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의 정신·사회건강과 SNS 중독경향성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Mental·Social Health and Tendency toward Social Networking Addiction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28 no.3, 2015년, pp.248 - 255  

변종희 (경북대학교 병원) ,  최연희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나윤주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mental social health and their tendency toward social networking addict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543 high school boys and girls living in D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3rd to 21st of March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SNS를 사용하는 고등학생들의 정신 · 사회건강과 SNS 중독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SNS를 사용하는 고등학생들의 정신 · 사회건강과 SNS 중독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고등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SNS를 사용하는 고등학생들의 정신 · 사회건강과 SNS 중독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정신 · 사회건강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알아보고 SNS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또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소셜미디어 이용실태 연구(Lee, Sung, & Jung, 2012)는 시행되었지만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SNS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적 · 사회적 건강요인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정신 · 사회건강과 SNS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과도한 SNS 사용으로 인한 문제행동을 예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NS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SNS란 스마트폰 보급과 함께 급부상하고 있는 인터넷 기반의 소통과 자기표현의 매체로, 사람들 간 사회망을 구축하고 사회관계를 형성하여 흥밋거리나 활동 등을 실시간으로 교류하도록 특화된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을 의미한다(Kelsey,2010). 특히 모바일 기기를 이용해 SNS에 접속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자신의 상태와 의견을 표명하고 여러 인간관계를 새로 맺거나 유지하며 정보를 빠르게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 청소년의 SNS 이용률은 어떤 추세로 볼 수 있는가? 3%는 하루에 한번 이상 SNS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2012)의 조사에서도 SNS를 가장 활발히 이용하는 연령층은 20대(89.7%)였으나 6~19세의 SNS 이용률도 78.9%로 높은 수준이었으며, 최근 모바일을 통한 SNS이용률이 증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청소년들의 SNS 이용률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라고 할 수 있다.
한국판 청소년용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K-SSRS)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사회건강은 Gresham과 Elliot (1990)의 Social Skill Rating System을 Moon (2003)이 한국의 정서에 맞게 수정한 한국판 청소년용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K-SSRS)를 사용하였다. 이 설문지는 4개의 하위영역(공감, 주장성, 자기조절, 협동성)을 포함한 3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점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성이 좋음을 의미한다. Moon (2003)의 연구에서 Cronbach's ⍺는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ae, K. H. (2013). The moderating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academic achi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University, Gwangju. 

  2. Choi, H. S., Lee, H. K., & Ha, J. C. (2011). The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on mental health, campus life and personal relations-focusing on K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5), 1005-1015. 

  3. Deursen, A. J. A. M., Bolle, C. L., Hegner, S. M., & Kommers, P. A. M. (2015). Modeling habitual and addictive smartphone behavior: The role of smartphone usage types,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tress, self-regulation, age, and gender. Computers in Human Behavior, 45, 411-420. http://dx.doi.org/10.1016/j.chb.2014.12.039 

  4. Derogatis, L. R., & Cleary, P. A. (1977). Confirmation of the dimensional structure of the scl-90, a study in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3(4), 981-989. 

  5. Gladwin, T. E., Figner, B., Crone, E. A., & Wiers, R. W. (2011). Addiction, adolescence, and the integration of control and motivation. Developmental Cognitive Neuroscience, 1(4), 64-76. 

  6. Gresham, F. M., & Elliott, S. N. (1990). Social skills rating system. Minneapolis, MN: Pearson Assessments. 

  7. Hampton, K., Sessions, L., Her, E. J., & Rainie, L. (2009). Social isolation and new technology: How the internet and mobile phones impact American's social network. Washington, DC: Pew Internet & American Life 57 Project. 

  8. Im, K. J., Suh, N. R., & Byun, J. N. (2014). The differences in smartphone addiction symptom between highly addicted and non-addicted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7(3), 189-195. 

  9. Kang, J. H. (2014). Effects of social anxiety and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on SNS addiction proneness of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10. Kelsey, T. (2010). Social Networking Space: From Facebook to Twitter and Everything In Between. New York: Spiringer-Verlag. 

  11. Kim, G. I., Kim, J. H., & Won, H. T. (1983). Symptom Checklist-90-Revision(SCL-90-R) in mental psychiatric outpatients. Mental Health Research, 1, 150-168. 

  12. Kim, H. M., & Shin, S. H. (2015). Comparison of gender factors affecting middle school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4(3), 145-155. 

  13. Kim, N. S., & Lee, K. E. (2012). Effects of self-control and life stress on smart phone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37(2), 72-83. 

  14. Korea Communication Commission.,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2). Survey use SNS of Internet users. Seoul: Korea Communication Commission. 

  15. Ko, C. S. (2012). The effects of addictive cell-phone use of adolescence on mental health. The Research Center for Korea Youth Culture, 30, 8-30. 

  16. Korea Development Institute. (2006). Socio-economic policies for distributional improvement and social cohesion. Sejong: Author. 

  17. Lee, C. H., & Lee, K. S. (2013). An exploration of the impact of social media use on cyber bullying by youth: A focus on network characteristics. Studies on Korean Youth, 24(3), 259-285. 

  18. Lee, C. H., Sung, Y. S., & Jung, N. W. (2012). A study on the SNS use of young people(12-R05). Sejong: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19. Lee, I. S., & Cho, J. Y. (2012). A study on social networking service addiction and mental health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5(1), 22-30. 

  20. Moon, S. W. (2003). The validity and the ut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social skill rating system-secondary level, student form (K-SSRS: secondary level, student form I.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5(2), 235-258. 

  21. National Informatization Society Agency. (2011). 2011 A Survey on Internet Addiction. Daegu: Author. 

  22.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2). 2011 Youth media use survey. Sejong: Author. 

  23. Park, K. W., & Kim, K. S. (2014, October). Protective factors and risk factors for smartphones excessive use of middle school students.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fall meeting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Seoul. 

  24. Park, W. K. (2014). An explorative study on college students' SNS addiction: Using psychological variables as predictors. Kookmin Social Science Reviews, 27(1), 95-125. 

  25. Pee, S. J. (2013). Difference in SNS addiction possibility, selfeste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guk University, Gyeonggi-do. 

  26. Song, E. J.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ing mobile phone and mental health state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5(3), 325-333. 

  27. Woo, K. S. (2011). A study on the use gratification and addiction of the mobile social network service: centered on twit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28. You, M. S., & Kwon, M. K. (2011) The comparative study o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communication among mother and student between mobile phone addiction group and non-addiction group: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arent Child Health, 14(2), 76-83. 

  29. Yoon, M. S., & Park, W. K. (2014). Psycho-social factors influencing to the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addiction tendency among university students. Korea Academy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42(3), 208-2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