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급 응급구조사의 직종에 따른 직무만족도 및 업무스트레스
Job Satisfaction and Work Stress of EMT-paramedic's According to type of Occupa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1, 2017년, pp.584 - 593  

김덕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원광대학병원) ,  최성우 (조선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응급구조사가 배출된지 21년이 지난 시점에서 119와 병원에서 근무하는 응급구조사들을 근무 기관별로 업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를 비교분석하여 119와 병원의 차이와 장단점을 파악함으로써 우리나라의 1급 응급구조사들의 근무여건을 개선하고 보다 나은 근무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전라북도의 28개 119안전센터와 14개 권역응급의료센터 및 지역응급의료센터에서 근무하는 1급 응급구조사 1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WIN 20.0을 사용하였으며, 카이제곱검정, t-test, ANOVA, ANCOVA로 분석하였다. 업무스트레스는 119근무자(2.92), 병원근무자(3.01)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직무만족도는 소방근무자(2.98), 병원근무자(2.54)으로 병원근무자들이 크게 유의하게 낮았다(p<0.001). 또한 병원근무자들의 보수 영역에서 가장 낮은 점수가 보였으며($2.07{\pm}0.62$), 월 평균 환자수가 적을수록(p<0.001), 월수입이 높을수록(p=0.047), 휴가가 많을수록(p<0.001) 업무스트레스가 낮고,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119와 병원 모두 근무복지여건의 개선이 필요하고, 119의 경우, 구급대원 폭행 방지 대책과 휴식공간이 필요하고 특히 병원의 경우는 급여와 연간 급여증가율, 고용형태의 안정을 개선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needed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first class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in order to decrease their job stress and increase their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satisfaction were compared and analysed i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ho were work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응급구조사들이 가장 많이 근무하는 두 기관을 비교평가하여 향후 응급구조사들의 업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직무만족도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구조사의 업무가 더욱 복잡해지고 업무스트레스가 증가한 이유는? 병원의 응급구조사들은 응급처치를 능숙하게 함으로써 응급환자 처치시간을 단축시키고 응급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3]. 그러나 응급구조사는 명시된 업무범위 안에서만 현장, 이송 중 또는 의료기관 안에서 응급처치 업무에 종사해야 하지만, 응급실 과밀화 현상의 심화, 응급의학과 전공의의 부족 등과 같은 국내 의료계 상황은[4] 응급구조사로 하여금 병원의 필요에 의하여 위법인 줄 알면서도 무면허 의료행위를 행하게 하는 등[5] 응급구조사의 업무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응급구조사들의 복잡한 상황으로 인해 응급구조사들의 업무스트레스는 응급실 간호사보다 상당할 것이다.
직무만족도란? 직무만족도는 직무에서 얻어지거나 경험한 욕구 만족도이며 그 본질을 자신의 직무에서 얻게 되는 자기실현 감과 가치있는 성취감이라 할 수 있으며 직무만족 수준의 변화는 가치의 변화에 의해 반영되는 것이다[9]. 또한 더 나아가 직무만족도가 높으면 이직률도 낮다[10].
지금까지 응급구조사를 대상으로 한 업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의 한계점은? 지금까지 응급구조사를 대상으로 한 업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119구급대원만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나 병원 내 응급구조사만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나 1급 응급구조사와 2급 응급구조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만 있었고, 1급 응급구조사만을 비교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1급 응급구조사는 대학에서 응급구조학을 전공해야만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고, 대부분의 병원들에서는 대학교 졸업자를 채용조건으로 하고 있어 병원에는 2급 응급구조사가 거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119안전센터와 병원의 응급구조사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1급 응급구조사만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J. Y. Jung, Factors Affecting Stress of 119 Emergency Staffs,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ol. 7, pp. 119-126, 2003. 

  2. S. J. Chu, O. L. Park, H. S. Kang, The Factors Influencing Empowerment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0, no. 2, pp. 153-162, 2011. DOI: http://dx.doi.org/10.5807/kjohn.2011.20.2.153. 

  3. O. H. Lee, The Work and Job Satisfaction of Paramedics in the Emergency Room of University Hospitals,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ol. 2, no. 1, pp. 47-63, 2011. 

  4. E. N. Lee, B. J. Kim, S. S. Kim, K. H. Kang, Y. S. Kim, Development of an In-service Education Program for Emergency Room Nurses According to Their Career Ladde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4, no. 1, pp. 99-111, 2008. 

  5. S. Y. Han, H. K. Ji, S. W. Yoon, C. H. Lee, Legislation feasibility studies for expanding the business scope of paramedics: Focused on high level task in importance, need and allowance,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ol. 19, no. 3, pp. 117-138, 2015. DOI: http://dx.doi.org/10.14408/KJEMS.2015.19.3.117 

  6. J. H. Kim, N. R. Oh, M. A. Jeong, A Factor Analysis on Job Stress Level in Dental Hygienists,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3, pp. 1220-1228, 2012.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3.1220 

  7. J. H. Yang,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personality trai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attitud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1992. 

  8. H. J. Jang, M. L. Baek, Influencing factors of the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paramedics,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ol. 17, no. 3, pp. 39-51, 2013. DOI: https://doi.org/10.14408/KJEMS.2013.17.3.039 

  9. E. J. McCormick, J. Tiffin, Industrial psychology, pp. 289-299, Prentice Hall, 1974. 

  10. K. S. Ba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Turnover Intention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ol. 14, no. 1, pp. 60-80, 2010. 

  11.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An Annual Reports of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Available from: http://www.e-gen.or.kr/nemc/statistics_annual_report.do, 2017. 

  12. D. O. Kim, Development of job stress and satisfaction scale for korea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 working in emergency room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5. 

  13. J. Y. Jung, G. O. Le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and Coping Methods of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The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 11, no. 2, pp. 182-191, 2002. 

  14. H. T. Jo, Work Stress and Satisfaction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orking in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and Hospita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2. no. 4, pp. 295-304, 2013. DOI: http://dx.doi.org/10.5807/kjohn.2013.22.4.295 

  15. D. B. Slavitt, P. L. Stamp, E. B. Piedmont, A. M. B. Hasse, Nurses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situation, Nursing Research, vol. 27, no. 2, pp. 207-219, 1978. DOI: https://doi.org/10.1097/00006199-197803000-00018 

  16. S. Y. Shin, From Patients and Caregivers 119 Rescue party's Experiences for Violence in the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Field,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0, no. 12, pp. 3870-3878, 2009. 

  17. S. S. Park, J. S. Park, D. S. Park,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i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within Hospital up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ol. 13, no. 2, pp. 99-108, 2009. 

  18. M. S. Kim, N. H. Kim, Impact of Self-Esteem and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of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 5, no. 2, pp. 147-155, 2011. DOI: https://doi.org/10.12811/kshsm.2011.5.2.147 

  19. J. W. Sebolt, Dealing with Premature Employee Turnover,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6, no. 2, pp. 6-32, 1986. DOI: https://doi.org/10.1097/00005110-198602000-00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