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X 위성측위 인프라기반 네트워크 RTK를 이용한 측위성능 분석
Analysis of Positioning Accuracy Using LX GNSS Network RTK 원문보기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v.19 no.6 = no.75, 2015년, pp.507 - 514  

하지현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  김현호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  정완석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LX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에서는 2011년부터 LX 위성측위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2014년부터 MAC (master-auxiliary correction) 방식의 네트워크 실시간 이동측위 (RTK; real-time kinematic) 전국망 운영 실험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X GNSS 인프라의 구축 현황을 소개하고 LX GNSS RTK 서비스를 이용한 측위 성능 분석을 결과를 제시한다. 측위 성능 분석은 전북 전주, 서울, 그리고 인천에 설치된 지적도근점 중 총 25개를 이용하였으며, 1회 관측, 2회 중복관측, 그리고 5회 중복관측을 수행하였다. 측위 성능 비교를 위하여 한국국토정보공사 MAC과 국토지리정보원 VRS로 측량한 성과를 지적도근점의 고시좌표와 각각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시스템이 평균오차와 표준편차가 1~2cm 수준으로 유사한 성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institute of the LX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manages infrastructure for the LX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which comprises 30 monitoring stations nationwide. Since 2014, it has conducted network real-time kinematic (RTK) tests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에서는 2011년부터 GNSS 기반 네트워크 RTK 기술 연구를 위한 GNSS 관측소를 설치하였으며, 2015년 고도화를 완료하고 전국망 네트워크 RTK 서비스를 시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국에 분포한 LX GNSS 인프라 현황을 소개하고 LX 네트워크 RTK 서비스를 이용한 현장 측위 정확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LX GNSS 인프라는 30개소로 구성된 GNSS 관측소와 1개의 중앙운영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GNSS 관측소는 지사 사옥의 옥상을 이용하여 설치되었다.
  • 이러한 수요에 발맞추어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에서는 국토 공간정보 및 GNSS 업무의 효율성 향상과 독자 기술력 확보를 위하여 위성측위 팀을 구성하고 기초 기술, 응용 기술 등 각종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연구의 일환으로 2011년부터 수도권을 시작으로 전국에 GNSS 관측소를 설치하고 네트워크 RTK(real-time kinematic)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에서 구축한 LX 위성측위 인프라 현황을 소개하고, 인프라 기반의 네트워크 RTK 서비스를 이용한 측위성능 분석 결과를 기술한다.
  • 공간정보연구원에서는 전국에 30개 GNSS 관측소를 구축하고 공간정보연구원 내이 중앙운영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절에서는 전국에 위치한 LX GNSS 관측소와 중앙운영시스템 구축 현황을 소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NSS 관측망이란 어떤 개념인가? GNSS 관측소란 미국의 GPS, 러시아의 GLONASS 등 GNSS 위성에서 송출하는 신호를 상시 관측·수집하고 저장·관리하는 곳으로 공간정보연구원에서는 정밀 위치결정에서부터 공간정보 조사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정밀측지용 최신 GNSS 수신기와 안테나, 전력공급 장치, 통신장치 등으로 구성된 GNSS 관측소를 구축하였다. GNSS 관측망이란 여러 개의 GNSS 관측소로 구성된 네트워크로서, 통제 및 관리시스템, 데이터 수집, 저장, 처리 및 분석 시스템을 갖춘 중앙데이터 센터가 포함된 개념이다[5]. 일반적으로 GNSS 관측소를 운영하는 기관에서는 한 지점에 중앙데이터센터를 두고 전국에 위치한 각각의 관측소와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관측망을 구성한다.
GNSS 관측소란 무엇인가? GNSS 관측소란 미국의 GPS, 러시아의 GLONASS 등 GNSS 위성에서 송출하는 신호를 상시 관측·수집하고 저장·관리하는 곳으로 공간정보연구원에서는 정밀 위치결정에서부터 공간정보 조사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정밀측지용 최신 GNSS 수신기와 안테나, 전력공급 장치, 통신장치 등으로 구성된 GNSS 관측소를 구축하였다. GNSS 관측망이란 여러 개의 GNSS 관측소로 구성된 네트워크로서, 통제 및 관리시스템, 데이터 수집, 저장, 처리 및 분석 시스템을 갖춘 중앙데이터 센터가 포함된 개념이다[5].
중앙운영시스템의 백업시스템은 어떤 기능을 하는가? 네트워크시스템은 관측소를 원격으로 운영·관리하고 네트워크 RTK 보정정보를 생성·제공하며, 모니터링시스템은 수집된 관측데이터를 RINEX (receiver independent exchange format)로 변환하고 분석함으로써 운영자단 품질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백업시스템은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수집된 관측데이터를 저장하고 모니터링시스템에서 도출된 관측소의 분석 결과를 저장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B. Park, D. K. Cha, J. M. Lee, and H. S. Lee: A study on efficiency improvement of GPS surveying, Cadastral Research Institute, Seoul, Yeongu 2011-01, 2011. 

  2. S. G. Kang, J. Ha, W. S. Jung, J. M. Lee, and H. H. Kim, A study on effect analysis of error correction models for improvement of GPS positioning accuracy,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Institute, Seoul, Gibon 2013-04, 2013. 

  3. J. Ha, H. H. Kim, S. G. Kang, and W. S. Jung, A study on improvement and stabilization of LX GNSS network,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Institute, Seoul, Gonganjeongboyen 2014-12, 2014. 

  4. J. Ha, H. H. Kim, and J. B. Kim, "Establishment of LX GNSS network and accuracy analysis of Network RTK", The Journal of Korea Navigation Institute, Vol. 18, No. 6, pp. 546-554, Dec. 2014. 

  5. K. D. Park, J. Ha, S. H. Kim, J. H. Won, H. I. Kim, J. Y. Lim, H. R. Kwon, J. B. Kim, and S. Y. Kim, A study on the crustal deform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1-150074-000054-01, 2007. 

  6. W. S. Choi, and H. H. Yoo, "Accuracy analysis of cadastral supplementary control points by using virtual reference station-real time kinematic GPS surveying-Focused on Geoje-cit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 19, No. 4, pp. 65-70, Dec. 2011. 

  7. J. S. Park, J. H. Han, J. H. Kwon, and H. S. Shin, "Accuracy analysis of FKP for public surveying and cadastral resurvey",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ol. 22, No. 3, pp. 23-34, Jun.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