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인가구의 주관적 건강상태 변화: 잠재계층성장모형을 활용하여
Trajectories of Self-rated Health among One-person Households: A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30 no.4, 2019년, pp.449 - 459  

김은주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김향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윤주영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ifferent types of self-rated health trajectories among one-person households in Korea. Methods: We used five time-point data derived from Korea Health Panel (2011~2015). A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was used to assess the overall feature of self-r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형태의 1인 가구가 혼재하고 있기에 전체 성인을 대상으로 보편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료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성인 전체 1인가구의 주관적 건강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성인 1인가구 전체 집단 내에 이질성이 존재한다는 선행연구[1,5]의 결과를 기반으로, 1인가구의 주관적 건강 상태 발달 궤적이 상이한 잠재계층을 확인하여 개별적인 변화의 개인간 차이에 대한 정보를 포착하고자 한다. 또한 잠재계층을 구분하는 예측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1인가구의 건강증진을 위한 간호중재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1인가구를 지속적으로 유지한 대상자들의 주관적 건강상태의 변화를 종단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확인함으로써, 1인가구 주관적 건강에 대한 선행연구결과들을 지지하였다. 또한 주관적 건강 상태 발달 궤적이 상이한 잠재계층을 구분하고, 잠재계층을 구분하는 예측 요인까지 살펴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2011~2015년 한국의료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5개년동안 1인가구를 유지한 대상자들의 주관적 건강의 변화를 살펴보고, 주관적 건강 궤적이 상이한 잠재계층을구분하며, 잠재계층을 구분하는 예측 요인을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1인가구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대상자들의 경우, 주관적 건강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악화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와 같이 발달 궤적이 다른 잠재계층을 구분하는 것은 기존의 변수 중심의 분석방법(variable-centered analysis)과는 달리 개인의 응답 패턴에 따라 서로 다른 계층으로 구분하는 연구참여자 중심의 분석방법(person-centered analysis)이다[25]. 본 연구는 성인 1인가구 전체 집단 내에 이질성이 존재한다는 선행연구[1,5]의 결과를 기반으로, 1인가구의 주관적 건강 상태 발달 궤적이 상이한 잠재계층을 확인하여 개별적인 변화의 개인간 차이에 대한 정보를 포착하고자 한다. 또한 잠재계층을 구분하는 예측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1인가구의 건강증진을 위한 간호중재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성인 1인가구를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상태의 변화를 분석하고, 주관적 건강상태 발달 궤적이 상이한 잠재계층을 확인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1인가구의 주관적 건강 상태의 발달 궤적에 따른 잠재계층을 구분하고, 잠재 계층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1~2015년 한국의료패널 조사를 종단적으로 분석한 이차자료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세계적인 측면에서 1인가구의 특성은 무엇인가? 전세계적으로 1인가구는 사별로 인한 여성노인이 많고, 젊은 층에서는 도시에 거주하는 젊은 남성이 많은 특성을 나타낸 다[4]. 우리나라에서도 1인가구는 전체적으로 남성과 여성의 비율이 큰 차이가 없으나, 청년층은 남성 1인가구, 노년층에서 는 여성 1인가구의 비중이 높다[2,5].
나 홀로 문화가 등장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우리나라는‘혼밥(혼자 먹는 밥)’이나 ‘혼술(혼자 마시 는 술)’과 같은 이른바 나 홀로 문화가 등장하였다. 결혼관 변화 로 인한 만혼과 비혼의 증가, 고령화와 노동시장 구조 변화 등 과 같은 여러 사회경제적 변화가 맞물려 1인가구가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1]. 통계청이 발표한 인구주택 총 조사 결과에 따르면 1990년부터 2005년까지 가장 주된 가구 유형은 4인 가구 였으나, 2010년은 2인 가구, 2015년에는 1인가구가 가장 주된 가구 유형으로 등장하였다[2].
주관적 건강은 무엇인가? 1인 가구의 주관적 건강은 다인 가구에 비해 낮은 것으로 보 고되고 있다[12,13]. 주관적 건강(self-rated health)이란 자기 건강에 대한 자발적 평가(spontaneous assessment)이자 건강에 대한 지속적인 자기 개념적 관점(enduring self-concept views)이다[8]. 주관적 건강은 미래 건강 결과의 중요한 예측 변수로서[9], 전반적인 건강수준을 나타내는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간결하고 비용 효과적인 건강 평가 수단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yun M. Single person household and urban policy in Seoul.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2015;21(3):551-573. 

  2. Statistics Korea. 2015 pupulation and housing census result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6 [cited 2019 Jan 24]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aSeq356062&pageNo&rowNum10&amSeq&sTarget&sTxt 

  3.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Family Database 2013 [Internet]. Paris: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3 [cited 2019 Jan 24] Available from: www.oecd.org/social/family/database 

  4. Yeung WJ, Cheung AK. Living alone: One-person households in Asia. Demographic Research. 2015;32(40):1099-1112. https://doi.org/10.4054/DemRes.2015.32.40 

  5. Kang EN, Lee MH. Single-person households in South Korea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6;234:47-56. 

  6. Kang ET, Kang JK, Ma KR. Subjective well-being of one-person households: Focus on non-married and married one-person households. Journal of Social Science. 2016;27(1):3-23. https://doi.org/10.16881/jss.2016.01.27.1.3 

  7. Park BY, Kwon HJ, Ha MN, Burm EA. A comparative study on mental health between elderly living alone and elderly couples: Focus on gender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6;30(2):195-205. https://doi.org/10.5932/JKPHN.2016.30.2.195 

  8. Bailis DS, Segall A, Chipperfield JG. Two views of self-rated general health status. Social Science & Medicine. 2003;56(2):203-217. https://doi.org/10.1016/S0277-9536(02)00020-5 

  9. Benyamini Y, Idler EL, Leventhal H, Leventhal EA. Positive affect and function as influences on self-assessments of health: Expanding our view beyond illness and disability.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2000;55(2):107-116. https://doi.org/10.1093/geronb/55.2.P107 

  10. Kaplan G, Baron-Epel O. What lies behind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health status?. Social Science & Medicine. 2003;56(8): 1669-1676. https://doi.org/10.1016/S0277-9536(02)00179-X 

  11. Simon JG, De Boer JB, Joung IMA, Bosma H, Mackenbach JP. How is your health in general? A qualitative study on self-assessed health.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05;15(2):200-208. https://doi.org/10.1093/eurpub/cki102 

  12. Ha JK, Lee S. The effect of health-related habitual consumption and lifetime on subjective health of one person households: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non-one perso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017;55(2):141-152. https://doi.org/10.6115/fer.2017.011 

  13. Kim EG, Park SK. Comparison of health behaviors, disease prevalence between one-person women and multiple households women in Korea.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6;30(3):483-494. https://doi.org/10.5932/JKPHN.2016.30.3.483 

  14. Kwon T. Trajectories of self-rated health and its preditors: Focus on life span. The Korean Journal of Humanities and the Social Sciences. 2011;35(4):203-231. 

  15. McAvay G, Rodin J. Determinants of change in perceived health in a longitudinal study of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1992;47(6):373-384. https://doi.org/10.1093/geronj/47.6.P373 

  16. Han B. Depressive symptoms and self-rated health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2;50(9):1549-1556. https://doi.org/10.1046/j.1532-5415.2002.50411.x 

  17. Kim JS, Cho B. Association between self-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related behavior in routine health examinees.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10;31(9):688-696. https://doi.org/10.4082/kjfm.2010.31.9.688 

  18. Abu-Omar K, Rutten A, Robine JM. Self-rated health and physical activity in the European Union. Social and Preventive Medicine. 2004;49(4):235-242. https://doi.org/10.1007/s00038-004-3107-x 

  19. Ha Y, Park H.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self-rated health in Korean males and female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2;14(3):203-211. https://doi.org/10.7586/jkbns.2012.14.3.203 

  20. Korean Ministy of Health & Welfare.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ocial security factbook 2017. Sejong: Korean Ministy of Health & Welfare; 2017 Dec. Report No.: 11-1352000-001385-10. 

  21. Kim YS, Yang YJ, Park HK, Kim JW. Development of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and self-prescription guides for Korean. Research Report. Seoul: Korean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012 Nov. Report No.: Health Promotion Research Project 12-37. 

  22. Mantyselka PT, Turunen JH, Ahonen RS, Kumpusalo EA. Chronic pain and poor self-rated health.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3;290(18):2435-2442. https://doi.org/10.1001/jama.290.18.2435 

  23.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Internet]. Sydney: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2000 [cited 2019 Jan 23]. Available from: https://apps.who.int/iris/bitstream/handle/10665/206936/0957708211_eng.pdf?sequence1 

  24. Duncan TE, Duncan SC, Strycker LA . An introduction to latent variable growth curve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2nd ed. New York: Routledge; 2006. 261 p. 

  25. Jung T, Wickrama KAS. An introduction to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2008;2(1):302-317. https://doi.org/10.1111/j.1751-9004.2007.00054.x 

  26. Kline R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4th ed. New York: Guilford publications; 2016. 445 p. 

  27. Sirola J, Tuppurainen M, Rikkonen T, Honkanen R, Koivumaa-Honkanen H, Kroger H. Correlates and predictors of self-rated health and ambulatory status among elderly women: Cross-sectional and 10 years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Maturitas. 2010;65(3):244-252. https://doi.org/10.1016/j.maturitas.2009.11.014 

  28. Roberts G. Age effects and health appraisal: A meta-analysi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1999;54B(1):S24-S30. https://doi.org/10.1093/geronb/54B.1.S24 

  29. Statistics Korea. 2010 pupulation and housing census result [Internet]. Daejeon: Korea Statistics. 2011 [cited 2019 Jan 24].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0/1/index.board?bmoderead&aSeq24907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