latent transition analysis: Modeling extensions and an application to peer victimization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30. Poortinga, W. (2007). The prevalence and clustering of four major lifestyle risk factors in an English adult population. Preventive Medicine, 44(2), 124-128. 

  31. Raitakari, O. T., Leino, M., Raikkonen, K., Porkka, K. V. K., Taimela, S., Rasanen, L., & Viikari, J. S. A. (1995). Clustering of Risk Habits in Young Adults: The Cardiovascular Risk in Young Finns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42(1), 36-43. 

  32. Schuit, A. J., van Loon, A. J. M., Tijhuis, M., & Ocke, M. C. (2002). Clustering of lifestyle risk factors in a general adult population. Preventive Medicine, 35(3), 219-224. 

  33. Wang, J. & Wang, X. (2012).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lications Using Mplus (Wiley Series in Probability and Statistics) (1st ed.). Hoboken, NJ: John Wiley & Sons. 

  34. World Bank. (2013).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Retrieved from http://databank.worldbank.org/data/reports.aspx?sourceworld-development-indicators&Typetable 

  35.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The world health report 2002-reducing risks. promoting healthy life. Geneva: WHO. 

  36. Yang, S. J. (2010). Health status, health care utilization and related factors among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4(2), 323-335. 

  37. Yoon, J. & Yoo, H. (2011). A study of Married International Mothers' Doing Mothers. Journal of Multi-Cultural Contents Studies, 11, 41-80. 

  38. Yoon, N., Yoo, S., & Kim, H. (2014). Composition of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Adults in a Lifestyle Modification Intervention. Osong Public Health and Research Perspectives, 5(6), 370-37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