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식품안정성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섭취 실태: 2007~2012년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Flavonoid intake according to food security in Korean adult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2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8 no.6, 2015년, pp.507 - 518  

전신영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보건영양학교실) ,  홍은주 (한양사이버대학교 경제금융학과) ,  정효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보건영양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식품안정성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섭취 실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 4, 5기 (2007~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와 한국인 상용식품의 플라보노이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식품안정성에 따른 총 플라보노이드 및 개별 플라보노이드 섭취량, 식품군 섭취량, 주요 급원 식품군 및 10개 식품을 분석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식생활형편 문항을 이용하여 대상자를 식품안정성 확보군과 미확보군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남녀 모두에서 연령, 조사기수, 가구 소득수준, 교육수준, 월간음주 여부, 식이보충제 복용 여부, 외식 빈도에 따른 두 군의 분포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남녀 모두 총 플라보노이드, 플라보놀, 플라본, 플라바논, 플라바놀, 이소플라본, 프로안토시아니딘 섭취량이 식품안정성 미확보군에서 유의하게 낮았고, 총 섭취 열량을 보정한 후에는 총 플라보노이드, 플라본, 플라바논, 플라바놀 섭취량만 유의하게 낮았다. 총 열량 보정 후, 안토시아니딘과 프로안토시아니딘은 여성에서만 식품안정성 미확보군의 섭취량이 유의하게 낮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섭취량은 식품안정성 수준이 불량할수록 낮아지는 경향도 발견되었다. 식품안정성 미확보군은 식품안정성 확보군보다 채소류, 과일류 등의 섭취량이 유의하게 낮았고, 과일류, 채소류로부터 섭취한 플라보노이드의 양이 유의하게 적었다. 식품안정성 확보군의 주요 급원 식품은 사과 (20.7%), 귤 (12.0%), 두부 (11.5%) 등이며, 식품안정성 미확보군의 주요 급원식품은 사과 (14.9%), 두부 (13.3%), 귤 (12.6%) 등으로, 미확보군의 플라보노이드 섭취에 기여하는 식품 중 두류 및 그 제품의 비율이 비교적 높고, 과일류의 비율이 비교적 낮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식품안정성과 플라보노이드 섭취량에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식품안정성에 따른 식품 섭취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추후 더욱 정확한 식품안정성 조사 자료와 더욱 포괄적인 파이토케미컬 섭취 자료를 이용한 연구가 수행되면 식품안정성에 따른 식사의 질 차이에 대한 이해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food security with the total and individual flavonoid intakes among Korean adults. Methods: Study subjects were 13,454 men and 19,563 women aged 19 years and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2007~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식품안정성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섭취 실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후)대상 성분의">대상성분의 종류가 다를 수 있고, 이로 인해 특징적인 연구결과를 산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국민의 플라보노이드 섭취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상용식품과 플라보노이드 종류를 최대한 많이 포함하는데 초점을 두었고, 최신 자료를 검색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 본 연구에서는 제 4, 5기 (2007~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9세 이상 남녀 성인의 식품안정성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섭취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 4, 5기 (2007~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와 본 연구진이 구축한 한국인 상용식품의 플라보노이드 함량 데이터베이스20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성인의 식품안정성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섭취 실태 및 주요 급원식품을 분석하여, 우리 국민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식생활 정책 및 사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 Percentage of the food group contributing to the total flavonoid intake 3) P-value are for the difference between food secure group and food insecure group, obtained by t-test using surveyreg procedure. 4) Food groups of which the contributions were neglectable are not suggested in the tabl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안정성이란? 식품안정성은 언제든지, 의욕적이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식품을 확보할 수 있는 상태로, 식품의 유용성 (availability), 접근성 (accessibility), 이용성 (utilization), 안정성(stability)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1,2 사회계층 에 따른 건강 수준 차이의 상당 부분이 식생활을 포함한 생 활행태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설명됨에 따라, 3,4 건강한 식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식품 확보 상태를 나타내는 식품 안정성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충분한 채소와 과일의 섭취는 어디에 도움이 되는가? 충분한 채소와 과일의 섭취는 만성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11 이는 채소와 과일을 포함한 식물성 식품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무기질, 그 리고 파이토케미컬의 효과로 추정된다. 12 대표적인 파이 토케미컬의 일종인 플라보노이드는 식물이 생산하는 2차 대사산물 중 benzo-γ-pyrone 구조를 갖고 있는 폴리페놀 화합물로, 상당수의 연구에서 플라보노이드 섭취량이 많은 사람들이 심혈관질환, 당뇨 등의 질병 발생 위험이 낮다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 성인의 식품안정성에 따른 플라보 노이드 섭취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한 데이터베이스는?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식품안정성에 따른 플라보 노이드 섭취 실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 4, 5 기 (2007~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와 한국인 상용식품의 플라보노이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식품안정성에 따른 총 플라보노이드 및 개별 플라보노이드 섭취량, 식품군 섭취량, 주요 급원 식품군 및 10개 식품을 분석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식생활형편 문항을 이용하여 대상자를 식품안정성 확보군과 미확보군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남녀 모두에서 연령, 조사기수, 가구 소득수준, 교육수준, 월간음주 여부, 식이보충제 복용 여부, 외식 빈도에 따른 두 군의 분포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Core indicators of nutritional state for difficult-to-sample populations. J Nutr 1990; 120 Suppl 11: 1559-1600. 

  2.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IT). Rome declaration on World Food Security: World Food Summit, 1996 Nov 13-17, Rome Italy [Internet]. Rom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States; 1996 [cited 2014 Sep 1]. Available from: http://www.fao.org/documents/en/. 

  3. Lee MS. Health inequalities among Korean adults: socioeconomic status and residential area differences. Korean J Sociol 2005; 39(6): 183-209. 

  4. James WP, Nelson M, Ralph A, Leather S.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health. The contribution of nutrition to inequalities in health. BMJ 1997; 314(7093): 1545-1549. 

  5. Tingay RS, Tan CJ, Tan NC, Tang S, Teoh PF, Wong R, Gulliford MC. Food insecurity and low income in an English inner city. J Public Health Med 2003; 25(2): 156-159. 

  6. Leung CW, Epel ES, Ritchie LD, Crawford PB, Laraia BA. Food insecurity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diet quality of lower-income adults. J Acad Nutr Diet 2014; 114(12): 1943-1953.e2. 

  7. Chiuve SE, Fung TT, Rimm EB, Hu FB, McCullough ML, Wang M, Stampfer MJ, Willett WC. Alternative dietary indices both strongly predict risk of chronic disease. J Nutr 2012; 142(6): 1009-1018. 

  8. Laraia BA. Food insecurity and chronic disease. Adv Nutr 2013; 4(2): 203-212. 

  9. Seligman HK, Laraia BA, Kushel MB. Food insecurity is associated with chronic disease among low-income NHANES participants. J Nutr 2010; 140(2): 304-310. 

  10. Vozoris NT, Tarasuk VS. Household food insufficiency is associated with poorer health. J Nutr 2003; 133(1): 120-126. 

  11. Boeing H, Bechthold A, Bub A, Ellinger S, Haller D, Kroke A, Leschik-Bonnet E, Muller MJ, Oberritter H, Schulze M, Stehle P, Watzl B. Critical review: vegetables and fruit in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Eur J Nutr 2012; 51(6): 637-663. 

  12. Chun OK, Kim DO, Smith N, Schroeder D, Han JT, Lee CY. Daily consumption of phenolics and total antioxidant capacity from fruit and vegetables in the American diet. J Sci Food Agric 2005; 85(10): 1715-1724. 

  13. McCullough ML, Peterson JJ, Patel R, Jacques PF, Shah R, Dwyer JT. Flavonoid intake and cardiovascular disease mortality in a prospective cohort of US adults. Am J Clin Nutr 2012; 95(2): 454-464. 

  14. Wedick NM, Pan A, Cassidy A, Rimm EB, Sampson L, Rosner B, Willett W, Hu FB, Sun Q, van Dam RM. Dietary flavonoid intakes and risk of type 2 diabetes in US men and women. Am J Clin Nutr 2012; 95(4): 925-933. 

  15. Hong SA, Kim K, Kim MK. Trends in the inequality of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between education levels indicated by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Eur J Clin Nutr 2012; 66(8): 942-949.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 Nutrition Survey (I)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cited 2014 Sep 1].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 index.do. 

  17. Kleinman RE, Murphy JM, Wieneke KM, Desmond MS, Schiff A, Gapinski JA. Use of a single-question screening tool to detect hunger in families attending a neighborhood health center. Ambul Pediatr 2007; 7(4): 278-284. 

  18. Shim JS, Oh K, Nam CM. Association of household food security with dietary intake: based on the Third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Korean J Nutr 2008; 41(2): 174-183. 

  1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KR). Tables of food functional composition. 1st edition. Suw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2009. 

  20. Jun S, Shin S, Joung H. Estimation of dietary flavonoid intake and major food sources of Korean adults. Br J Nutr. Forthcoming 2015. 

  21. Chun OK, Chung SJ, Song WO. Estimated dietary flavonoid intake and major food sources of U.S. adults. J Nutr 2007; 137(5): 1244-1252. 

  22. Zamora-Ros R, Andres-Lacueva C, Lamuela-Raventos RM, Berenguer T, Jakszyn P, Barricarte A, Ardanaz E, Amiano P, Dorronsoro M, Larranaga N, Martinez C, Sanchez MJ, Navarro C, Chirlaque MD, Tormo MJ, Quiros JR, Gonzalez CA. Estimation of dietary sources and flavonoid intake in a Spanish adult population (EPIC-Spain). J Am Diet Assoc 2010; 110(3): 390-398. 

  23. Zamora-Ros R, Knaze V, Lujan-Barroso L, Romieu I, Scalbert A, Slimani N, Hjartaker A, Engeset D, Skeie G, Overvad K, Bredsdorff L, Tjonneland A, Halkjaer J, Key TJ, Khaw KT, Mulligan AA, Winkvist A, Johansson I, Bueno-de-Mesquita HB, Peeters PH, Wallstrom P, Ericson U, Pala V, de Magistris MS, Polidoro S, Tumino R, Trichopoulou A, Dilis V, Katsoulis M, Huerta JM, Martinez V, Sanchez MJ, Ardanaz E, Amiano P, Teucher B, Grote V, Bendinelli B, Boeing H, Forster J, Touillaud M, Perquier F, Fagherazzi G, Gallo V, Riboli E, Gonzalez CA. Differences in dietary intakes, food sources and determinants of total flavonoids between Mediterranean and non-Mediterranean countries participating in the European Prospective Investigation into Cancer and Nutrition (EPIC) study. Br J Nutr 2013; 109(8): 1498-1507. 

  24. Samieri C, Sun Q, Townsend MK, Rimm EB, Grodstein F. Dietary flavonoid intake at midlife and healthy aging in women. Am J Clin Nutr 2014; 100(6): 1489-1497. 

  25. Yang YK, Kim JY, Kwon O. Development of flavonoid database for commonly consumed foods by Koreans. Korean J Nutr 2012; 45(3): 283-292. 

  26. Lee JY, Paik HY, Joung H. Supplementation of zinc nutrient database and evaluation of zinc intake of Korean adults living in rural area. Korean J Nutr 1998; 31(8): 1324-1337. 

  27. Joung H, Paik HY, Kim CH, Lee JY. Preparation of copper database of Korean foods and copper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adults living in rural area assessed by dietary intake and serum analysis. Korean J Nutr 1999; 32(3): 296-306. 

  28. Kim SA, Shin S, Lee JW, Joung H. Development of a mercury database for food commonly consumed by Koreans. J Nutr Health 2014; 47(5): 364-373. 

  29. Bhagwat S, Haytowitz DB, Holden JM. USDA database for the flavonoid content of selected foods: Release 3.1 [Internet]. Beltsville (MD):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3 [cited 2014 Jul 1]. Available from: http://www.ars.usda.gov/SP2UserFiles/Place/ 80400525/Data/Flav/Flav3-1.pdf. 

  30. Bhagwat S, Haytowitz DB, Holden JM. USDA database for the Isoflavone Content of Selected Foods: Release 2.0 [Internet]. Beltsville (MD):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8 [cited 2014 Jul 1]. Available from: http://www.ars.usda.gov/SP2User-Files/Place/80400525/Data/isoflav/Isoflav_R2.pdf. 

  31.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Beltsville Human Nutrition Research Center, Nutrient Data Laboratory. USDA database for the proanthocyanidin content of selected foods [Internet]. Beltsville (MD):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4 [cited 2015 Jun 1]. Available from: http://www.ars.usda.gov/SP2UserFiles/Place/80400525/Data/PA/ PA.pdf. 

  32. Neveu V, Perez-Jimenez J, Vos F, Crespy V, du Chaffaut L, Mennen L, Knox C, Eisner R, Cruz J, Wishart D, Scalbert A. Phenol- Explorer: an online comprehensive database on polyphenol contents in foods. Database (Oxford) 2010; 2010: bap024. 

  33. Rothwell JA, Urpi-Sarda M, Boto-Ordonez M, Knox C, Llorach R, Eisner R, Cruz J, Neveu V, Wishart D, Manach C, Andres-Lacueva C, Scalbert A. Phenol-Explorer 2.0: a major update of the Phenol-Explorer database integrating data on polyphenol metabolism and pharmacokinetics in humans and experimental animals. Database (Oxford) 2012; 2012: bas031. 

  34. Rothwell JA, Perez-Jimenez J, Neveu V, Medina-Remon A, M'Hiri N, Garcia-Lobato P, Manach C, Knox C, Eisner R, Wishart DS, Scalbert A. Phenol-Explorer 3.0: a major update of the Phenol- Explorer database to incorporate data on the effects of food processing on polyphenol content. Database (Oxford) 2013; 2013: bat070. 

  3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Internet].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cited 2014 Sep 1].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36. Kim HJ, Oh K. Household food insecurity and dietary intake in Korea: results from the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Public Health Nutr. Forthcoming 2015. 

  37. Kim K, Kim MK, Shin YJ, Lee SS. Factors related to household food insecurity in the Republic of Korea. Public Health Nutr 2011; 14(6): 1080-1087. 

  38. Bocquier A, Vieux F, Lioret S, Dubuisson C, Caillavet F, Darmon 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living conditions and diet quality are associated with food insecurity in France. Public Health Nutr 2015; 18(16): 2952-2961. 

  39. Chun OK, Floegel A, Chung SJ, Chung CE, Song WO, Koo SI. Estimation of antioxidant intakes from diet and supplements in U.S. adults. J Nutr 2010; 140(2): 317-324. 

  40. Bai W, Wang C, Ren C. Intakes of total and individual flavonoids by US adults. Int J Food Sci Nutr 2014; 65(1): 9-20. 

  41. Zamora-Ros R, Sacerdote C, Ricceri F, Weiderpass E, Roswall N, Buckland G, St-Jules DE, Overvad K, Kyro C, Fagherazzi G, Kvaskoff M, Severi G, Chang-Claude J, Kaaks R, Nothlings U, Trichopoulou A, Naska A, Trichopoulos D, Palli D, Grioni S, Mattiello A, Tumino R, Gram IT, Engeset D, Huerta JM, Molina-Montes E, Arguelles M, Amiano P, Ardanaz E, Ericson U, Lindkvist B, Nilsson LM, Kiemeney LA, Ros M, Bueno-de-Mesquita HB, Peeters PH, Khaw KT, Wareham NJ, Knaze V, Romieu I, Scalbert A, Brennan P, Wark P, Vineis P, Riboli E, Gonzalez CA. Flavonoid and lignan intake in relation to bladder cancer risk in the European Prospective Investigation into Cancer and Nutrition (EPIC) study. Br J Cancer 2014; 111(9): 1870-1880. 

  42. Han X, Shen T, Lou H. Dietary polyphenols and their biological significance. Int J Mol Sci 2007; 8(9): 950-988. 

  43. Lee MJ, Popkin BM, Kim S. The unique aspects of the nutrition transition in South Korea: the retention of healthful elements in their traditional diet. Public Health Nutr 2002; 5(1A): 197-203. 

  44. Vermeulen E, Zamora-Ros R, Duell EJ, Lujan-Barroso L, Boeing H, Aleksandrova K, Bueno-de-Mesquita HB, Scalbert A, Romieu I, Fedirko V, Touillaud M, Fagherazzi G, Perquier F, Molina-Montes E, Chirlaque MD, Vicente Arguelles M, Amiano P, Barricarte A, Pala V, Mattiello A, Saieva C, Tumino R, Ricceri F, Trichopoulou A, Vasilopoulou E, Ziara G, Crowe FL, Khaw KT, Wareham NJ, Lukanova A, Grote VA, Tjonneland A, Halkjær J, Bredsdorff L, Overvad K, Siersema PD, Peeters PH, May AM, Weiderpass E, Skeie G, Hjartaker A, Landberg R, Johansson I, Sonestedt E, Ericson U, Riboli E, Gonzalez CA. Dietary flavonoid intake and esophageal cancer risk in the European prospective investigation into cancer and nutrition cohort. Am J Epidemiol 2013; 178(4): 570-581. 

  45. Kim YJ, Park MY, Chang N, Kwon O. Intake and major sources of dietary flavonoid in Korean adults: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Asia Pac J Clin Nutr 2015; 24(3): 456-463. 

  46. Hanson KL, Connor LM. Food insecurity and dietary quality in US adults and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Am J Clin Nutr 2014; 100(2): 684-692. 

  47. Drewnowski A, Darmon N. Food choices and diet costs: an economic analysis. J Nutr 2005; 135(4): 900-904. 

  48. Kim K, Hong SA, Kwon SO, Choi BY, Kim GY, Oh SY. Validation of food security measures for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6): 771-781. 

  49. Kwon O, Yang YK, inventors. Flavonoid database for estimation of flavonoid intak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orea Patent, 10-1294316; 2013 Aug 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