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겨우살이 숙주별 렉틴 함량과 지표물질로서의 특성 조사
Studies on the Content of Lectin in Korean Mistletoe according to the Host Tree Species and Characterization for Its Application to the Quality Control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8 no.6, 2015년, pp.1090 - 1097  

김인보 (한동대학교 생명과학부) ,  윤택준 (유한대학교 식품영양과) ,  박춘호 (한동대학교 생명과학부) ,  이우경 (유한대학교 식품영양과) ,  이소희 (유한대학교 식품영양과) ,  김종배 (한동대학교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겨우살이는 전통적으로 항암활성이 있는 약용식물의 하나로 알려져 왔고, 렉틴은 세포독성 및 면역자극 자극 활성을 가지는 대표성분으로 인정되고 있다. 한국산 겨우살이에 함유되는 렉틴은 유럽산의 그것과는 달리 galactose와 N-acetylgalactosamine(GalNAc) 특이성을 동시에 가지는 렉틴 성분인 KML인 것으로 나타났다. Sandwich ELISA법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종류의 숙주나무에서 유래된 5종의 겨우살이로부터 렉틴 함량을 비교한 결과, 숙주나무별 차이가 인정되어 밤나무 겨우살이는 참나무 겨우살이에 비하여 약 10배 많은 렉틴을 함유하고 있었다. L5178Y-ML25 lymphoma 세포에 약 90%의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농도의 KML과 한국산 참나무 유래 겨우살이 추출물인 KM-100에 두 종류의 단일클론 항체(9H7-10 and 8B11-2C5)를 동시처리한 후 세포독성 중화효과를 조사한 결과, KML의 경우 약 10%, KM-110의 경우 약 30%의 세포독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겨우살이에서 렉틴 외에도 세포독성을 가지는 다른 성분이 존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RAW 264.7 대식 세포주에 KM-110과 KM-110으로부터 렉틴이 제거된 분획인 LFKM-110을 자극시킨 결과, LFKM-110에서 $TNF-{\alpha}$ 및 IL-6와 같은 cytokine의 생산을 증진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KM-110에서 면역 세포를 자극하는 다른 성분의 존재하고 있음을 강하게 제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aditionally, mistletoe is known as an effective anti-cancer medicinal plant, and lectin is recognized as a major component with cytotoxic and immuno-stimulant activity in mistletoe. A Korean mistletoe lectin (KML) has specificity to galactose and galactosamine and is distinguish from European mi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겨우살이의 산업적 이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렉틴 함량이 숙주나무의 종류별로 어떠한 변화를 나타나는지를 sandwich ELISA 법으로 조사하였으며, 활성에 렉틴 이외에 다른 성분도 관여한다는 가능성이 있는 결과를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
  • 본 연구에서는 Franz 등(1981) 및 Gabius 등(1992)의 방법을 참고하여 참나무를 숙주로 자라는 겨우살이 추출물(KM-110) 로부터 hydrolyzed Sepharose-4B column을 이용하여 Korean mistletoe lectin(KML)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KML의 당 특이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Kang 등(2007)의 방법을 응용한 적혈구 응집반응에 영향을 주는 특정 당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먼저 적혈구 응집반응을 억제하는 여러 가지 당의 최소 농도를 조사한 결과, N-acetylgalactosamine(GalNAc)은 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겨우살이의 가장 중요한 생리활성 물질은 무엇인가? 겨우살이는 전통적으로 항암활성이 있는 약용식물의 하나로 알려져 왔고, 렉틴은 세포독성 및 면역자극 자극 활성을 가지는 대표성분으로 인정되고 있다. 한국산 겨우살이에 함유되는 렉틴은 유럽산의 그것과는 달리 galactose와 N-acetylgalactosamine(GalNAc) 특이성을 동시에 가지는 렉틴 성분인 KML인 것으로 나타났다.
렉틴이 제거된 겨우살이 추출물을 제거되지 않은 추출물과 비교했을 때, 암세포의 생존율은 무엇인가? 따라서 KM-110과 LFKM-110의 세포독성을 비교하였다. 암세포주인 M5178Y-KL25 lymphoma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 결과, 31.25 μg/mL의 농도에서 KM-110과 LFKM-110은 대조군에 비해 생존율이 각각 44.5% 및 85.1%인 결과를 나타내어, LFKM-110이 KM-110에 비하여 약 2배 정도 낮은 세포독성 효과를 보였다(Fig. 4A).
겨우살이의 계통과 생태 특성은 무엇인가? 한방에서 사용되어진 약재들 중에서 겨우살이는 우리나라및 유럽에서도 오래전부터 여러 가지 병증에 대하여 사용하여 왔고, 건강을 개선하는 기능성 식품 및 와인으로도 개발되어 있다. 겨우살이는 겨우살이과(Viscaceae)에 속하는 식물로, 숙주나무에 기생하기도 하지만, 스스로 광합성을 통해 양분을 생산하기도 하므로 반기생식물이라고 한다. 겨우살이는 주로 팽나무, 배나무, 밤나무, 느릅나무에 기생하며, 참나무 속에 가장 많이 붙어 산다(Lee 등 2003; Kang & Chung 2012). 특히 겨우살이의 물 추출액은 유럽에서 종양에 대하여 임상 적으로 주사제로 사용하여 왔고, 렉틴 성분은 가장 중요한 활성성분으로 보고되고 있다(Beuth J 1997; Stein 등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euth J. 1997. Clinical relevance of immunoactive mistletoe lectin-I. Anticancer Drugs 8(Supple 1):S53-S55 

  2. Bocci V. 1993. Mistletoe (Viscum album) lectins as cytokine inducers and immunoadjuvant in tumor theapy. A review. J. Biol Regul Homeost Agents 7:1-6 

  3. Choi OB. 2009. The importance of clinical mistletoe cancer therapy and Korean mistletoe pharmacopuncture preparati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possibility for oriental medicine. J Pharmacopuncture 12:77-89 

  4. Franz H, Ziska P, Kindt A. 1981. Isolation and properties of three lectins from mistletoe (Viscum album L.). Biochem J 195:481-484 

  5. Gabius S, Joshi SS, Kayser K, Gabius H. 1992. The galactosidespecific lectin from mistletoe as biological response modifier. Int J Oncol 1:705-708 

  6. Hajto T, Fodor K, Perjesi P, Nemeth P. 2011. Difficulties and perspectives of immunomodulatory therapy with mistletoe lectins and standardized mistletoe extracts in evidence-based medicine. J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ltern Med 8:1-6 

  7. Jaggy C, Musielski H, Urech K, Schaller G. 1995.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lectins in mistletoe preparations. Arzneimittelforschung 45:905-909 

  8. Kang SJ, Chung SK. 2012.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var, coloratum) extracts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Korean J Food Preserv 19:919-924 

  9. Kang TB, Song SK, Yoon TJ, Yoo YC, Lee KH, Her E, Kim JB. 2007.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wo Korean mistletoe lectins. J Biochem Mol Biol 40:959-965 

  10. Kirsch A. 2007. Successful treatment of metastatic malignant melanoma with Viscum album extract (Iscador M). J Altern Complement Med 13:443-445 

  11. Kuttan G, Kuttan R. 1992.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a peptide isolated from Viscum album extract (NSC 635 089). Immunol Invest 21:285-296 

  12. Lee SJ, Lee MK, Choi GP, Yu CY, Roh SK, Kim JD, Lee HY, Lee JH. 2003. Growth enhancement and cytotoxicity of Korean mistletoe fractions on human cell line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1:62-70 

  13. Parhami-Seren B, Bell C, Margolies MN, Haupert GT Jr. 1999. Monoclonal antibodies that distinguish between two related digitalis glycosides, ouabain and digoxin. J Immunol 163:4360-4366 

  14. Stein GM, Edlund U, Pfuller U, Bussing A, Schietzel M. 1999. Influence of polysaccharides from Viscum album L. on human lymphocytes, monocytes and granulocytes in vitro. Anticancer Res 19:3907-3914 

  15. Stein GM, Schietzel M, Bussing A. 1998. Mistletoe in immunology and the clinic (short review). Anticancer Res 18:3247-3249 

  16. Tabiasco J, Pont F, Fournie JJ, Vercellone A. 2002. Mistletoe viscotoxins increase natural killer cell-mediated cytotoxicity. Eur J Biochem 269:2591-2600 

  17. Yoon TJ, Yoo YC, Kang TB, Kim SH, Kim KS, Kim JB. 2001. Production of monoclonal antobodies to Korean mistletoe lectin (KML-C) and their characterization. J Pharm Soc Korea Yakhak Hoeji 45:180-189 

  18. Yoon TJ, Yoo YC, Kang TB, Song SK, Lee KB, Her E, Song KS Kim JB. 2003. Antitumor activity of the Korean mistletoe lectin is attributed to activation of macrophages and NK cells. Arch Pharm Res 26:861-8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