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찰옥수수 육성계통간 유전적 거리와 잡종강세 정도
Genetic Distance and Heterosis Degree Among the Developed Waxy Corn Line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0 no.4, 2015년, pp.464 - 469  

이문섭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농학과) ,  양재현 (충남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임승빈 (충남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이희봉 (충남대학교 식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시된 교잡종에 대한 중요 식물학적 특성에 대해, 잡종강세를 양친 중간 값으로 나타낸 결과 공시종 중에서 잡종강세가 현저한 간장의 평균 값은 77.2%이었고 37.8% 착수고는 83.8%로 나타났다. 각 교잡종별 잡종강세 정도 간장의 경우 H-11에서 162%로 가장 높았고, 착수고는 H-14에서 116.7%로 높았다. 개화기는 대부분의 교잡종에서 부(-)의 값을 보여 교잡종이 교배친보다 개화기가 단축되었는데 특히 H-5는 -27%로 개화기가 빨랐다. 전체 이삭길이의 평균 잡종강세는 37.8%로 낮게 나타났으나 H-29 교잡종은 96.2%로 높 나타났다. 또한, 10개의 primer 이용한 계통간 상호교배에 의한 교잡종에 대한 SSR 마커를 이용한 유전적 거리에 대한 분석결과 크게 4그룹으로 분류 되었다. CNU16과 CNU14간에 가장 가까운 근연계수를 보였고, CNU6과 CNU9간 그리고 CNU19와 CNU13간에 가장 먼 근연계수를 보였다. 간장은 CNU454, CNU457간의 조합인 2군과 4군간의 조합에서 잡종강세가 162%로 가장 높았고, 이삭길이는 CNU258/CNU251, CNU915/CNU799 및 CNU427/CNU36 조합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유전적 거리는 근연관계가 멀수록 값이 낮고, 반대로 근연관계가 가까울수록 유전적 거리는 낮게 나타나는데 이삭길이 등은 유전적 거리가 가까운 90%의 높은 값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relationships of genetic distance and heterosis expression degree in the developed CNU waxy corn lines. The used material were developed in Corn Breeding Laboratory, Coll. of Agri. & Life Sci., CNU. Total 10 primers used for SSR maker analysis. In genetic distan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4). 따라서 본 연구는 자식계통간 상호교배에 의해 작성된 교잡종에 대한 잡종강세 발현정도를 효과적으로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계통간 유연관계와 잡종강세 정도를 비교분석하여(Park et al., 1994) 우수 교잡종 생산을 위한 최적의 교배조합을 선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옥수수 재배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옥수수(Zea mays L.)는 열대작물로 광과 온도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작물생산에 크게 좌우되는데, 특히 광도가 높을수록 광합성 능력이 높게 나타남으로 광포화점이 높다(Cho,2001). 옥수수 연구개발은 잡종강세 이론이 도입되면서 크게 활기를 띄게 되었는데 1900년대 초 미국을 중심으로 방임수분 옥수수가 재배되었으나(Troyer, 1999) 잡종강세에 의한 육종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짐으로써 1960년대 후반부터 단교잡종이 개발되어 재배 및 생산량 증대에 크게 기여 하고 있다(Son et al.
교잡종에 대한 중요 식물학적 특성 중 개화기의 시점의 변화는? 7%로 높았다. 개화기는 대부분의 교잡종에서 부(-)의 값을 보여 교잡종이 교배친보다 개화기가 단축되었는데 특히 H-5는-27%로 개화기가 빨랐다. 전체 이삭길이의 평균 잡종강세는 37.
단교잡종이 개발된 계기는? )는 열대작물로 광과 온도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작물생산에 크게 좌우되는데, 특히 광도가 높을수록 광합성 능력이 높게 나타남으로 광포화점이 높다(Cho,2001). 옥수수 연구개발은 잡종강세 이론이 도입되면서 크게 활기를 띄게 되었는데 1900년대 초 미국을 중심으로 방임수분 옥수수가 재배되었으나(Troyer, 1999) 잡종강세에 의한 육종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짐으로써 1960년대 후반부터 단교잡종이 개발되어 재배 및 생산량 증대에 크게 기여 하고 있다(Son et al.,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 D. H. 2001. Photosynthetic Performance of Transgenic Rice Plants Overexpressing Maize $C_4$ Photosynthesis Enzymes. Korean J.Crop Sci. 2001(1) : 30-38. 

  2. Choi, K. J., S. E. Park, M. S. Chin, H. S. Lee, and K. Y. Park. 1994. Heterosis and Heritability of Stay-Green Characters in Maize. Korean J. Breed. 26(1) : 53-60. 

  3. Diers, B. W., P. B. E. McVetty, and T. C. Osborn. 1996. Relationship between Heterosis and Genetic Distance Based on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Markers in Oilseed Rape(Brassica napus L.) Crop Sci. Vol. 36 : 79-83. 

  4. East E. M. Heterosis. 1936. Gen. 21 : 375-397. 

  5. Frova, C. P., D. F. N. Krajewski, M. Villa, and M. Sari-Gorla. 1999. Genetic analysis of drought tolerance in maize by markers. I. Yield components. Theor. Appl. Genet. 99 : 280-288. 

  6. Ji, H. C., Y. I. Kim, H. B. Lee, and J. W. Cho. 2007. Genetic Diversity of colored Rice Lines Based on Botanical Characteristics and Simple Sequence Repeat (SSR) Markers. J.Fac.Agr., Kyushu Univ., 52(2) : 287-293. 

  7. Lee, H. B., H. G. Kim, J. Y. Jung, H. G. Choi, D. U. Kim, and J. P. Kim. 2001. Growth and Yield in Waxy Maize Hybrid, "Yeonnong $\times$ Jaerae" Korean J. Breed. 28(2) : 65-69. 

  8. Lonnquist, J. H. and C. O. Gardner. 1960. Heterosis on Intervarietal Crosses in Maize and Its Implication in Breeding Procedures. Crop Sci. pp. 179-183. 

  9. Maroof, M. A. S., G. P. Yang, and Q. F. Zhang. 1997. Correlation between Molecular Marker Distance and Hybrid Performance in U.S. Southern Long Grain Rice. Crop Science Vol. 37 : 145-150. 

  10. Moll, R. H., W. S. Salhuana, and H. F. Robinson. 1962. Heterosis and Genetic Diversity in Variety Crosses of Maize. Crop Sci. 2 : 197-198. 

  11. Paterniani, E. and J. H. Lonnquist. 1963. Heterosis in Interracial Crosses of Corn. Crop Sci. Vol 3 : 504-507. 

  12. Penny, L. H., W. A. Russell, and G. F. Sprague. 1962. Types of Gene Action in Yield Heterosis in Maize. Crop Sci. Vol 2 : 341-344. 

  13. Robinson, H. F. and C. C. Cockerham. 1961. Heterosis and Inbreeding Depression in Populations Involving Two Open-pollinated Varieties of Maize. Crop Sci. 1 : 68-71. 

  14. Son, B. Y., S. B. Baek, J. T. Kim, J. S. Lee, W. H. Kim, and J. H. Roh. 2014. A New Single Cross Maize Hybrid for silage and Grain 'Cheongdaok' with Lodging Tolerance. Korean J. Breed. Sci. 46(2) : 172-17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