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특성 및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Sensory Processing Feature,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The jo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v.13 no.2, 2015년, pp.43 - 51  

박영주 (인제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장문영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특성 및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학생 183명을 대상으로 2015년 6월부터 2015년 8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형 성인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S-scale), 청소년/성인 감각프로파일(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자기효능감 척도(Self-Efficacy Scale)를 사용하였다.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특성의 관계, 스마트폰 중독과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스마트폰 중독군과 스마트폰 정상사용군은 감각처리특성 중 등록저하와 감각예민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스마트폰 중독군은 감각찾기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스마트폰 중독군은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감각찾기 성향이 높고,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스마트폰 중독이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중재하기 위해 체계적인 조사와 다양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sensory processing features and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s. Methods : From June to August in 2015, a hundred eighty three healthy college students were completed the questionnaire for smart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스마트폰 사용이 증가하는 사회적 환경에서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중재하기 위한 다양한 기초연구들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 유무에 따라 개인요인 중 감각처리와 자기효능감에 대한 상관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추후 스마트폰 중독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유무에 따라 감각처리특성을 알아보고,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특성 및 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유무에 따른 감각처리특성을 알아보고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특성 및 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 183명 중 스마트폰 중독군은 총 47명(25.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 대학생을 대할 때 그들의 감각처리특성에 대해 이해하고 이들을 중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앞으로 스마트폰 중독 대학생의 감각처리와 자기효능감에 대한 특성을 파악한 중재접근법이 필요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군과 스마트폰 정상사용군으로 나누어 감각처리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특성 및 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이란 무엇인가? 대학생은 청소년과 다른 패턴으로 생활하고 부모의 감독에서 벗어나며 전자기기를 자신의 사치품으로 여기기 때문에 스마트폰 사용 빈도가 높게 나타난다(Fossum, Nordnes, Storemark, Bjorvatn, & Pallesen, 2014). 스마트폰은 전화를 걸고 받는 기능뿐만 아니라 미디어 플레이, 카메라, 네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기능이 결합된 휴대 가능한 기기이다(Lin et al., 2014).
자기효능감이란 무엇인가? 감각추구란 다양하고 새롭고 복잡한 감각이나 경험을 추구하려는 욕구로(Zuckerman, Kolin, Price, & Zoob, 1964) Dunn(1997)의 감각처리 특성 중 감각찾기와 동일한 개념이다(Gancarz, Robble, Kausch, Lloyd, & Richards, 2012). 자기효능감이란 특정 행동을 성공적으로 달성하는 개인의 자신감으로 자신이 가치를 두고 선택한 활동을 수행하는 것이다(Hinojosa & Blount, 2009).
스마트폰은 어떤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는가? , 2014). 이러한 장점은 현대사회에서 획기적인 편리함을 제공하는 반면, 과도한 사용의 경우에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Kuss & Griffiths,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Arlington, VA: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 Chen, S. K. (2012). Internet us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college students: A latent profile approach.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8(6), 2219-2226. 

  3. Choi, J. D., Kim, J. K., & Lee, T. Y. (2010).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processing styles and personal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8(1), 23- 30. 

  4. Demirci, K., Akgonul, M., & Akpinar, A. (2015). Relationship of smartphone use severity with sleep quality, depression, and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s, 4(2), 85-92. http://dx.doi.org/10.1556/2006.4.2015.010 

  5. Dunn, W. (1997). The impact of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on the daily lives young children and their families: A conceptual model. Infants Young Child, 9(4), 23-35. 

  6. Fossum, I. N., Nordnes, L. T., Storemark, S. S., Bjorvatn, B., & Pallesen, S. (2014). The association between use of electronic media in bed before going to sleep and insomnia symptoms, daytime sleepiness, morningness, and chronotype. Behavioral Sleep Medicine, 12(5), 343-357. http://dx.doi.org/10.1080/15402002.2013/819468 

  7. Gancarz, A. M., Robble, M. A., Kausch, M. A., Lloyd, D. R., & Richards, J. B. (2012). Association between locomotor response to novelty and light reinforcement: Sensory reinforcement as a rodent model of sensation seeking. Behavioural Brain Research, 230(2), 380-388. 

  8. Han, H. J. (2002). The effects of self assertiveness training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elf-effica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9. Han, S. Y., Chang, K. Y., Han, M. Y., & Chun, S. C. (2012). Study of sensory processing ability and problem behavior of delinquent juvenil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1), 15-28. 

  10. Hinojosa, J., & Blount, M. L. (2009). Occupation, purposeful activities, and occupational therapy. In J. Hinojosa & M. L. Blount (Eds.), The texture of life: Purposeful activities in context of occupation (3rd ed., pp. 1-19). Bethesda, MD: AOTA Press. 

  11. Kim, B., Ko, E., & Choi, H. (2014).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A focus on differences in classifying risk groups.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24(3), 67-98. 

  12. Kim, D., Lee, Y., Lee, J., Nam, J. K., & Chung, Y. (2014). Development of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youth. PLoS One, 9(5), e97920.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097920 

  13. Kim, H. J., Kim, J. H., & Jeong, S. H. (2012). Predictors of smartphone addiction and behavioral patterns.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29(4), 55-93. 

  14. Kim, J. H. (2006). Currents in internet addiction.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49(3), 202-208. 

  15. Kim, J. K., Choi, J. D., & Park, S. Y. (2008). The relationship of sensory processing and childrearing attitudes for mothers of children with or without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6(1), 45-54. 

  16. Kim, S. Y., Kim, E. K., Park, J. S., Jun, S. H., & Chang, M. Y. (2013). Comparison with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depending on adolescent's sensory processing characteristic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1(2), 39-49. 

  17. Ko, K. A. (2007). Effect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homework solving technique improvement on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18. Kuss, D. J., & Griffiths, M. D. (2011).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addiction-a review of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8(9), 3528-3552. http://dx.doi.org/10.3390/ijerph8093528 

  19. Lin, Y. H., Chang, L. R., Lee, Y. H., Tseng, H. W., Kuo, T. B., & Chen, S. H. (2014).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martphone addiction inventory(SPAI). PLoS One, 9(6), e98312.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 

  20. Mok, J. Y., Choi, S. W., Kim, D. J., Choi, J. S., Lee, J., Ahn H., et al. (2014). Latent class analysis on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in college students. Neuropsychiatric Disease and Treatment, 10, 817-828. http://dx.doi.org/10.2147/NDT.S59293 

  21.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Development of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youth and adults.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2. Park, M. H., & Kim. K. M. (2006). The necessity for adult's sensory processing evaluating tool and the introduction of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4(1), 1-12. 

  23. Park, N., & Lee, H. (2012). Social implications of smartphone use: Korean college students' smartphone us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5(9), 491-497. 

  24. Park, W. K. (2014). An explorative study on college students' SNS addiction: Using psychological variables as predictors. Kookmin Social Science Revies, 27(1), 95-125. 

  25. Park, Y., & Song, G. S. (2015). The correlation between problem drinking and sensory processing feature in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3(1), 23-32. 

  26. Ryu, M. (2014). University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propensities according to selfefficacy and leisure-related variables.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2(1), 63-79. 

  27. South Korea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Internet addiction survey 2011 (pp. 118-119).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8. Zuckerman, M., Kolin, E. A., Price, L., & Zoob, I. (1964). Development of a sensation seek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Phsychology, 28, 477-48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