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호교차로 좌회전 효율적 처리를 위한 유턴차로 설치방법 연구
A Study on Installation of U-Turn Lane for Efficient Operation of Left Turn at Signalized Intersections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1 no.4 = no.30, 2015년, pp.597 - 606  

Park, Chahgwha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Yoon, Byoungjo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Kang, Bongsuk (Incheon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금까지 유턴차로의 설치방법들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구체적인 기준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어 유턴차로 설계기준의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 상업지역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수행하고, 해당 자료를 활용하여 도시부상업지역 내 신호교차로의 효율적인 좌회전 처리를 위한 유턴허용구간의 적정길이와 전방교차로로부터 유턴 허용구간까지의 최소거리를 산정하여 구체적인 설계기준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턴허용구간의 적정길이는 32m로 산출되었고, 전방 교차로로부터 유턴허용구간의 시점까지의 최소 이격거리는 좌회전 차로수가 1차로인 경우 72m, 2차로인 경우 40m, 3차로인 경우 24m인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렇게 도출된 결과값을 현장조사 값과 비교한 결과 유턴허용구간의 길이 및 전방교차로로부터 유턴허용구간 시점까지의 최소 이격거리가 유사한 조건하에서도 차이가 크게 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유턴차로의 설계에 관한 구체적인 기준이 제시되어있지 않아 발생된 결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향후 유턴차로의 설계에 반영한다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교차로 운영이 가능해 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til now, u-turn lane installation methods have been studied variously. But, There is no specific standard yet. This study ranges are commercial area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rough field investigation and presents specific design standard for efficient operation of left turn using a field d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활용한 설계는 곧바로 유턴 대기차량의 본선 침범을 유발하게 되어 추돌사고 및 교차로 운영효율 저하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턴 허용구간의 길이 산출식을 도출하고 산출식에 적용할 변수의 값을 현장조사를 통해 결정한 후 도시부 상업지역 내 유턴 허용구간의 적정길이를 산정하여 설계의 기준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분류된 교차로 중에서도 유턴을 허용하는 교차로 3개소를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유턴 허용구간의 길이 산출식을 도출하고 산출식에 적용할 변수의 값을 현장조사를 통해 결정한 후 도시부 상업지역 내 유턴 허용구간의 적정길이를 산정하여 설계의 기준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신호교차로에서 유턴차로를 설치하는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전방교차로로부터 유턴 허용구간까지의 최소거리와 유턴 허용구간의 적정길이를 산정하여 명확한 유턴차로의 설치기준을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대상으로 2012년도 인천광역시 도시교통기초조사의 조사대상이 되었던 교차로 60개소 중 인천광역시 도시계획총괄도상의 토지이용계획을 참고하여 상업지역 8개소를 분류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신호교차로에서 유턴차로를 설치하는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전방교차로로부터 유턴 허용구간까지의 최소거리와 유턴 허용구간의 적정길이를 산정하여 명확한 유턴차로의 설치기준을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설 설정

  • 차량은 유턴을 실시하기 전에 정지상태에 있으며 대향차로에 차량이 주행하지 않는 상태, 즉 안전이 확보된 상태에서 유턴을 실시하게 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승용차량의 회전반경이 6m인데 차량은 차로 중심에서 주행한다는 가정하에 6.1m(, )를 적용하였으며, 차량이 각기 다른 속도의 등가속도 운동을 한다고 가정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가속도를 고려하여 평균속도를 적용하였다.
  • 차량의 길이와 폭은 도로의 구조ㆍ 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에서 제시하고 있는 설계기준자동차 중 소형자동차의 길이와 폭을 적용한다. 유턴차량은 차로의 중심에서 일정한 반경으로 회전하며 등속, 등가속주행을 하는 것을 가정한다. 회전반경은 현장조사의 결과 모든 교차로에서 차로폭은 3.
  • 유턴허용구간 산정을 위한 가정사항은 차량의 길이와 폭, 차로폭, 주행특성들이다. 차량의 길이와 폭은 도로의 구조ㆍ 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에서 제시하고 있는 설계기준자동차 중 소형자동차의 길이와 폭을 적용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찰청(2012) 교통노면표시 설치ㆍ관리 매뉴얼에서 유턴 구역선의 설치기준에 따르면 유턴구역선은 어떻게 설치 하여야 하는가? 경찰청(2012) 교통노면표시 설치ㆍ관리 매뉴얼에서는 유턴 구역선의 설치기준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유턴구역선은 편도 폭 9m 이상의 도로에서 인접교차로간 거리 및 신호주기 등 주변 교통여건을 감안하여 자동차의 유턴이 허용된 구간 또는 장소내의 필요한 지점에 교통안전표지와 함께 설치하여야 한다. 유턴을 하는 자동차는 교통안전 표지에 지시된 내용에 따라 반대방향 및 선행차량 그리고 보행자 등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유턴을 하여야 한다.
교차로에서 유턴의 장점은 무엇인가? 도시부 교차로의 효율적인 좌회전 처리를 위해 유턴에 의한 영향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교차로에서 유턴은 차량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운행거리와 통행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교차로 운영기법이다.
기존의 유턴구역선의 설치기준을 따라 유턴 구역선을 설계할 때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가? 또한 설계기준에서 제시된 6m는 소형자동차의 실제 차두간격이 아닌 순수 차량의 길이만이 고려된 길이로서 유턴 수요를 처리하기에 매우 짧은 길이이다. 이를 활용한 설계는 곧바로 유턴 대기차량의 본선 침범을 유발하게 되어 추돌사고 및 교차로 운영효율 저하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턴 허용구간의 길이 산출식을 도출하고 산출식에 적용할 변수의 값을 현장조사를 통해 결정한 후 도시부 상업지역 내 유턴 허용구간의 적정길이를 산정하여 설계의 기준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Incheon Metropolitan City,(2009),"Incheon MetropolitanCity Planningalsooversees" 

  2. Incheon Metropolitan City,(2012),"2012urban transportbasics investigation" 

  3. Incheon Metropolitan City, IncheonMetropolitan Police Agency, (2013),"2012central and local traffic signaling equipment operating data(Article1)." 

  4. Incheon Metropolitan City, IncheonMetropolitan Police Agency, (2013), "2012Traffic Signal Central andlocaldevice operatingsystemresources(Article2)." 

  5. Do, C, H, (2005), "TrafficEngineeringPrinciples(above)revision ofArticle2", p.76 

  6.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2009),"Commentaryon the structurefacilitiesstandardrulesof the road", pp.46-53. 

  7. Police,(2012),"Trafficpavement markingInstallation ManagementManual", pp.35-37. 

  8. Lim, S. J., Park. J. T., (2013),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Models in Seoul Considring Land Use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9 No.1 pp.33-49 

  9. Lee, J. H.,Park, J. J., Ha, T. J.,(2008),"A Study on theU-Turn location and fair estimate of the acceptable range in length signalized intersections",Journalof TransportationArticle26No. 1. 

  10. Park, K..W., (,2009),"Study on urban signalized intersections U-Turn allowed sections design standard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thesis 

  11. Oh, Y. P., Lee, Y. B.,(,2004), "Study on the Properties and building proper trafficsignal timingmodels ofU-Turn",scheduledforLandandUrban PlanningInstituteConference.pp.585-596. 

  12. Yang, J. H., Choee, U. J., Park, H. W., (2013), "Research on the Optimal inner-city commercial areas waiting car length calculatedconsidering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y arrivalsignalized intersection, turn left",Institute for Transportation Conference 

  13. Daniel L. Carter, (2004), "Operational and Safety Impacts of U-Turn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14. Naver Mapmap.naver.com 

  15. Incheon Traffic Information Center www.fitic.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