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군 응급구조사의 업무분석 및 직무만족도
Work and job satisfaction of military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19 no.3, 2015년, pp.33 - 49  

허정임 (국방부 육군학생군사학교) ,  박정미 (대한응급구조사협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work and job satisfaction of military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s). Methods: We selected 122 military EMTs who participated in the refresher education in 2012.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2 to December 21, 2012. Results: The most freq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 군에서 근무하는 응급구조사의 현황을 파악하고, 군 응급구조사의 업무 및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군에서 의무지원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군에서 군인들의 전투력 배양을 위한 강인한 교육훈련은 필수불가결하며, 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인명사고를 대비하기 위해 의무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군내에서 의무지원은 군의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지만, 군 여건상 군의관은 대대급 혹은 연대급에 1명으로 턱없이 부족한 상황으로, 대부분 간호장교, 의무부사관[1-3], 분대 단위응급처치요원[4]에 의해 의무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응급구조사란 무엇인가? 응급구조사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의한 응급의료종사자로서 응급현장에서의 처치와 이송을 담당하며 응급의료체계의 근간을 이루는 전문직업인이다. 군에서는 자체인력 수급의 필요성을 인식 하고 2급 응급구조사의 양성을 위한 노력을 해왔으며, 1997년 군 의무학교는 응급구조사 양성기관으로 선정되었으며, 2급 응급구조사 80명을 시작으로 현재 93명의 1급 응급구조사와 1,216명의 2급 응급구조사를 배출하게 되었다[5].
소속별 업무 활용 실태에서 알 수 있는, 군 내 응급구조사가 병원 전 응급활동에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 무엇인가? 소속별 업무활용 실태에서는 공군이 해군과 육군에 비해 높았으며, 특수상황 응급처치에서는 공군에서는 창상절단환자가, 육군과 해군에서는 열과 한 · 냉에 의한 환자처치가 다수 발생하였다. 병원 전 응급활동에서는 해군에서 구급상황 출동하기가 육군과 공군에서는 응급처치하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진료보조업무에서는 육 · 해 · 공군 모두 구급상황 출동하기가 가장 많았지만 공군을 제외하고는 40% 이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ce. Medical duty support. Field manual 14-1. 2005. 1.4-1.7. 

  2.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ce. General medical management. Air force regulations 11-1.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ce, 2006. 

  3.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ce. Aviation medical management. Air force regulations 11-2.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ce, 2006. 

  4.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ce. Squad level emergency medical treatment. Reference for education 8-14-2. 2007. 1.3-1.7. 

  5.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ce. Armed forces EMT statistics. 2013. 

  6. The Statistics by Korea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ssociation. Veteran EMTs. 2013. 

  7. Park GG. A study on methods of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Focused on army bases. J of Kor Military Med Assoc 2011;42(1):133-45. 

  8. Kim JH, Jang BG. Methods of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 of Kor Military Med Assoc 2010; 41(1):97-114. 

  9. Do YP, Song JG. A study on methods of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 of Kor Military Med Assoc 2006;37(1):156-65. 

  10. Yoou SK, Jo JM, Kim JH, Uhm TH. Proposal of a new EMT national registry exam using the delphi method. Korean J Emerg Med Ser 2010;14(2):57-69. 

  11. Heo J. The development of job competency and behavioral indicators for paramedics of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010, Seoul, Korea. 

  12. Bae KS, Koh BY, Lee JE, Lee IM, Choi KM, Kim ST. Task analysis of paramedics of Korea based on DACUM method. Korean J Emerg Med Ser 2011;15(1):5-23. 

  13. Slavit DB, Stamps PL, Piedmont EB, Haase AM. Nurses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situation. Nurs Res 1978;27(2):114-20. 

  14. Han S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owerment and the job satisfaction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Korean J Emerg Med Ser 2010:14(1):47-63. 

  15. Kim TM, Kim HS, Yoou SK. Investigating research on the degree of frequency and importance of tasks for framing the EMTs occupational description. Korean J Emerg Med Ser 2001;5(1):199-212. 

  16. Lee OH. The work and job satisfaction of paramedics in the emergency room of university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11, Gongju, Korea. 

  17. Hwang HJ, Kim JS, Chong JY.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among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Korean J Emerg Med Ser 2004;8(1):5-17. 

  18. Park SS, Park JS, Park DS.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i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within hospital upon organizational commitment. Korean J Emerg Med Ser 2009;13(2):99-10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