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고령자의 통증과 우울에 관한 연구: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중심으로
Depression in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with Pain: A Latent Profile Analysis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7 no.3, 2020년, pp.325 - 332  

김연하 (부산여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classify the potential layer for pain in the middle-aged and elderly based on the seventh Aging Research Panel Survey (2018) data and to identify the degree of depression by potential layer.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2018 Aging Research Panel Survey, who...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통증 유형에 따른 우울 정도를 확인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중고령자의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중고령자의 통증으로 인한 우울을 줄이기 위한 통합적인 중재개발과 통증, 활동제한 등의 건강 관련 문제를 지속적으로 관리해주는 건강관리시스템이 체계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광범위하게 조사도니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으로 통증 부위를 유형화를 시도한 것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지니고 있다.
  • 본 연구는 제 7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KEIS, 2018) 자료를 토대로 중고령자의 통증에 대한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잠재계층별 우울정도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2018년 조사된 고령화연구패녈조사 자료 중 6, 890명을 대상으로 통증 유형이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지 잠재프로파일 분석(LPA)을 통해 확인하였고 통증유형이 성별, 연령, 학력, 독거유무, 수입 정도, 주관적인 건강상태 그리고 우울과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2018년에 수집한 “제7차 고령화 연구 패널 조사”자료(KEIS, 2018)를 이용하여 중고령자의 통증 부위 유형화와 우울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이차자료분석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제 7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KEIS, 2018) 자료를 토대로 중고령자의 통증에 대한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잠재계층별 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한 후 잠재계층별 중재를 개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제7차 고령화 연구 패널 조사” 설문 조사(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KEIS], 2018)를 활용하여 중고령자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요소로 보고 중고령의 통증 부위 유형과 각 집단 유형의 특성 및 집단 유형별 우울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통증 부위별 우울 요소들을 활용하여 중고령자의 통증유형을 파악하기 위해서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 을 활용하여 중고령자의 통증유형을 구분하였다.
  • 잠재프로파일 분석(LPA)은 유사한 응답 패턴을 기초로 집단에서 발견되는 관계들의 조합을 파악하여 하위 집단을 구성하는 개인들의 특성이 어떻게 다른지 유형화하여 설명하는 분석방법이다 (Lee & Jang, 2020). 이와 더불어 통증 유형의 좀 더 구체적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통증 유형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검증한 후 각 유형별 우울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연구에서는 통증이 한군데 또는 두 군데 이상이라도 통증으로 단일화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통증 부위를 유형화 시켜서 유형별 우울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2). The management of persistent pain in older persons: AGS panel on persistent pain in older perso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0(S6), 205-224. https://doi.org/10.1046/j.1532-5415.50.6s.1.x 

  2. Braden, J. B., & Sullivan, M. D. (2008). Suicidal thoughts and behavior among adults with self-reported pain condition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The Journal of Pain, 9(12), 1106-1115. https://doi.org/10.1016/j.jpain.2008.06.004 

  3.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September 14).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Retrieved September 14, 2018, from: https://www.cdc.gov/mmwr/volumes/67/wr/mm6736a2.htm 

  4. Cha, B. K., & Park, C. S. (2011). A comparison of pain, pain interference and fatigue according to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in the elderly with chronic pain.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2(2), 162-172. https://doi.org/10.12799/jkachn.2011.22.2.161 

  5. Chang, H. K., Herr, K. A., Sohn, J. N., Cha, B. K., & Yom, Y. H. (2007). Prediction of pain outcomes in Korean older adults: Use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Pain Medicine, 8(1), 75-83, https://doi.org/10.1111/j.1526-4637.2007.00231.x 

  6. Joseph, L. R., James, B. W., Cynthia, D. M., David, S., Rebecca, K. P., & Donald, D. P. (2002). Racial/ethnic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 of chronic pain. Pain, 100(3), 291-298. https://doi.org/10.1016/s0304-3959(02)00306-8 

  7. Jungchoi, K. H., Park, J.Y., Kim, N. S., & Park, H. Y. (2015). Status of chronic pain prevalence in the Korean adults. Public Health Weekly Report, 8(31), 728-734. 

  8. Karttumen, N. M., Turunen, J., Ahonen, R., & Hartikainen, S. (2014). More attention to pain management in community-dwelling older persons with chronic musculoskelectal pain. Age and Ageing, 43(6), 848-850. https://doi.org/10.1093/ageing/afu052 

  9. Kim, S. Y., & Kim, M. Y . (2003). The relationship among pain, depression and ego integrity in day care center elderly peoples with chronic Pai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5(1), 50-60. 

  10. Kim, Y. I., & Park, J. S. (2017).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joint health self-management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knee osteoarthritis in communities: Applying the IMB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8(1), 55-68. https://doi.org/10.12799/jkachn.2017.28.1.55 

  11.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18. December 12). The 7th Aging Research Panel Survey. Retrieved December 12, 2018, from http://www.kli.re.kr/klosa/ko/main/main.jsp 

  12. Lee, M. U., & Jang, M. Y. (2020). What is the corporate culture that makes a healthy company?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11(4), 1279-1292, https://doi.org/10.22143/hss.21.11.4.90 

  13. Lim, S. H., & Roh, S. H. (2011). A study about the model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eath anxiet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1(1), 1-14. 

  14. Mutchler, J. E., Burr, J. A., Massagli, M. P., & Pienta, A. (1999). Work transitions and health in later life.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54B(5), S252-S261. 

  15. Paul, C. (2005, February). The burden of musculoskeletal conditions at the start of the new millennium.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34(1), 228-229. https://doi.org/10.1093/ije/dyh3833 

  16. Santos, M. L. A. S., Gomes, W. F., Pereira, D. S., Oliveira, D. M. G., Dias, J. M. D., Ferrioli, E., et al. (2011). Muscle strength, muscle balance, physical function and plasma interleukin-6 (IL-6) levels in elderly with osteoarthritis (OA).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52(3), 322-326. https://doi.org/10.1016/j.archger.2010.05.009 

  17. Schrubbe, L. A., Ravyts, S. G., Benas, B. C., Campbell, L. C., Cene, C. W., Coffman, C. J., et al. (2016). Pain coping skills training for African Americans with osteoarthritis (STAART): Study protocol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Musculoskeletal Disorders, 17(1), 359-371. https://doi.org/10.1186/s12891-016-1217-2 

  18. Soares, J., & Grossi, G.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s of self-esteem, clinical variables, anxiety/depression and coping among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pain.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2), 87-95. https://doi.org/10.1080/110381200750018887 

  19. Thomas, E., Mottram, S., Peat, G., Wilkie, R., & Croft, P. (2007). The effect of age on the onset of pain interference in a general population of older adults: Prospective findings from the North Staffordshire Osteoarthritis Project (NorStOP). Pain, 129(1), 21-27. https://doi.org/10.1016/j.pain.2006.09.027 

  20. Vennu, V., & Bindawas, S. (2014). Relationship between falls, knee osteoarthriti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Data from the Osteoarthritis Initiative study. Clinical Interventions in Aging, 9, 793-800. https://doi.org/10.2147/cia.s6220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