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상 구명정의 단열성능평가 및 저체온증 예측 수치해석 연구
Evaluation of Thermal Insulation and Hypothermia for Development of Life Raft 원문보기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39 no.6, 2015년, pp.485 - 491  

황세윤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산업과학기술연구소) ,  장호상 (인하대학교 대학원) ,  김경우 (선박안전기술공단) ,  이장현 (인하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구명정의 열전달 특성 및 해상상태에 따른 조난자의 저체온증 발생 가능성에 대한 기술적 검토는 선박의 좌초 및 침몰 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해상용 구명정(또는 구명벌)의 설계에 필요한 열전달 특성 및 단열 성능을 분석 및 평가방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또한, 해상 저체온증 발생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써 Thermal manikin과 인체를 대상으로 체온 저하의 예측을 판단하기 위한 단열성능 실험 및 인체 온도 특성 해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열전달 해석은 구명 뗏목의 열전도 특성, 해수의 대류 효과 및 단열 재료의 특성에 따른 성능 변화를 파악하도록 유한요소해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인체 시험에서 입수 시 신체 온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각 부위에 열전대를 부착한 상태로 구명정에 탑승하여 온도 변화 및 열유속 변화를 계측하였다. 실험으로부터 계측한 체온 변화와 유한요소해석 모델의 체온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결과의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저체온증 발생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echnology review about risk of hypothermia of victim according to heat transfer characteristic of life raft and sea state can use accident correspondence of standing and sinking of ship. This study studied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the design of life raft and thermal insul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신체 내부의 발열 조건, 복사 열전달, 호흡에 의한 열전달, 혈관 분포, 피부 및 근육, 신체 구조의 복잡성뿐만 아니라, Pennes bioheat 방정식의 비선형성에 의한 이유로 분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체온증 예측을 위해서 단순화된 인체 부분 모델을 제시하고 그 결과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구명정을 개발하기 위해서 단열성능평가 및 열전달 해석방법을 제시하고 그 결과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단열성능 평가는 열저항을 이용한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 , 2014). 본 논문에서는 앞서 언급한 선행연구의 성과를 설계에 반영하여 개발된 새로운 구명정 단열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열저항 평가 대상은 구명정이 해상상태에서 해수와 접하는 바닥면에서 대류가 가장 활발하다고 가정하고 바닥면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각 제품의 바닥면 재료는 실제로 각 제품별 열전도 계수 값의 차이는 있으나, 그 차이가 적다고 가정하고, Rubber와 Techlon로서 동일한 재료를 사용한다고 가정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단열층이 포함되지 않은 EV 제품에서 열저항값이 가장 낮게 계산되었으며 단열층이 두께 열저항값이 비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 해석 모델을 단순화하기 위해서 인체는 q′′′b가 발생하지 않는 전도체라고 가정하고 해석하였다.
  • 구명정의 바닥의 열 저항(보온) 특성을 각기 다른 재료에 대해서 비교하면 아래의 Table 1와 같이 계산되며, 열저항 값은 단열층의 개수 및 재료에 크게 의존함을 알 수 있다. 열저항 평가 대상은 구명정이 해상상태에서 해수와 접하는 바닥면에서 대류가 가장 활발하다고 가정하고 바닥면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각 제품의 바닥면 재료는 실제로 각 제품별 열전도 계수 값의 차이는 있으나, 그 차이가 적다고 가정하고, Rubber와 Techlon로서 동일한 재료를 사용한다고 가정하여 평가하였다.
  • 유한요소해석 모델은 인체를 전도체로 가정하여 식 (4) 에서와 같이 Pennes(1948)가 제시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는 호흡에 의한 체온 저감 및 복사 열전달에 의한 체온 저하는 상대적으로 적다는 가정을 두고, 주로 피부 조직의 체온을 예측하기 위하여 Bioheat 방정식을 제안하였다. Bioheat 방정식은 인체의 신진대사 효과와 혈관대류 효과를 고려한 체내 열전달 현상을 대표하는 식으로 주로 피부 및 근육 조직의 온도 계산에 사용되고 있으며 내부 열 생성을 가진 열확산 방정식으로 표현된다.
  • 인체모델의 열전달 경계조건은 피부에서 대류가 발생한다고 가정하고 대류조건으로 반영하였다. 대류조건을 반영하기 위한 대류계수는 Thermal manikin 실험에서 계측된 실내온도를 기준으로 식 (7)의해 계산하고, Ts는 Thermal manikin의 표면온도 35℃를 적용하고, T는 인체실험에서 계측된 실내 온도 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박의 해양사고 시 익수자의 저체온증에 의한 사망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선박의 좌초, 충돌 등 사고의 증가로 조난자가 발생할 경우 조난자의 체온과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구명정 및 구명 뗏목 (보트) 등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 기술적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선박의 해양사고 시 익수자의 저체온증에 의한 사망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구명정의 단열 성능 분석 및 저체온증 가능성 및 익수자의 체온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구명정의 단열 성능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제시한국제표준 또는 선급 규정 항목은 명확하지 않으나, Mak et al.
저체온증 해석에 있어 Pennes bioheat 방정식을 기반으로 유한요소법의 단점은 무엇인가? 저체온증 예측을 위한 실험은 인체를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실험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유한요소해석 방법을 이용하여 저체온증 예측을 수행하였다. 저체온증 해석은 주로 Pennes bioheat 방정식을 기반으로 유한요소법 또는 유한차분법을 이용하여 직접 해석하고 있으나, 체온 변화의 정확성은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다. 이는 신체 내부의 발열 조건, 복사 열전달, 호흡에 의한 열전달, 혈관 분포, 피부 및 근육, 신체 구조의 복잡성뿐만 아니라, Pennes bioheat 방정식의 비선형성에 의한 이유로 분석된다.
저체온증 해석에 있어 Pennes bioheat 방정식을 기반으로 유한요소법에서 체온 변화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저체온증 해석은 주로 Pennes bioheat 방정식을 기반으로 유한요소법 또는 유한차분법을 이용하여 직접 해석하고 있으나, 체온 변화의 정확성은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다. 이는 신체 내부의 발열 조건, 복사 열전달, 호흡에 의한 열전달, 혈관 분포, 피부 및 근육, 신체 구조의 복잡성뿐만 아니라, Pennes bioheat 방정식의 비선형성에 의한 이유로 분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체온증 예측을 위해서 단순화된 인체 부분 모델을 제시하고 그 결과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Ferreira, M. S. and Yanagihara, J. I.(2009). "A transient three-dimensional heat transfer model of the human body", International Communications in heat and mass transfer, Vol. 36, pp. 718-724. 

  2. Hwang, S. Y., Kim, K. W., and Lee, J. H.(2014), "Evaluation of Thermal Insulation of life raft and Initial Experiments on the Hypothermia", KSOE Annual Fall Conferences. 

  3. Jang, H. S., Hwang, S. Y., Kim, K. W. and Lee, J. H.(2015), "Evaluation of Thermal Insulation and Hypothermia for Development of Life Raft", KSOE Annual Spring Conferences. 

  4. Kim, S. C., Lee, K. H., Hwang, S. Y., Lee, J. S. and Lee, J. H.(2015), "Thermal Insulation Effect of Inflatable Life Vest on the Drowned Individual estimated by Numerical Analysis",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ol. 39, No. 4, pp. 285-291. 

  5. Mak, L. et al.(2008). "Assessment of Thermal Protection of Life rafts in Passenger Vessel Abandonment Situations", Proceedings of ASME 2008 2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Offshore Mechanics and Arctic Engineering,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pp. 389-398. 

  6. Pennes, H. H.(1948), "Analysis of tissue and arterial blood temperatures in resting human forearm",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Vol. 1, pp. 93-122. 

  7. Tikuisis, P., Jacobs, I., Moroz, D., Vallerand, A. L. and Martineau, L.(2000). "Comparison of thermoregulatory responses between men and women immersed in cold water",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Vol. 89, No. 4, pp. 1403-1411. 

  8. Xu, X., Tikuisis, P., Gonzalez, R. and Giesbrecht, G. (2005), "Thermoregulatory model for prediction of long-term cold exposure", Computers in Biology and Medicine, Vol. 35, No. 4, pp. 287-298. 

  9. Xu, X., Turner, C. A. and Santee, W. R.(2011). "Survival time prediction in marine environments", Journal of Thermal Biology, Vol. 36, No. 6, pp. 340-3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