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 산림경관복원 적용을 위한 한반도 생태지역 특성
Ecoreg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 for Application on Forest Landscape Restoration in North Korea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8 no.6, 2015년, pp.61 - 71  

유재심 (국립산림과학원 국제산림연구과) ,  김경민 (국립산림과학원 국제산림연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construct an ecoregion map and to extract ecological factors from each ecoregion to adapt FLR (Forest Landscape Restoration) of North Korea. An ecological map was constructed by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MGC(Multivatiate Geographical Clustering). An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북한에 FLR 방법론을 적용하기 위해 한반도 생태지역을 분류하고 각 생태지역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산림 및 환경 분야」 남·북 교류나 개발․협력에 대비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다변량 주성분 분석을 통해 남·북 생태계 차이를 논의한 선행 연구(Yu and Kim, 2015)를 바탕으로 군집을 분류하고 각 지역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경관복원이란? FLR은 경관생태학과 생태복원의 개념을 융합하여 산지에 단순히 ‘나무심기’ 하는 것을 뛰어 넘어 사회․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제안된 방법론이다(Dudley et al., 2005).
자연환경 계획이나 관리를 위한 공간단위로 생태지역을 구분하여 사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이유는? 세계적으로 자연환경 계획이나 관리를 위한 공간단위로 생태지역을 구분하여 사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그것은 생태지역의 정의가 지역의 환경자산(Environmental asset)을 대변하고 경관구조(Landscape structure)를 내포하기 때문이다. 경관구조는 지상의 공간 패턴과 생태적 기능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자연 공간 위계로(Forman and Fodron, 1986), 산림경관복원 (Forest Landscape Restoration; 이하 FLR)에서는 생태경관을 기반으로 복원계획을 한다.
생태권역 연구에 대한 북한의 사례는? 정량적 연구는 환경공간변수를 이용한 생태지역 분류(Kim, 2004)와 남한의 생태권역 연구(Shin and Kim)가 있지만 공간 요소를 복원계획에 반영한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반면, 북한은 2012년 3월 산림 및 경관복원에 관한 평양 국제 세미나 에서 북한 전역을 9개의 생태지역, 49개의 생태지구, 441개의 생태구역으로 세분하고, 산림의 황폐화를 3단계로 평가하여 복원계획에 반영한다고 발표하였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ndrew, M. E. ? T. A. Nelson ? M. A. Wulder ? G. W. Hobart ? N. C. Coops and C. J. Q. Farmer. 2013. Ecosystem classifications based on summer and winter conditions, Environmental Monitoring Assessment, 185: 3057-3079. 

  2. Auh TS and Choi HC. 2003. Quantitative Analysis of Social Sciences Data, NANAM Publishing house, Seoul. Korea 

  3. Bailey, R. G. 2005. Identifying Ecoregion Boundaries, Environmental Management 34(1): s14-s26. 

  4. Chen, L. ? J. Wang ? W. Wei ? B. Fu and D. Wu. 2010. Effects of landscape restoration on soil water storage and water use in the Loess Platue Region, Chin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9: 1291-1298. 

  5. Coops, N. C. ? M. A. Wulder ? D. C. Duro ? T. Han and S. Berry. 2008. The development of a Canadian dynamic habitat index using multi-temporal satellite estimates of canopy light absorbance. Ecological Indicators, 8(5); 754-766. 

  6. Dudley, N. ? J. Morrison. ? J. Aronson and S. Mansourian. 2005. Why do We Need to consider Restoration in a Landscape Context? in Forest Restoration in Landscape: Beyond Planting Trees, Springer, London. 

  7. Duro, D. C. ? N. C. Coops ? M. A. Wulder and T. Han. 2007. Development of a large area biodiversity monitoring system driven by remote sensing in Physical Geography, 31: 1-26. 

  8. Fitterer, J. L. ? T. A. Nelson ? N. C. Coops and M. A. Wulder. 2012. Modelling the ecosystem indicators of British Columbia using Earth observation data and terrain indices, Ecological Indicators, 20: 151-162. 

  9. Field, A. 2009. discovering Statistics using SPSS. Sage, London. 

  10. Forman, R. T. T. and M. Gordron. 1986. Landscape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1. Good, R. 1947. The Geography of Flowering Plants, Longman Green. 

  12. Hagrove W. W. and F. M. Hoffman. 2005. Potential of Multivariate Quantitiative Methods for Delineation and Visualization of Ecoregions, Environmental Management 34(5): 1-21. 

  13. IUCN, 2005. Restoring Forest Landscapes: An introduction to the art and science of forest landscape restoration. Technical Series 23. 

  14. Kim, Y. M. 1990. Climatic classification of Korea by factor analysis, Geography 25(1): 49-56. 

  15. Kim, W. J. 2004. Ecoregion classification in Korea based on analysis of geospatial variables, Doctoral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6. Kong, W. S. 1989. The biogeographic divisions of Korea and their species composition, Geography 40: 43-54. 

  17. Kumar, L. ? A. O. Skidmore. ? K. B. Moodie and E. Knowles. 1997. Modeling topographic variation in solar radiation in a GIS environment. Int.J. Geogr. Inform. Sci. 11: 475-497. 

  18. Kumar, J. ? R. T. Mills. ? F. M. Hoffman and W. W. Hargrove. 2011. Parallel k-means clustering for quantitative ecoregion delineation using large data sets, Procedia Computer Science, 4: 1602-1611. 

  19. Loveland, T. R. and J. M. Merchant. 2004. Ecoregions and ecoregionalization: geographical and ecological perspectives, Environmental Management, 34(1): 1-13. 

  20. Nakai, T. 1935. Notulae ad plantas Japoniae XXVI in Bot. Mag. Tokyo 36; 20-26. 

  21. Newton, A. C. ? R, F/ Castillo. C. Echeverria. ? D. Geneletti. ? Gonzalez-Espinosa. ? L. A. Malizia. A. C. Premoli. ? J. M. Rey Benayas. ? C. Smith-Ramirez and G. Williams-Linera. 2012. Forest Landscape Restoration in the Drylands of Latin America. Ecology and society 17(1): 21 

  22. Poulos, E. M. and A. Camp. 2010. Topographic influences on vegetation mosaics and tree diversity in the Chihuahuan Desert Borderlands. Ecology, 91(4): 1140-1151. 

  23. Shin, J. H. and C. M. Kim. 1996. Ecosystem classification in Korea(I): Ecoprovince Classification. FRI. Journal of Forest Science (54): 188-199. 

  24. Song, W. K. 2014. Suggestion of the relative elevation analysis methods for conservation of local topography: Focused on analysis range. J. Korean Env. Res. Tech. 17(5): 19-28. 

  25. Tatsuhara, S. and Y. Antatsu. 2010. Predic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ajor species composition in secondary hardwood forests on Mt. Gozu, central Japan, based on environmental factors. J For Res(2010) 15: 347-357. 

  26. Williams, C. L. ? W. W. Hargrove. ? M. Liebman and D. E. James. 2008. Agro-ecoregionalization of Iowa using multivariate geographical clustering,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123: 161-174. 

  27. Yu, J. S. and J. M. Kim. 2015.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ased Ecosystem Differenc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using Multivariate Spatial Environmental Variables. J. Korean Env. Res. Tech., 18(4): 15-27. 

  28. Zhou, P. ? O. Luukkanen ? T. Tokola and J. Nieminen. 2008. Vegetation Dynamics and Forest Landscape Restoration in the upper Min River Watershed, Sichuan, China. Restoration Ecology, 16(2): 348-35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