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야간의 시인성 저하가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진단 -경기도 지역의 경부, 서해안, 영동,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를 중심으로-
Study on Effect of Low Visibility Condition at Nighttime on Traffic Accident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3 no.2, 2014년, pp.12 - 26  

이승신 (도로교통공단) ,  김태헌 (연세대학교) ,  손봉수 (연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교통사고 영향요인 중 야간의 시인성 저하가 교통사고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진단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기지역의 경부선, 서해안선, 영동선,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의 기본구간을 58개의 소구간으로 분할하였고, 2009년에서 2012년 상반기까지 소구간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410건을 이용하여 야간의 어두움으로 인한 시인성 저하가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진단하였다. 실험방법은 준실험설계를 준용하여 시인성 외 교통사고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통제하고 음이항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조사 결과, 맑음 기상조건에서의 LOS A 상태 등 특정조건에서 주간과 야간의 시인성 차이가 교통사고 발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진단되었다. 그리고 진단 결과를 이용하여 교통사고의 유형과 원인에 대하여 다양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als with effect of low visibility condition at nighttime on traffic accident. Roads for experiment of this study are Gyeongbu expressway, Seohaean expressway, Yeongdong expressway and Seoul beltway in Gyeonggi province. For this study, I subdivided basic straight section of them into 58...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하구조가 동일한 장소에서 평일에 발생한 사고를 분석대상으로 하고 음주운전 사고와 졸음운전사고를 배제하는 등 시인성 영향 진단을 위하여 실험설계와 유사한 비교집단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 이런 점에 있어서 일몰 이후부터 일출 이전까지 시인성의 저하가 교통사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 진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기지역 고속도로 기본구간에서 주간과 야간의 교통사고 비교를 중심으로 야간의 시인성 저하가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통해 야간 교통사고의 유형과 원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교통사고 영향 변인을 임의로 조작·통제할 수 없기 때문에 준실험설계를 이용하여 시인성이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진단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진단하기 위해 에서 각 구간별로 교통사고를 집계한 자료를 진단에 활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야간의 어두움으로 인한 시인성 저하가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진단하였다.
  • 실험설계의 중요한 목적은 원인 A가 결과 B와 관계되었다는 것에 대한 확실한 인과관계를 추리하는데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야간의 시인성 저하가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원인중 하나인지를 진단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0 : 야간의 시인성 저하는 교통사고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H1 : 야간의 시인성 저하는 교통사고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1년도 18시~24시 야간시간대의 교통사고 발생률은 어떠한가? 정부에서는 교통사고와 사망자 감소를 위해 시선유도표지, 갈매기표지, 표지병 등 시인성 관련 교통안전시설을 확충하고 노면표시 표준시방서를 제정하는 등 도로의 야간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1년도 18시~24시 야간시간대의 교통사고 발생률은 전체 교통사고의 약 33.73%이고 교통사고 사망율은 약 31.91% 수준으로, 주간시간대에 비해 교통사고 발생률은 약 5~10%, 교통사고 사망률은 약 8~9% 높은 실정이다.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적 요인, 차량적 요인, 도로적 요인이 있으나, 야간에는 시거가 제한되고 차선과 표지판의 식별성이 떨어져 교통사고로 이어지는 등 어두움으로 인한 시인성저하도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정부에서 교통사고와 사망자 감소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하는가? 정부에서는 교통사고와 사망자 감소를 위해 시선유도표지, 갈매기표지, 표지병 등 시인성 관련 교통안전시설을 확충하고 노면표시 표준시방서를 제정하는 등 도로의 야간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1년도 18시~24시 야간시간대의 교통사고 발생률은 전체 교통사고의 약 33.
교통사고 영향요인 중 야간의 시인성 저하가 교통사고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조사한 결과는? 실험방법은 준실험설계를 준용하여 시인성 외 교통사고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통제하고 음이항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조사 결과, 맑음 기상조건에서의 LOS A 상태 등 특정조건에서 주간과 야간의 시인성 차이가 교통사고 발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진단되었다. 그리고 진단 결과를 이용하여 교통사고의 유형과 원인에 대하여 다양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 M. Hong, J. K. Kim, C. Oh, "Characteristics of Geometric Conditions Affecting Freeway Traffic Safety at Nighttime, Sunrise, and Sunse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30, no. 4, pp.95-106, 8. 2012. 

  2. M. S. Park, M. S. Chang, "Analysis of Traffic Accident Characteristics for the Overlap Sec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Align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vol. 14, no. 1, pp.95-102, 2. 2012. 

  3. McFadden, D, "The Theory and Practice of Disaggregate Demand Forecasting for Various Modes of Urban Transpo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Institute of Transportation Studies, Working Paper no. 7623. p.41, 11. 1976. 

  4. W. H. Jeon, H. J. Cho, "A Study on Characteristic Analysis for Nighttime Accident", 2005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ings conference, pp.4729-4732, 10. 2005. 

  5. D. S. Yoo, S. J. Oh, T. Y. Kim, B. H. Park,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and Models of Traffic Accidents by Day and Nighttime in the Case of Cheongju 4-legged Signalized Intersection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28, no. 2, pp.181-189, 3. 2008. 

  6. Forbes, T W, "Some factors affecting driver efficiency at night", Highway Research Board, no. 255, pp.61-71, 1960. 

  7. B. J. Yoon, S. H. Oh, "Study for the Homogeneity of Freeway Free-Flow Speed under the State of LOS-A Low Dens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31, no. 6D, pp.779-784, 11. 2011. 

  8. E. B. Jeong, C. Oh, "Accident Rate Forecasting Model by Using Speed on Freewa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9, no. 4, pp.103-11, 8. 2011. 

  9. Mueller, Alexandra S and Trick, Lana M, "Driving in fog: The effects of driving experience and visibility on speed compensation and hazard avoidance",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vol.48, pp.472-479, 2012. 

  10. Monsere, Christopher M and Fischer, Edward L, "Safety effects of reducing freeway illumination for energy conservation",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vol.40, Issue.5, pp.1773-1780, 2008. 

  11. S. B. Lee, J. H. Kim, D. H. Hong, C. N. Yoo, "Development of a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by Level of Roads and Traffic Characteristic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23, no. 4, pp.495-504, 7. 2003. 

  12. J. S. Kim, K. H. Kim, B. H. Park,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s and Developing the Accident Models on the Arterial Link Sections in Case of Cheongju", 2010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ings conference, pp.166-177, 3. 2010. 

  13. B. S. Chae, C. P. Han,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a weekend traffic accident",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nference, pp.17-20, 10. 2009. 

  14. S. W. Shim, K. C. Choi, "Classification of Freeway Traffic Condition by the Impacts of Road Weather Factor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29. no. 6D, pp.685-691, 11. 2009. 

  15. J. H. Ki, K. S. Hur, "A Statistical Analysis of Formation and Growth of Human Capital Agglomerating Cities", Journal of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vol. 22, no. 2, pp.31-56, 8.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