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로의 야간 교통사고 저감을 위한 야광형 포장노면표시 기술개발의 적용성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Glow Line Marking Technology Development for Reducing Traffic Accidents at Nighttime 원문보기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17 no.3 = no.71, 2015년, pp.59 - 68  

이용문 ((주)평화엔지니어링 기술연구원) ,  김흥래 ((주)평화엔지니어링 기술연구원) ,  김상태 ((주)평화엔지니어링 기술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S : This study suggests the application of glow line marking technology for reducing traffic accidents at nighttime. METHODS : In this study, using a statistical analysis,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s occurring at nighttime. Next, the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도로의 조명시설은「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제38조에 의하여 설치되는 도로의 부속시설로, 도로 교통의 안전성 증대를 통하여 주·야간의 도로 이용자가 안전하고 불안감 없이 통행하고 도로 이용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야광 노면표시의 이론적 검토와 도로환경 적용 시 특성에 대한 SWOT 분석을 실시하여 야간 교통사고 저감을 위한 야광 노면표시의 효과적인 적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야광 노면표시 기술의 적용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향후 야광 노면표시 활성화를 위한 연구과제로 SWOT 분석을 통해 도출된 적용방안인 야광 노면표시재료 및 시공기술 개발을 통한 공법 개발과 경제성 분석 기법, 야광 노면표시 제반 기준 연구 등이 심도 있게 수행될 필요가 있고, 실제 시험시공을 통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으로 성능과 경제성을 평가하여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야광 노면표시의 적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연구로 우선 야광의 정의와 원리에 대해서 살펴보고, 관련문헌 및 국내외 사례 고찰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강점과 약점, 기회와 위협요인으로 구분하여 내·외부 환경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략적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유용하다고 알려진 SWOT (Strength-Weakness-Opportunity-Threat) 분석을 사용하여 야광 노면표시 기술의 현황을 진단하고 이를 통해 가장 효과적인 국내 도로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야간 교통사고 저감을 위해 야광 노면 표시 기술의 도로환경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사례 검토 및 교통사고 통계를 분석하여 야간 교통사고 특성을 분석하였고, SWOT 분석을 통하여 야광 노면표시 기술의 현황진단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통안전 측면에서는 여전히 후진국 수준에 머물러 있음을 알 수 있는 수치적 근거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인구 10만명당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10.1명으로 OECD 33개 국가 중 32위인 최하위 수준이며, OECD 회원국 평균인 6.8명에 비해서 약 1.6배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어 교통안전 측면에서는 여전히 후진국 수준에 머물러 있다(도로교통공단, 2013). 교통사고로 인한 사회적 비용도 도로교통공단 TAAS시스템 분석자료에 따르면 총 23조 5,900억 원으로 우리나라 국가 총 예산의 10.
야광차선 기술의 효과는 무엇인가? 최근 해외에서는 야간 교통안전성 향상을 위해 야광 차선을 개발하여 야간 조명등이 없는 도로에 시험운영하고 있다. 야광차선 기술은 야간에 시인성을 증진시켜 주행안전성 확보가 가능하고, 동시에 야간 조명등의 설치 및 운영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가 제안하는 야광 노면 표시 기술의 다양한 공법은 무엇인가? 4. 성능 및 경제성을 고려한 다양한 공법 개발을 통해 도로 적용성을 강화하는 전략으로 융착식, dot 형식, 테이프, 줄눈 공법을 제시하였고 이에 대한 요구성능및 특징을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Donnell E.T., Karwa V., and Sathyanarayanan S.(2009), "Analysis of Effects of Pavement Marking Retroreflectivity on Traffic Crash Frequency on Highways in North Carolina",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2103), pp. 55-60 

  2. Gibbons R.B., and Hankey J.(2007), "Wet Night Visibility of Pavement Markings : Dynamic Experiment",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2015), pp. 73-80 

  3. Jung, "I'll change the whole country streetlights such as LED" prominent lawyer ideas, chosun newspaper, 2014.07.23 

  4. Korea Research Institute of Transportation Industries(2011), Expert of safety Driving 

  5. Lee, Seungkyu, Lee, Seunghyun, Choi, Keechoo(2012), "Optimal Mixtures of Roadway Pavement Marking Beads Under Various Weather Condi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Vol 14, No. 3, pp. 131-140 

  6. Road Traffic Authority(2013), "Compare Traffic Accident in OECD Countries", p.10-11 

  7. Road Traffic Authority(2014), "2014 Traffic Accident Statistical Analysis(2013 Statistics)" 

  8. Seo(2014), "Development and Implication of Netherland Glow Road Information System", Road Policy Brief NO. 85, pp. 8-9 

  9. Smadi O., Souleyrette R.R., Ormand D.J., and Hawkins N.(2008), "Pavement Marking Retroreflectivity : Analysis of Safety Effectivenes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2056), pp. 17-24 

  10. University of Seoul(201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igh Persistence Phosphorescent Material" 

  11. http://dev.gazerglowvision.com.au/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