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인 가구원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광주지역 1개구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Variable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in Single Person Households: Targeting One Gu in Gwangju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3 no.6, 2015년, pp.115 - 128  

김화진 (Department of Family Environment & Welfa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김경신 (Department of Family Environment & Welfa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y of suicidal ideation in single person households and to analyse the differences and effects of related variables(sociodemographic variables, characteristics of single person households, happiness and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For achieving th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조사대상지역이 1개 구로 제한됨에 따라,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1개 구의 대표성을 갖는 표본을 통하여 1인가구원의 행복지수와 우울, 자살생각의 일반적 경향과 1인가구원의 특성에 따른 자살생각의 차이와 함께 1인가구원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힘으로써,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겠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년층에서 노년층에 이르는 다양한 구성을 가지고 있는 1인가구원의 자살생각의 정도와 자살생각을 설명해주는 위험요인을 고찰하여, 1인 가구의 정신건강 측면에서의 사회적 과제를 탐색하고 지역 1인가구의 정신건강서비스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개인적 특성 관련 변인과 1인가구원의 행복지수, 우울을 측정하여 이러한 변인들이 자살 생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 Park, 200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행복을 자신이 어떻게 느끼는가 하는 주관적인 면에 초점을 두고 전반적인 생활에서 인지적 및 정서적 반응을 파악하고자 한다.
  •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구문제로 첫째, 1인가구원의 행복지수와 우울, 자살생각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사회인구학적 특성, 1인가구원의 특성 변인에 따라 자살생각은 차이가 있는가? 셋째, 1인가구원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사회 인구학적 특성, 1인가구원의 특성, 행복지수, 우울)의 영향력은 어떠한가?를 설정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년층에서 노년층에 이르는 다양한 구성을 가지고 있는 1인가구원의 자살생각의 정도와 자살생각을 설명해주는 위험요인을 고찰하여, 1인 가구의 정신건강 측면에서의 사회적 과제를 탐색하고 지역 1인가구의 정신건강서비스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개인적 특성 관련 변인과 1인가구원의 행복지수, 우울을 측정하여 이러한 변인들이 자살 생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구문제로 첫째, 1인가구원의 행복지수와 우울, 자살생각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사회인구학적 특성, 1인가구원의 특성 변인에 따라 자살생각은 차이가 있는가? 셋째, 1인가구원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사회 인구학적 특성, 1인가구원의 특성, 행복지수, 우울)의 영향력은 어떠한가?를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인가구가 급증하는 이유는? 1인가구가 급증하는 것은 실용주의적 가족 가치관의 대두로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전통적인 가족 개념이 약화되고(H. Cho & S. Jeon, 2010), 청년 실업증가, 초혼연령의 상승에 따른 미혼독신가구의 증가, 미혼상태로 부모 세대로부터 독립하는 청년층 1인가구의 증가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장년층의 경우는 미혼 및 이혼의 증가로 인해 1인가구 증가 현상이 나타나며 노년층 1인가구는 고령화 사회로 인한 노년층의 수명 연장추세와 노인을 부양하는 가구가 감소하는 경향 때문인데, 장년층과 노년층의 1인가구 증가 현상은 앞으로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1인가구 증가에 따른 영향은? 1인가구 증가에 따른 영향을 보면, 첫째 다양한 도심형 소형 주택의 공급이 활성화 될 수 있겠으나, 월세 중심의 주거형태가 되면 주거비 비중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수 있으며, 둘째 고령 저소득 1인가구에 대한 복지 지출 확대로 재정 여건이 악화될 우려가 있고, 셋째 혈연 중심의 가족문화가 퇴조하면서 저출산 현상 심화, 독거노인과 자살자 증가 등의 사회 병리적 문제의 발생이 높아질 수 있으며, 넷째 전체 소비 시장의 기회 요인이면서 동시에 노후 생활에 대한 불안감으로 소비 시장이 위축될 우려가 있다(H. Cho & S.
행복지수 측정도구는 어떤 문항을 사용해 무엇을 측정하는가? (2010)의 ‘한국인의 행복지수와 그 의미’에서 개발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이는 주관적 안녕감(E. Diener, E. Suh, R. Lucas, & H. Smith, 1999) 연구를 토대로 행복의 인지적 요소(삶의 만족)를 측정하였는데, 한국인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삶의 개인적 측면, 관계적 측면, 집단적 측면에 만족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3개 문항을 사용하였다. 행복의 정서적 요소는 J.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3)

  1. An, H. J. (2013). A study on major determinants of the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2. Bae, J. Y. (2005).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for elderly suicidal though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jeon University, Daejeon, Korea. 

  3. Beck, A. T., Kovacs, M., & Weissman, A. (1979). Assessment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2), 343-352. 

  4. Borges, G., Nock, M. K., Haro Abad, J. M., Hwang, I., Sampson, N. A., Alonso, J., Andrade, L. M., Angermeyer, M. C., Beautrais, A., Bromet, E., Bruffaerts, R., De Girolamo, G., Florescu, S., Gureje, O., Hu, C., Karam, E. G., Kovess-Masfety, V., Lee, S., Levinson, D., Medina-Mora, M. E., Ormel, J., Posada-Villa, J., Sagar, R., Tomov, T., Uda, H., Williams, D. R., & Kessler, R. C. (2010). Twelve-month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suicide attempts i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mental health surveys.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71(12), 1617-1628. 

  5. Byun, M., Sin, S. Y., & Cho, K. J. (2009). Single person household and urban policy in Seoul. Seoul Development Institute. 

  6. Carlson, G. A., & Cantwell, D. P. (1982). Suicidal behavior and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Psychiatry, 21(4), 361-368. 

  7. Cha, K. W. (2006). Economic structure of male one-person household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1(1), 253-269. 

  8. Cho, H. J., & Jeon, S. H. (2010). Seven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ingle household in Korea. Monthly Economic Review, Hyundai Research Institute. 

  9. Cho, M. J., & Kim, K. H. (1993).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32(3), 381-399. 

  10.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11. Diener, E., & Seligman, M. (2002). Very happy people. Psychological Reports, 13(3), 81-84. 

  12. Diener, E., Suh, E. M., Lucas, R. E., & Smith, H. L.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2), 276-302. 

  13. Donggu Mental Health Center. (2009). 2009 Annual report. 

  14. Forkmann, T., Brahler, E., Gauggel, S., & Glaesmer, H. (2012). Prevalence of suicidal ideation and related risk factors in the German general population.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200(5), 401-405. 

  15. Fredrickson, B. L., Tugade, M. M., Wauugh, C. E., & Larkin, G. (2003). What good are positive emotions in cris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2), 365-376. 

  16. Hider, P. (1998). Youth suicide prevention by primary health care professionals: A critical appraisal of the literature. Christchurch, NZ: Department of Health Outcomes an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17. Hur, J. S., & Yoo, S. H. (2002). Determinants of depression among elderly persons. Mental Health & Social Work, 13, 7-35. 

  18. Jeong, G. H. (2014). The present and future of single person households. The 36st Annual Korean Academy of Family Social Work Conference, 23-65. 

  19. Jo, K. H., & Kim, Y. K. (2008). Influencing factors on depression, suicidal thought, and life satisfaction of Korean elde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4(2), 176-187. 

  20. Kim, H. S. (2002). A study on epistemology of Korean elder's suicidal thought.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2(1), 159-172. 

  21. Kim, H. S. (2008).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stress, hopelessness, and depression to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and the adolesc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22. Kim, H. Y. (2006).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of eld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3. Kim, J. Y., & Ko, Y. G. (2011). The moderating effect of happiness on the relation between mental disorders and suicidal behavior.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6(4), 827-835. 

  24. Kim, K. R. (2013). Influence of self-esteem, flow and depression of the psychiatric nurses upon their happi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5. Kim, M. J. (2007). A study of socio-psychological determinants on elderly suicidal impul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illa University, Pusan, Korea. 

  26. Kim, S. I., & Jung, Y. C.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depression tendency and their home environment. Studies on Korean Youth, 12(1), 5-27. 

  27. Kim, Y. B. (2008).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adul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eju National University. Cheju, Korea. 

  28. Kim, Y. J. (2009). Comparison of health habits,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by gender between elders living alone and those living with ot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3), 333-344. 

  29. Ko, J. U., & Kim, S. B. (2011). A study of influence factors on the suicidal tendency of elderly living alone.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30, 29-48. 

  30. Koo, C. Y. (2013).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elders' suicidal ide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Korea. 

  31. Korea Institute for Health & Social Affairs. (2012). Policy implications of changes in family structure: Focused on the increase of single person households in Korea. 

  32. Korea Suicide Prevention Center. (2014). White book 2014. 

  33. Kwon, H. K. (2007). The influence on depression and thought of suicide of the old for the experience of abu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onghee University, Seoul, Korea. 

  34. Lee, Y. J., & Kim, T. H. (1999). A study on the buffer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stress of the elderly who lives alone.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19(3), 79-93. 

  35. Lee, H. Y., Noh, S. C., & Choi, E. Y. (2011). Growth patter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one-person households by socio-economic demographic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6(4), 481-501. 

  36. Lee, M. S. (2005).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and suicide of the old.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7. Lee, S. C. (2010). Socio-economic factors of elderly suicide. Korean social security studies, 26(4), 1-19. 

  38. Lee, S. Y. (2014). Factor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and depression according to gender among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8(1), 71-86. 

  39. Mirowsky, J.(1996). Age and the gender gap in depression.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37(4), 362-380. 

  40. Myers, D. (1996). The fund, friends, and faith of happy people. American Psychologist, 55(1), 56-67. 

  41. Nam, M. H., Kim, H. O., & Kwon. Y. C. (2013).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happiness index of health behavior, smart phone addiction,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0), 557-569. 

  42. OECD (2014). OECD Health statistics 2014. 

  43. Park, E. O., & Choi, S. J. (2013). Prevalence of suicidal ideation and related risk factors among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2(2), 88-96. 

  44. Park, K. R. (2012). The effects of structured social network types and their relationship to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singles and couple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1(5), 929-945. 

  45. Park, H. J. (2007). Factors influencing to suicidal ideation by age group.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46. Park, J., Ryu, S. Y., Choi, S. W., & Han, M. A. (2012). Community health survey. Gwangju city. 

  47. Park, S. K. (2003).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nhancing happiness applying reality therap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ng Ik University, Seoul, Korea. 

  48. Pulkki-Raback, L., Kivimaki, Kirsi Ahola, K., Joutsenniemi, K., Elovainio, M., Rossi, H., Puttonen, S., Koskinen, S., Isometsa, E., Lonnqvist, J.. & Virtanen, M. (2012). Living alone and antidepressant medication use: A prospective study in a working-age population. BMC Public Health. 

  49. Russell, J. A. (1980). A circumplex model of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6), 1161-1178. 

  50. Shin, M. S., Park, K. B., Oh, K. J., & Kim, Z. S. (1990). A study of suicidal ide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9(1), 1-19. 

  51. Shin, M. S., Park, K. B., & Oh, K. J., (1991).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impulsivity on adolescent suicidal behavior.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0(1), 286-297. 

  52. Shu, H. J. (2005). Social work intervention strategies for preventing suicide in the elderly: With special reference to factors affecting on elderly suicid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Korea. 

  53. Song, Y. D. (2010). Examining eco-systematic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who are living alon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54. Statistical Research Institute. (2012). Korean social trends 2012. 

  55. Statistics Korea. (2012). 2012 Social survey. Retrieved from https://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269. 

  56. Suh, E. M., Koo, J. S., Lee, D. G., Jung, T. Y., & Choi, I. C. (2010). Psychology toward happiness. 2010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13-232. 

  57. Suh, G. H., Kim, J. K., Yeon, B. K., Park, S. K., Yoo, K. Y., Yang, B. K., Kim, Y. S., & Cho, M. J. (2000).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ementia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39(5), 809-824. 

  58. Won, E. K. (2013). Social factors of depressive symptoms in an urban community popul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59. Yang, J. S. (2010). Study on single-person households in Gyeonggi province and policy implications for low fertility. Gyeonggido Family & Women's Research Institute. 

  60. Yoo, S. H. (2007). Mental health social work & suicide. 2007 Korea Academy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243-253. 

  61. Yoon, H. K. (2013). Analysis on the related factors of over 65-year-old people suicidal idea: Focused on comparing elderly living alone with ones not living alon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62. Yoon, K. J., & Kim, G. Y. (2010). Calculation and comparison of "well-being indicator" for OECD countries. Health-welfare Policy Forum, 159, 86-98. 

  63. Yoon, S. H. (2014) The effect of exercise participation on the happiness index, stress and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Chungbuk,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