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에볼라 바이러스 진단법과 개발 동향에 관한 고찰 연구
Study on Laboratory Diagnosis of the Ebola Virus and Its Current Trend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47 no.3, 2015년, pp.105 - 111  

정혜선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강윤정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3년 12월 말, 에볼라 바이러스는 서아프리카에서 발발했다. 기니를 시작으로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으로 빠르게 퍼지게 되었다. 에볼라 바이러스(자이르형 에볼라 바이러스)는 외피, 비분절, 음성단일가닥 RNA바이러스이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인수공통 전염병이다. 바이러스는 처음 감염된 야생동물과 접촉 한 후, 혈액, 땀, 소변, 정액, 모유 등의 체액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사람 대 사람으로 전염된다. 그러나 공기로 전염되지는 않는다. 잠복기는 2~21일이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내피세포, 단핵 식세포, 간세포를 감염시킨다. 감염 후 바이러스가 숙주의 면역 시스템을 회피하기 위해 여러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이것은 혈관, 간 등의 내부 조직 및 기관에 막대한 피해를 주어 죽음에 이르게 한다. RNA 바이러스에 대한 대부분의 실험은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라 기술에 의존한다. 이 방법은 매우 민감하지만 숙련된 과학자, 전원 공급 장치 요구하며 비싸다. 스트립 분석기법(효소면역분석법, ELISA)은 에볼라 바이러스 항원 또는 항체를 검출한다. 이 기법은 저렴하며, 전기, 냉장 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실험적인 치료 및 백신 개발에 관한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에볼라 바이러스 질환은 현재 치료법에 제한이 있다. 그러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이 환자관리, 감염예방, 관리대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late December 2013, the Ebola virus emerged from West Africa. The outbreak started in Guinea and rapidly spread to Liberia and Sierra Leone. Initially, the virus is spread to the human population after contact with infected wildlife and then spread person-to-person through direct contact with b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런 이유 때문에 조기 진단하여 부족한 체액을 보충하고, 손실된 혈액을 대체하여 혈압을 유지하는 보조적인 치료를 받는 것만이 생존 확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에볼라 바이러스의 분자적 특징, 아형의 종류 및 진단법의 종류와 치료법의 최신 연구 동향에 대해 자세히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볼라 바이러스의 전염 경로는? 체액 손실로 인한 저혈압으로 치사율은 25∼90%에 이른다(Organization, 2014). 에볼라 바이러스는 땀과 침, 혈액, 림프액, 분비물, 정액, 모유 등 체액의 직접접촉을 통해 전염된다(Bausch 등, 2007). 일반적으로 공기전염으로는 확산되지는 않는다(Francesconi 등, 2003).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 증상은? 감염자의 분비물을 통한 바이러스 감염의 확산으로 의료 관련 종사자들의 2차 감염이 미국과 스페인에서 보고되었다(Organization, 2015). 심각한 출혈열(severe hemorrhagic fever)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증상은 일반적으로 발열, 목의 통증, 근육통, 두통, 간과 신장의 기능저하와 함께 구토, 설사, 발진 등을 나타나며, 장기 내부와 외부에서 출혈 증세를 나타내기도 한다. 체액 손실로 인한 저혈압으로 치사율은 25∼90%에 이른다(Organization, 2014).
에볼라 바이러스의 종류는? 에볼라 바이러스는 유전체 염기서열의 계통분류학적 유사성에 따라 5가지 아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자이르형 에볼라(Zaire ebolavirus, EBOV-Z), 수단형 에볼라(Sudan ebolavirus, EBOV-S), 레스턴형 에볼라(Reston ebolavirus, EBOV-R), 코트디브아르형 에볼라(Tai Forest ebolavirus, 이전 Côte d’Ivoire ebolavirus, EBOV-TF) 그리고 분디부교형 에볼라(Bundibugyo ebolavirus, EBOV-B)가 있다(Feldmann & Geisbert, 2011). 레스턴형은 1989년 미국 버지니아의 레스턴(Reston)에 수입된 필리핀 원숭이(Macaca fascicularis)의 검역과정에서 직원이 감염되었다(Jahrling 등, 199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rrette RW, SA Metwally, JM Rowland, L Xu, SR Zaki, ST Nichol, P, et al. Discovery of swine as a host for the Reston ebolavirus. Science. 2009, 325(5937): 204-206. 

  2. Bausch DG, JS Towner, SF Dowell, F Kaducu, M. Lukwiya, A Sanchez, et al.. Assessment of the risk of Ebola virus transmission from bodily fluids and fomites.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2007, 196(Supplement 2): S142-S147. 

  3. Bwaka MA, M.J Bonnet, P Calain, R Colebunders, A De Roo, Y Guimard, et al. Ebola hemorrhagic fever in Kikwit,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clinical observations in 103 patients.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1999, 179(Supplement 1): S1-S7. 

  4. Dixon MG, IJ Schafer. Ebola viral disease outbreak-West Africa, 2014. MMWR Morb Mortal Wkly Rep 2014, 63(25):548-551. 

  5. Feldmann H, TW Geisbert. Ebola haemorrhagic fever. The Lancet. 2001, 377(9768): 849-862. 

  6. Feldmann H, HD Klenk. Marburg and Ebola viruses. Advances in Virus Research. 1996, 47: 1-52. 

  7. Formenty P, C Hatz, B Le Guenno, A Stoll, P Rogenmoser, A Widmer. Human infection due to Ebola virus, subtype Cote d'Ivoire: clinical and biologic presentation.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1999, 179(Supplement 1): S48-S53. 

  8. Francesconi P, Z Yoti, S Declich, PA Onek, M Fabiani, J Olango, et al. Ebola hemorrhagic fever transmission and risk factors of contacts, Uganda.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2003, 9(11):1430. 

  9. Geisbert TW, ACH Lee, M. Robbins, JB Geisbert, AN Honko, V Sood, et al.. Postexposure protection of non-human primates against a lethal Ebola virus challenge with RNA interference: a proof-of-concept study. The Lancet. 2010, 375(9729): 1896-1905. 

  10. Grolla A, A Lucht, D Dick, JE Stron, H Feldmann. Laboratory diagnosis of Ebola and Marburg hemorrhagic fever. Bull Soc Pathol Exot. 2005, 98(3): 205. 

  11. J Alimonti, A Leung, S Jones, J Gren, X Qiu, L Fernando, et al. Evaluation of transmission risks associated with in vivo replication of several high containment pathogens in a biosafety level 4 laboratory. Scientific Reports 4. 2014, doi:10.1038/srep05824. 

  12. Jahrling PB, TW Geisbert, ED Johnson, CJ Peters, D Dalgard, W. Hall. Preliminary report: isolation of Ebola virus from monkeys imported to USA. The Lancet. 1990, 335(8688): 502-505. 

  13. Kanapathipillai R, AM Henao Restrepo, P Fast, D Wood, C Dye, M.P Kieny, et al. Ebola vaccine-an urgent international priority.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14, 371(24): 2249-2251. 

  14. Kilgore PE, JD Grabenstein, AM Salim, M. Rybak. Treatment of ebola virus disease. Pharmacotherapy: The Journal of Human Pharmacology and Drug Therapy. 2015, 35(1): 43-53. 

  15. Kortepeter MG, DG Bausch, M Bray. "Basic clinical and laboratory features of filoviral hemorrhagic fever."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2011, 204(suppl 3): S810-S816. 

  16. Leroy EM, S Baize, CY Lu, J McCormick, A Georges, M Georges-Courbot, et al. Diagnosis of Ebola haemorrhagic fever by RTPCR in an epidemic setting. Journal of Medical Virology. 2000, 60(4): 463-467. 

  17. Martin P. KB Laupland, EH Frost, L. Valiquette. Laboratory diagnosis of Ebola virus disease. Intensive Care Medicine. 2015, 1-4. 

  18. Oestereich L, A Ludtke, S Wurr, T Rieger, C Munoz-Fontela, S. Gunther. Successful treatment of advanced Ebola virus infection with T-705 (favipiravir) in a small animal model. Antiviral Research. 2014, 105: 17-21. 

  19. World Health Organization. Viral haemorrhagic fever in imported monkeys. Wkly Epidemiol Rec.1992, 67(142): 20849-26003. 

  20. World Health Organization. Ebola virus disease. Fact sheet No. 103, updated September 2014. 

  21. World Health Organization. Ebola situation report. WHO Geneva, MAY. 2015. 

  22. Qiu X, G Wong, J Audet, A Bello, L Fernando, JB Alimonti, et al. Reversion of advanced Ebola virus disease in nonhuman primates with ZMapp. Nature. 2014, doi:10.1038/nature13777. 

  23. Saez AM, S Weiss, K Nowak, V Lapeyre, F Zimmermann, A Dux, et al.. Investigating the zoonotic origin of the West African Ebola epidemic. EMBO Molecular Medicine. 2015, 7(1): 17-23. 

  24. Schieffelin JS, JG Shaffer, A Goba, M Gbakie, SK Gire, A Colubri, et al. Clinical illness and outcomes in patients with Ebola in Sierra Leon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14, 371(22):2092-2100. 

  25. Smither SJ, LS Eastaugh, JA Steward, M Nelson, RP Lenk, M. S. Lever. Post-exposure efficacy of oral T-705 (Favipiravir) against inhalational Ebola virus infection in a mouse model. Antiviral Research. 2014, 104: 153-155. 

  26. Towner JS, TK Sealy, ML Khristova, CG. Albarino, S Conlan, SA Reeder, et al. Newly discovered ebola virus associated with hemorrhagic fever outbreak in Uganda. PLoS Pathogens. 2008, 4(11): e1000212. 

  27. Volchkov VE, H Feldmann, VA Volchkova, HD Klenk. Processing of the Ebola virus glycoprotein by the proprotein convertase furi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998, 95(10): 5762-5767. 

  28. Volchkov VE, VA Volchkova, E Muhlberger, LV Kolesnikova, M Weik, O Dolnik et al. Recovery of infectious Ebola virus from complementary DNA: RNA editing of the GP gene and viral cytotoxicity. Science. 2001, 291(5510): 1965-1969. 

  29. West TE, A von Saint Andre-von Arnim. Clinical Presentation and Management of Severe Ebola Virus Disease. Annals of the American Thoracic Society. 2014, 11(9): 1341-1350. 

  30. Zaki SR, WJ Shieh, PW Greer, CS Goldsmith, T Ferebee, J Katshitshi, et al.. A novel immunohistochemical assay for the detection of Ebola virus in skin: implications for diagnosis, spread, and surveillance of Ebola hemorrhagic fever.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1999, 179(Supplement 1): S36-S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