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유아수학교육사 연구
A Study on Korea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History 원문보기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한국수학사학회지, v.28 no.6, 2015년, pp.349 - 363  

계영희 (Early Childhood Edu., Kosin Univ.) ,  하연희 (Early Childhood Edu., Kosin Univ.)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explore about Korea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history. Actually, mathematics education history is mathematics education curriculum's history. Korean education curriculum has been influenced by the US and European prominent educators: Montessori, Piaget, Bruno, and De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만3〜5세 유아의 심신의 건강과 조화로운 발달을 도와 민주시민의 기초를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학적 탐구하기’ 는 유아가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문제를 수학적 사고와 추론에 의해 논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두었다.
  • 따라서 유아교육에서는 프뢰벨 이전과 이후의 시기로 분류하는데 이는 현대적 의미에서 최초로 유치원을 설립한 학자가 프뢰벨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프뢰벨 이후의 유아교육학자들의 사상과 철학, 유아수학교육의 목표와 교육관을 탐색하고, 우리나라 유아수학의 교육과정이 어떻게 변화되었으며 교육과정이 개편될 때마다 유아수학교육에 관한 유아교육전문가들의 논문의 경향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CTM는 '학교수학의 원리와 기준'으로 제시한 내용과 과정 기준은 무엇인가? 그 결과 1991년 NCTM은 NAEYC(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의 승인을 받아 3세부터 8세까지 유아수학교육의 개선지침을 마련하여 유아발달에 적합한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지도의 필요성과 함께 수와 기하를 강조하였다. 또 2000년에는 ‘학교수학의 원리와 기준’으로 내용기준(Content Standards)과 과정기준(Process Standards) 을 각각 5개씩 제시하였다 : 내용기준은 수와 연산, 대수, 기하, 측정, 자료 분석과 확률이고, 과정기준은 문제해결, 추론과 증명, 소통, 연결, 표현이다 [31].
유아교육에서 프뢰벨 이전과 이후의 시기로 분류하는 이유는? 프뢰벨 이전의 유아교육학자들은 대개 고아나 도시노동자들의 자녀를 보육하기 위한 기관을 설립하였고, 그 이후에 유치원 교육체계로 나아갔다. 따라서 유아교육에서는 프뢰벨 이전과 이후의 시기로 분류하는데 이는 현대적 의미에서 최초로 유치원을 설립한 학자가 프뢰벨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프뢰벨 이후의 유아교육학자들의 사상과 철학, 유아수학교육의 목표와 교육관을 탐색하고, 우리나라 유아수학의 교육과정이 어떻게 변화되었으며 교육과정이 개편될 때마다 유아수학교육에 관한 유아교육전문가들의 논문의 경향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피터스의 지식의 형식을 유아교육 과정에 적용하면 어떻게 범주화되는가? 그는 지식의 형식 (form of knowledge)을 ‘형식논리학과 수학, 자연과학, 자기와 타인의 감정 이해, 도덕적 판단, 심미적 경험, 종교적 주장, 철학적 주장’ 등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유아교육과정에 적용하였을 때 ‘수영역과 인지영역, 탐구영역, 정서영역, 사회영역, 표현영역’으로 범주화되었고, 종교적 주장과 철학적 주장은 제외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ALFANZ R., Why do we teach young children so little mathematics?: Some historical considerations, In J. V. Copley(Ed.), Mathematics in the early year. Reston, VA: NCTM & NAEYC, 1999. 

  2. BRANSFORD B., Cooking, How People Learn: Brain, Mind, Experience, and School, Washington DC : National Academy Press, 1999. 

  3. HAN Y. M.,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Changjisa, 2012.(한유미, 유아수학교육, 창지사, 2012.) 

  4. HONG H. K., Early Childhood Mathematics Ability Development and Education, Yangseowon, 2009.(홍혜경, 유아 수학능력 발달과 교육, 양서원, 2009.) 

  5. JEONG B. T., Study on the Effects of Children's Math Education Using Math Story books on Children's Creativity,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sin University, 2012.(정병탁, 수학동화를 활용한 유아수학교육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6. C. KAMII, R. DEVRIES, Piaget for early education. 1979. 박재규 옮김, 삐아제 이론과 유아교육, 창지사, 1988. 

  7. KIM C. B., WHANG J. S., KIM K. C., Early Childhood Mathematics, Yangseowon, 2006.(김창복, 황정숙, 김경철, 유아수학교육, 양서원, 2006.) 

  8. KIM D. I., CHO O. H., The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deas, Yangseowon, 2011.(김동일, 조옥희, 유아교육사상사, 양서원, 2011.) 

  9. KIM J. S., Characteristic of 2007 amended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Child Studies 17 (2008), 50-65.(김진숙,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특징, 아동연구 17 (2008), 50-65.) 

  10. KIM J. Y., Trend Analysis of Mathematics Research Using Mathematics Evaluation Tools for Young Children: Based on Mathematics Treatises Published Since 1981, The Stud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6(1) (2006), 233-253.(김지영, 유아수학 평가도구를 사용한 수학연구의 동향분석 : 1981 년 이후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유아수학교육연구 26(1) (2006), 233-252.) 

  11. KIM S. W., et al 16, The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deas, Yangseowon, 2010.(김승환 외 16, 유아교육사상사, 양서원, 2010.) 

  12. KIM Y. O., et al 3,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s on the 6th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and Its Directions for Future, The Stud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5(4) (2005), 53-80.(김영옥 외 3,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유아교육연구 25(4) (2005), 53-80.) 

  13. KIM Y. W., KIM Y. K., Interesting Mathematics Travel 1, Gimmyoungsa, 2007.(김용운, 김용국, 재미있는 수학여행 1, 김영사, 2007.) 

  14. Viviane KOENIG, La vie des enfants en Greece ancienne, LIM M. K.,(Eds.), Junior Gimmyoungsa, 2009.(비비안 쾨닉, 고대 그리스 어린이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임미경 옮김, 주니어 김영사, 2009.) 

  15. KWON M. R.,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Chongmok Publisher, 2009.(권미량, 유아교육과정, 청목출판사, 2009.) 

  16. KYE Y. H., KIM J. S., Teaching Mathematics for Our Children, Kyungmoonsa, 2003.(계영희, 김진숙, 우리아이 수학 가르치기, 경문사, 2003.) 

  17. KYE Y. H., A comparison of mathematical contents and process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U.S.,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23(2) (2010), 123-140.(계영희, 한국과 미국의 유치원 수학교육의 내용과 과정에 관한 비교, 한국수학사학회지 23(2) (2010), 123-140.) 

  18. KYE Y. H., Foundation of philosoph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ancient Greek and Roman early childhood educations,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24(2) (2011), 45-61.(계영희, 유아교육의 철학적 기초 :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유아교육, 한국수학사학회지 24(2) (2011), 45-61.) 

  19. KYE Y. Hee., HA Y. H.,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Nuri Curriculum, Dongmunsa, 2015.(계영희, 하연희,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교육, 동문사, 2015.) 

  20. LEE D. K., BACK K. S., KIM H. S.,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 Review of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1996 to 2005,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1(3) (2006), 169-188.(이대균, 백경순, 김현수, 열린유아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1(3) (2006), 169-188.) 

  21. LEE H. J., NOH H. Y., KIM S. S., Research Trends in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50 (2007), 205-227.(이효정, 노희연, 김성숙, 유아수학교육 연구동향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50 (2007), 205-227.) 

  22. LEE H. Y., An Analysis of Tren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in Korean Journals,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t. of Child Welfare and Studies, The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1.(이혜영, 유아교육분야 국내학술지의 연구동향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3. LEE J. H., A Study of Content and Method Used in Number Instruction for Young Children from a Cultural Psychology Perspective, The Stud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9(1) (1999), 111-131.(이지현, 유아 수교육 내용 및 방법에 관한 문화 심리학적 고찰, 유아교육연구 19(1) (1999), 111-131.) 

  24. LEE K. S.,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Gyomoonsa, 1992.(이기숙, 유아교육과정, 교문사, 1992.) 

  25. LEE M. A., Reflections o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Recent Dissertations,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illa University, 2005.(이미애,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소고 : 최근 논문 분석을 통하여,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26. LEE Y. J., The Analysis of Trends i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Study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1996.(이영주, 유아수학교육 논문의 경향분석 (1945-1995),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27. LIM S. D., Philosoph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ongmunsa, 2010.(임상도, 유아교육철학, 동문사, 2010.) 

  28.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5 years old Nuri Curriculum, 2013.(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2013.) 

  29. MOON Y. S.,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Yangseowon, 2009.(문연심, 영유아수학교육, 양서원, 2009.) 

  30. NCTM,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 for School Mathematics, Washington, DC : NCTM, 1989. 

  31. NCTM,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2000. 

  32. PETERS R. S., Ethics and education, London: George Allen and Unwin, 1996. 

  33. RHEE S. H.,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Papers on Ma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a focus on dissertations published between 1996 and 2013,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014.(이송희, 유아수학교육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1996년-2013년 발표된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4. RYU S. R., A Study on the Role of Social Interaction of Piaget and Vygotsky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Research of Science.Mathematics Education 22 (1999), 109-131.(류성림, 수학교육에서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역할에 관한 고찰, 과학. 수학교육연구 22 (1999), 109-131.) 

  35. SARACHO O. N., SPODEK B., History of mathemat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 N. SARACHO, B. SPODEK(Eds.), Contemporary perspectives on mathemat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harotte, NC: Information Age Pub, 2008. 

  36. SONG M. J., Developmental Psychology, Hakjisa, 2005.(송명자, 발달심리학, 학지사, 2005.) 

  37. https://en.wikipedia.org/wiki/Constance_Kamii.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