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자기통제력 및 사회적 지지가 휴대전화 의존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Self Control and Social Support on the Mobile Phone Depend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4 no.6, 2015년, pp.769 - 781  

박정아 (신한대학교 생활문화대학원) ,  정지나 (신한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 control and social support on the mobile phone depend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392 children(187 boys, 205 girls) in 5, 6th grade from two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The mobile phone dependence was asse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청소년 미디어 중독 전문기관인 스스로넷 미디어 중독 예방센터가 조사한 연구에서 초등학생의 휴대전화 중독은 중·고등학생들과는 달리 심각하게 보고되지 않았으며(Maeil Business News, 2009. 3. 3), 초등학생 시기는 앞으로의 발달과정을 통해 변화된 양상을 나타낼 수 있는 가변성이 크기에, 본 연구에서는 ‘휴대전화 중독’을 대신하여 ‘휴대전화 의존성’이란 용어를 사용하여 초등학생이 휴대전화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정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기통제력 및 사회적 지지가 휴대전화 의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이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휴대전화 의존성의 연구에서 벗어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의존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내적·외적 요인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초등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이상의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아동의 자기통제력과 사회적 지지가 휴대전화 의존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휴대전화 의존성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본 연구는 아동의 휴대전화 의존성에 대한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할 것이며, 휴대전화에 의존하는 아동을 조기에 발견하고 이들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 집단을 휴대전화 의존성의 수준에 근거하여 구분하지 않고 아동의 휴대전화 의존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외적 요인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아동의 휴대전화 의존성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 또한 지금까지 휴대전화 의존성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면, 휴대전화 의존성과 관련된 요인들을 성별에 따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즉, 어떤 연구들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휴대전화를 중독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Jang, 2002; Kim, 2003;Yang, 2002)고 보고하는 한편, 다른 연구들에서는 휴대 전화 의존성에 있어서 성차가 나타나지 않는다(Choi, 2010; Kim, 2008)고 보고하는 등 일관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나고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휴대전화 의존성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경험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휴대전화 의존성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연구대상을 중독군, 의존군, 비중독군으로 나누거나 중독점수를 상, 하로 나누어 그 결과를 해석하는 것이 대부분인데(Gwag, 2004; Kim, 2003; Lee & Hwang, 2009), 이러한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을지라도 집단 간 상대비교만 가능할 뿐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보편적인 학생들에 대한 해석이 제한적이라는 지적이 있다(Jang & Cho, 2010).
  • 그러나 휴대전화 의존성과 관련하여 사회적 지지를 함께 살펴본 연구는 매우 드물며 특히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를 살펴본 연구들이 미비하여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휴대 전화 의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원을 이 시기에 가장 중요한 타인들인 가족, 친구, 교사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초등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성에 어떠한 사회적 지지원이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상의 연구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휴대전화 의존성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아동의 휴대전화 의존성, 자기통제력 및 사회적 지지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아동의 자기통제력 및 사회적 지지가 휴대 전화 의존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휴대전화의 장점은? 휴대전화가 급속도로 보급되는 원인은 기존의 유선전화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휴대전화만이 가진 휴대성과 이동성이라는 장점 때문이다. 즉 언제 어디서나 대화나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고,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사람들과 관계의 폭이 넓어지며, 편리하게 정보를 접할 수 있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오늘날의 휴대전화는 통신 수단 뿐만 아니라 인터넷 게임, 정보검색, 음악 감상, 사진 및 동영상 촬영, 위치추적, 신용카드, 교통정보 등 그 이용의 폭이 넓어지면서 멀티미디어의 역할까지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대중적인 매체로 자리잡아가고 있다(Lee, 2011).
휴대전화 중독이란? 휴대전화 중독이란 개념은 1990년대와 2000년대 초에 들어서면서 휴대전화 사용이 급증하고 그에 따른 역기능이 발생함에 따라 생긴 개념으로 휴대전화의 몰입 정도가 과도한 수준에 이르러 심각한 신체적, 심리적 부적응을 초래하는 병리학적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중독이란 약물이나 화학물질이 아니라 과도한 특정 행위에 대한 집착이나 이 행위를 하고자 하는 충동조절의 문제에 의해서 발생됨(Park, 2003)을 의미한다.
휴대전화가 급속도로 보급되는 원인은? 현대사회의 대표적 통신 매체 중 하나인 휴대전화는 정보통신 및 과학기술의 발전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매년 급속도로 높은 보급률을 보이고 있다. 휴대전화가 급속도로 보급되는 원인은 기존의 유선전화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휴대전화만이 가진 휴대성과 이동성이라는 장점 때문이다. 즉 언제 어디서나 대화나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고,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사람들과 관계의 폭이 넓어지며, 편리하게 정보를 접할 수 있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CBS 노컷뉴스(2008. 10. 8). 휴대전화 사용 어린이 집중력저하, 피로 등 호소. (http://www.nocutnews.co.kr)에서 인출. 

  2. 매일경제(2013. 5. 17). 10대 후반 보행 중 교통사고 심각, 범임은 '휴대전화'. http://news.mk.co.kr에서 인출. 

  3. 아시아경제(2009. 7. 2). 휴대전화 이용자 10명 중 3명은 '중독'.http://www.asiae.co.kr에서 인출 

  4. 여성가족부플러그(2013. 7. 3).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전수진단 결과 및 사후조치계획 발표. (http://blog.daum.net/moge-family에서 인출) 

  5. 연합뉴스(2013. 7. 28). 초, 중, 고 스마트폰 보유현황. http://www.yonhapnews에서 인출. 

  6. 한국정보화진흥원(2013). 2013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7. Baek, J. E. (2009). A stud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net game addiction and related variables.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2(2), 111-127. 

  8. Choi, O. Y. (2010). The relationship with mobile phone addiction, self-control and scholastic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 Unpublished master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9. Cohen, P., Cohen, J., Stephen, G. W., & Aiken, L. S. (2002). Applied multiple regression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3rd ed). Hillsdale, NJ: Erlbaum. 

  10. Dubow, E. F., & Ulman, D. G. (1989). Assessing social suppor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rvey of children's social suppor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 52-64. 

  11. Gottfredson, M. R.,& Hirschi, T. (1990). A general theory of crime.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12. Gwag, M. J. (2004). The characteristics of trend and addictive inclination in mobile phone use among adolescents. Jouranl of Human Ecology, 13(1), 183-205. 

  13. Han, M. H. (1996). A study on stress, perceived social supports, and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4. Han, J. L., & Hur, G. H. (2004).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mobile phone addiction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8(6), 138-165. 

  15. Hwang, S. I. (2013). Study on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adolescent smart phone addiction. Unpublished master thesis, Chosun University, Korea. 

  16. Jang, S. H., & Cho, K. D. (2010). Effects of Depression Scale, Interaction Anxiety and School Adjustment on Cellular Phone Addiction of Teenager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11), 285-293. 

  17. Jang, S. H. (2011). The Explanatory of Personal, Family, School Variables on Cellular Phone Addiction by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1(1), 291-310. 

  18. Jeon, E. J. (2006). Effects of self-esteem and family cohesion on the addiction to mobile phones by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 thesis, Hanseo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19. Jeong, S. J. (2010). An effect of parents-child open communication pattern on the cell phone addiction of elementary students -Focusing on self control,mediation effects of peer support-. Unpublished master thesis, Incheon University, Korea. 

  20. Jang, H. J. (2002).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ddictive using cellular phone. Unpublished master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Korea. 

  21. Ko, S. J.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obile phone dependence diagnostic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5(2), 43-68. 

  22. Kim, S. Y. (2008).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obile phone addiction, impulsivity, self-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Korea. 

  23. Kim, J. S. (2003). Self-esteem, depression, and impulsivity of adolescent s with the overuse of mobile phone. Unpublished master thesis, Dankoo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24. Kim, H. S. (1998). Model development of affecting factors on health behavior and juvenile delinquency of adolesc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5. Ko, C. S. (2012). The effects of addictive cell-phone use of adolescence on mental health. Forum For Youth Culture, 30, 8-36. 

  26. Kwon, J. H. (2005). Relations of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o Internet Game Addiction: Testing the Mediation Model of Interpersonal Skil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27. Lee, K. N. (2003). The effects of children's perception of communications with mothers and self-control on game-addic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1(1), 77-91. 

  28. Lee, K. S., & Lee, J. H. (2008). Children's cellular phone usage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usage and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7(2), 271-278. 

  29. Lee, J. Y. (2011). Development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reduce cellularphone addiction tend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higher grade.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30. Lee, J. K., & Hwang, S. J. (2009). A Study on Teenagers' Mobile Phone Use Motives and Addiction: Focusing o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3(5), 296-335. 

  31. Lee, J. Y. (2006). An Exploration of Socio-environmental and Individual-psychological Variables affecting the Adolescent's Cellular Phone Addiction.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32. Lee, H. S. (2007). Relationship among the Overuse of Cellular Phones, Attachment and Behavioral Problems in Middle Schoolers.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Korea. 

  33. Lee, B. S. (2008). A Study on Self Concept, Self Control and Cellular Phone Addi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Sangmyung University, Korea. 

  34. Lim, K, M. (2013).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control on behavioral problems from mobile phone usage and addiction: A study of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Korea. 

  35.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12). 2011 Study of media use among children and youth.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36. Na, E. Y. (200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al mdeia attributes affecting mobile phone adoption.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5(4), 189-228. 

  37. Nam, H. M. (1999).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 self-control and friends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problem behaviors.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38. Yang, S. Y. (2002). A study on mobile phone addiction of high school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Kore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