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옥수수 유망자식계통들의 잡종집단에서 주요 농업형질들의 유전분석
Genetic Studies of Major Agronomic Traits in Hybrid Populations of Maize Inbred Line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17 no.3, 2004년, pp.304 - 313  

김남수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명공학부) ,  이주경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명공학부) ,  박종열 (강원대학교 산람과학대학 산림자원학부) ,  박기진 (강원대학교 산람과학대학 산림자원학부) ,  류시환 (강원대학교 산람과학대학 산림자원학부) ,  신지현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명공학부) ,  이명숙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명공학부) ,  민황기 (강원대학교 산람과학대학 산림자원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교잡종 옥수수의 품종개발 및 옥수수의 생산능력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미국에서 도입된 유망자식계통들을 이용한 5개의 교배조합들 그리고 이들의 F$_1$ 및 F$_2$ 세대에서 6개의 농업형 질들에 대한 유전양상을 구명하였다. 공시된 5개의 교배조합들과 조사된 6개의 농업형질들에서의 잡종강세효과는 교배조합 및 농업형질들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교배조합들 중에서는 Mo17/B14A, Va85/B73조합들이 조사된 대부분의 형질들에서 가장 뚜렷한 잡종강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 그리고 조사된 6개의 농업형질들 중에서는 종자생산량이 교배조합들 사이에서 가장 큰 잡종강세 효과를 나타내었다. 조사된 6개의 농업형질들 중에서 종자생산량은 5개의 교배 조합들 중에서 C103/ND203과 FR35/Oh43 조합을 제외한 나머지 조합들에서 자식약세 현상이 다른 형질들보다 가장 크게 나타났고, 그리고 이들 수량관련 형질들은 일부 교배조합들에서의 예외적 경우를 제외하면 모두 정의 방향으로 자식 약세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공시된 5개의 교배조합들 중에서 Mo17/B14A, C103/ND203 조합들은 조사된 6개의 농업형질들 모두에서 50%이상의 비교적 높은 유전성을 나타내었고, 반면에 Va85/B73 조합은 100립 중을 제외한 모든 형질들에서, 그리고 FR35/Oh43 조합은 간장과 착수고를 제외한 모든 형질들에서 50% 이하의 낮은 유전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조사된 6개의 농업형질들 중에서 이삭길이를 제외한 모든 형질들은 5개의 교배조합들 모두에서 평균 유전력이 50% 이상을 나타내었으므로 이러한 형질들은 옥수수의 교잡육종을 위한 중요한 선발형질들임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본 연구에 이용된 5개의 교배 조합들 중에서 대비 조합으로 쓰인 Mo17/B14A(수원19호)조합은 조사된 대부분의 형질들에서 비교적 높은 생육 및 수량특성을 나타내었으므로 옥수수의 계통선발에 의한 품종육성에 유용한 품종 및 자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scientific maize breeding protocol for developing high performing single cross hybrid using introduced U.S. elite inbred lines; the pattern of inheritance, heterosis and heritabilities of six agronomic traits were studied in the progenies derived from five c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것이 무엇보다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의 옥수수 육종방법을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확립하기 위하여 미국에서 도입된 유망 자식 계통들 간에 교잡된 F1 및 F2 집단들에서의 유전적 변이의 측정과 주요 농업형질들에 대한 유전적 특성 을 조사함으로써 옥수수의 생산능력 방법 을 개선하기 위 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i K.J.1993. Variation of characters related to staygreen by cultural condition and their inheritance in Maize(Zea mays L.). Ph. D. Thesis, Seoul National Univ 

  2. Fountain M.D. and Hallauer A.R. 1996. Genetic variation within maize breeding populations. Crop Sci. 36: 26-32 

  3. Gerdes J.J., Behr C.F., Coors J.G. and Tracy W.F. 1993. Compilation of north American maize breeding germplasm. CSSA. Madison, WI, USA 

  4. Jones D.F. 1918. The effects of inbreeding and cross breeding upon development. In Connecticut Agric. Exp. Stn. Bull. ,207. pp. 5-100 

  5. Lee J.K., Min H-K., Park J-Y., Huh N-K., Park K-J., Choi J-K., Park K-C. and Kim N-S. 2002. Molecular genetic distances and hybrid performances among maize inbred and their hybrids. Kor. J. Genet. 24: 281-290 

  6. Shull G.H. 1908. The composition of a field of maize. Am. Breeders' Assoc. Rep. 4: 296-301 

  7. Shull G.H. 1909. A pure-line method in com breeding. Am. Breeders' Assoc. Rep. 5: 51-59 

  8. Shull G.H. 1910. Hybridization methods in corn breeding. Am. Breeders' Mag. 1: 98-107 

  9. Troyer A.F. 1999. Background of U.S. hybrid corn. Crop Sci. 39: 601-626 

  10. Walters S.P., Russel W.A., Lamkey K.R. and White P.R. 1991. Performance and breeding depression between a synthetic and three improved population of maize. Crop Sci. 31: 80-83 

  11. 농림부. 국립농산물 검사소. 1998. 작물통계. p. 96, 67 

  12. 류시환, 박종열, 박기진, 허남기, 민황기. 2001. 검정찰옥수수에서 양친의 유전적 유사성과 조합능력의 상관. 한국육종학회지. 33(2):95-103 

  13. 민황기. 2000. 분자유전학적 유연관계 분석을 이용한 옥수수 교잡종 육성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박종열, 김남수, 최재근, 민황기. 2001. 찰/초당 옥수수 잡종집단의 주요 농업형질 들의 유전분석. 한국육종학회지. 33(2):104-1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