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내 벽면녹화 공간 이용자 행태연구 - 대학구내식당 녹화 칸막이 선호를 중심으로 -
Cafeteria Users' Preference for an Indoor Green-wall in a University Dining Hall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6, 2015년, pp.62 - 72  

김혜령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안동만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실내벽면녹화가 이용자에게 어떠한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되었으며, 이용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공용공간 이용객이 벽면녹화 조성 공간을 선호한다는 실험 가설 하에 벽면녹화가 이용객의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찰실험을 진행하였다. 실내벽면녹화를 설치한 후 행태관찰결과와 설문조사를 토대로 실내벽면녹화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관찰실험은 실내벽면녹화 선호가 이용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해 2014년 3월 24일부터 31일까지 총 8일간 진행하였다. 일반칸막이 공간과 벽면녹화 칸막이 공간 이용행태를 관찰카메라로 녹화하여 영상을 보면서 분석하였으며, 붐비는 시간대는 관찰시간에서 제외하였다. 좌석별 평균이용시간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행하였다. 설문조사는 행태관찰 후 일반칸막이 공간과 벽면녹화 칸막이 이용객 224명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로 실내벽면녹화 선호도와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 관찰실험, 좌석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분석하였다. 벽면녹화 칸막이 공간과 일반칸막이 공간의 칸막이 인접좌석의 총 이용시간 비교결과, 실내벽면녹화 선호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벽면녹화 칸막이 공간의 여성이용자 비율이 일반칸막이 공간에 비해 더 높으며, 칸막이와 식물은 좌석선택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태관찰에서 나타나지 않는 이용자의 심리적 측면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실내벽면녹화에 대한 선호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칸막이 공간 이용객 94명 중 11.7%(11명)가 벽면녹화 칸막이 공간에 앉기를 원하였으나, '벽면녹화 칸막이 공간에 자리가 없어서' 일반칸막이 공간에 앉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벽면녹화 칸막이 공간 이용객 130명 중 24.6%(33명)가 '실내벽면녹화를 선호해서'라고 응답하였다. 일반칸막이 공간과 벽면녹화 칸막이 이용객의 64.3%(144명)가 동일조건이라면 벽면녹화 칸막이 공간을 선택하겠다고 응답하여 선호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행태관찰에서 선호에 차이가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 aspects in which users positively identify with indoor green walls and the influences that it has on usage behaviors. Under the hypothesis that public space users prefer locations with green walls, the effect on their behavior was obser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실내외 벽면녹화 선호도가 이용객의 이용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 연구한 연구사례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벽면녹화 선호하는 환경심리가 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공용공간 이용객이 벽면녹화 조성 공간을 선호한다는 실험 가설 하에 벽면녹화가 이용객의 행태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관찰실험 연구이다. 총 사용시간 평균을 비교하여 벽면녹화 공간선호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실내벽면녹화가 이용자의 이용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벽면녹화 칸막이 공간과 일반칸막이 공간을 비교하고,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실내벽면녹화 선호도와 그 이유에 대해 규명한다. 설문조사, 관찰실험, 좌석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실내벽면녹화 공간선호가 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공용공간에 벽면녹화를 설치하여 이용객이 실내벽면녹화 설치 공간을 더 많은 사람들이 더 오랫동안 이용하는 등의 행태변화를 보이는지에 대해 관찰하였다.
  • 행태관찰 후 설문은 4월 1일에는 오전 9시 30분에서 11시 10분, 오후 3시 30분에서 5시 20분, 저녁 8시에서 9시, 4월 2일에 오전 9시 20분에서 10시 40분까지로 응답자가 충분히 자리를 선택할 수 있는 시간대에 진행하였다(Table 5 참조). 설문조사의 목적은 일반칸막이 공간 이용자와 벽면녹화 칸막이 공간 이용자의 선호공간과 그 이유를 찾기 위한 것이다. 설문대상은 일반칸막이 공간 이용자 94명과 벽면녹화 칸막이 공간 이용자 130명을 대상으로 총 224명에게 직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공간에서 일어나는 인간의 행태는 복합적 심리적 요소에 영향을 받으므로 어떠한 심리와 행태가 나타날 수 있는지, 그 원인을 조사하기 위해 실험가설을 “공용공간 이용객은 실내벽면녹화 조성공간을 선호하여 실내벽면녹화를 조성하지 않은 공간에 비해 더 많은 이용객이 더 많은 시간 동안 이용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벽면녹화란? 벽면녹화는 인간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며, 쾌적하고 친환경적인 환경을 제공하여 도시공간에서 부족한 녹지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이다. 또한 건축의 미적 측면 향상과 토양 보호, 산림파괴와 도시 여가공간의 부족 해소 등 자연과 도시의 고밀도 빌딩숲을 연계하는 방법으로 벽면녹화는 예술적으로 도시를 재생하는 데 도움이 된다(Uffelen, 2011).
수직의 녹색공간 만들기 운동은 언제 처음 시작됐는가? 수직의 녹색공간이 주는 경관은 콘크리트 빌딩 숲 사이에서 건강하고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한다. 수직녹지공간에 대한 욕구는 1920년대 영국과 북미에서 있었던 집과 정원을 연계한 도시정원 만들기 운동을 기점으로 관심과 인식이 높아지기 시작하였으며(Tongand Yang, 2013), 현재 우리나라 도심 내 여러 곳에 실내외 벽면녹화가 조성되어 있다. 실내외 벽면녹화는 환경적,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벽면녹화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선호도가 실질적으로 공간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가 아직 미흡하다.
수직의 녹색공간이 우리에게 주는 이점은? 또한 건축의 미적 측면 향상과 토양 보호, 산림파괴와 도시 여가공간의 부족 해소 등 자연과 도시의 고밀도 빌딩숲을 연계하는 방법으로 벽면녹화는 예술적으로 도시를 재생하는 데 도움이 된다(Uffelen, 2011). 수직의 녹색공간이 주는 경관은 콘크리트 빌딩 숲 사이에서 건강하고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한다. 수직녹지공간에 대한 욕구는 1920년대 영국과 북미에서 있었던 집과 정원을 연계한 도시정원 만들기 운동을 기점으로 관심과 인식이 높아지기 시작하였으며(Tongand Yang, 2013), 현재 우리나라 도심 내 여러 곳에 실내외 벽면녹화가 조성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lves, S., P. A. Aspinall, C. W. Thompson, T. Sugiyama, R. Brice and A. Vickers(2008) Preferences of older people for environmental attributes of local parks: The use of choice-based conjoint analysis. Facilities 26(11/12): 433-453. 

  2. Choi, H. H.(2013)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ommon Use Space Panning according to Urban Entertainment Centers (U.E.C) Typology. Master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3. Choi, I. A. and J. K. Lee(2013). A study on selection of plant of greening for indoor walls in commerci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loral Art and Design 28(1): 167-180. 

  4. Choi, S. R., Y. S. Kim and P. S. Yoon(2013). The management plan for the maintenance of the green-wall colors-Focusing on the eco plaza. Seoul Vertical Garden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Annual Conference. pp. 38-44. 

  5. Eom, K. H.(2007). A Study on the Greening Walls in Interior Space: with Special Reference a Case Study the Information Booth for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6. Francis, R. A. and J. Lorimer(2011) Urban reconciliation ecology the potential of living roofs and wall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2(6): 1429-1437. 

  7. Han, S. H., S. H. Kim and K. S. Sung(2008) A study on the visual satisfaction of a panel-type facade planti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20): 53-59. 

  8. Hindle, R. L.(2012) A vertical garden: Origins of the Vegetation-Bearing Architectonic Structure and System(1938). Studies in the History of Gardens & Designed Landscapes 32(2): 99-110. 

  9. Im, S. B.(2007)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Behavior: A Study of Human-Oriented Environment Planning. Seoul: Bo-moon-dang. 

  10. Jim, C. Y. and H. He(2011) Estimating heat flux transmission of vertical greenery ecosystem. Ecological Engineering 37(8): 1112-1122. 

  11. Kang, Y. E., Y. S. Shin, D. N. Jee, J. A. Kim and S. B. Im(2009) A study on the spatial model using participant observation: Focused on community facilities in rural villag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5(1): 31-46. 

  12. Kim, B. J.(2004) A Study on Design Process for Public Space by User Behavioral Observation: Centered on a Waiting Room in a Station. Master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13. Kim, J. H.(2009) A Study on the Interior Landscape Design by Using Wall Greening. Master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4. Kim, K. C. and B. J. Kim(2003) A study on design process for public space by us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17(1): 89-98. 

  15. Kim, Y.(2009). Sustainable architectural design of metropolitan vertical farm.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7(2): 181-186. 

  16. Kohler, M.(2008) Green facades-a view back and some visions. Urban Ecosystems 11(4): 423-436. 

  17. Lee, E. J. and K. R. Im(2005) Analysis on the programming of space design reflecting human behavior psychology. Journal of Digital Design 11: 222-231. 

  18. Lee, H. M.(2001) The Development of Planning Method for Landscaping of Wall. Master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9. Lee, J. H. and Y. S. Jang(201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indoor green-wall design: With focused on preference of emotional image languag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14(4): 593-604. 

  20. Lee, K. H. and J. H. Yang(2004)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the user's behavior according to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t the cafe. Architectural Research 20(8): 13-21. 

  21. Lee, S. N.(2005) A Study on the Awareness of Residents on Wall Planting. Master Thesis, Hankyung National University. Gyeonggi, Korea. 

  22. Lim, L. S., N. H. Byun, J. P. Choi and S. B. Im(2010)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privacy and preference of seats of university library. Architectural Research 26(5): 139-146. 

  23.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2012) the Guideline for Building Greening design. Notification of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2-544. 

  24. Ottele, M., K. Perini, A. L. A. Fraaij, E. M. Haas and R.. Raiteri(2011) Comparative life cycle analysis for green facades and living wall systems. Energy and Buildings 43(12): 3419-3429. 

  25. Perez, G., L. Rincon, A. Vila, J. M. Gonzalez and L. F., Cabeza(2011a) Green vertical systems for buildings as passive systems for energy savings. Applied Energy 88(12): 4854-4859. 

  26. Perez, G., L. Rincon, A. Vila, J. M. Gonzalez and L. F. Cabeza(2011b) Behaviour of green facades in mediterranean continental climate.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52(4): 1861-1867. 

  27. Perini, K.(2013) Retrofitting with vegetation recent building heritage applying a design tool-the case study of a school building. Frontiers of Architectural Research 2(3): 267-277. 

  28. Perini, K., M. Ottele, E. M. Haas and R. Raiteri(2013) Vertical greening systems, a process tree for green facades and living walls. Urban Ecosystems. pp. 1-13. 

  29. Rasidi, M. H., N. Jamirsah and I. Said(2012) Urban green space design affects urban residents' social interaction.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68: 464-480. 

  30. Sheweka, S. M. and N. M. Mohamed(2012) Green facades as a new sustainable approach towards climate change. Energy Procedia 18: 507-520. 

  31. Sim, W. S.(200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ing Planning and Interior Design in the Spaces for Eating and Drinking. Master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32. Stec, W. J., A. H. C. Van Paassen and A. Maziarz(2005) Modelling the double skin facade with plants. Energy and Buildings 37(5): 419-427. 

  33. Tong, J. andW. U. Yang(Eds.)(2013) LivingWall: Jungle the Concrete. Hong Kong: Design Media Publishing Limited. 

  34. Tzoulas, K. and P. James(2010) Peoples' use of, and concerns about, green space networks: A case study of Birchwood, Warrington New Town, UK.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9(2): 121-128. 

  35. Uffelen, Chris van.(2011) Facade Greenery: Contemporary Landscaping. Germany: Braun Publishing AG. 

  36. Unt, A. L. and S. Bell(2013) The impact of small-scale design interventions on the behaviour patterns of the users of an urban wasteland. Urban Forestry and Urban Greening. Article in press. 

  37. Van Renterghem, T., M. Hornikx, J. Forssen and D. Botteldooren (2012) The potential of building envelope greening to achieve quietness. Building and Environment 61: 34-44. 

  38. Wong, N. H., A. Y. K. Tan, P. Y. Tan, A. Sia and N. C. Wong(2010) Perception studies of vertical greenery systems in Singapore. Journal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136(4): 330-338. 

  39. Wright Wendel, H. E., R. K. Zarger and J. R. Mihelcic(2012) Accessibility and usability: Green space preferences, perceptions, and barriers in a rapidly urbanizing city in Latin Americ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07(3): 272-282. 

  40. Yang, B. E. and S. Y. Moon(2002).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seating behavior with the space characteristics in fastfood restaurant. Architectural Research 18(9): 21-31. 

  41. Yang, E. K., H. S. Suh and C. S. Tae(2010). The feasibility study on green wall in apartment complex planning. Proceedings of the SAREK 2010 Summer Annual Conference. pp. 356-361. 

  42. Yang, S. Y. and S. I. Cho(2013). A study on the vertical garden design for indoor space : Focused on green wall in lobby spa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ion of Interior Design 22(3): 33-42. 

  43. Yun, P. S.(1998). Environmental Horticulture Illustrated Plant Book. Seoul: Mun-un-dang. 

  44. Zeng, Z., X. Li, C. Li and Y. Zhu(2012) Modeling ventilation in naturally ventilated double-skin facade with a venetian blind. Building and Environment 57: 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