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정익 무인항공기(드론)를 이용한 노천광산 지형측량 기술의 현장실증
On-site Demonstration of Topographic Surveying Techniques at Open-pit Mines using a Fixed-wing Unmanned Aerial Vehicle (Drone) 원문보기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25 no.6, 2015년, pp.527 - 533  

이성재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에너지 자원공학과) ,  최요순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고정익 무인항공기(드론, SenseFly eBee)를 이용하여 국내 대규모 석회석 노천광산에 대한 지형측량을 수행하였다. 비행고도 300 m, 비행속도 12 m/s 조건으로 약 30분간 자동모드 비행을 수행한 결과 현장에서 총 288장의 항공사진을 촬영할 수 있었다. 특이점 추출이 불가능한 37장의 항공사진을 제외한 251장의 항공사진 자료들을 보정하고, 정합한 결과 7 cm 해상도정사영상수치표면모델 자료를 생성할 수 있었다. 4곳의 지상기준점에 대하여 고정밀 위성측정시스템를 이용하여 측정한 위치 좌표와 고정익 무인항공기 사진측량시스템을 이용하여 추출한 위치 좌표를 비교한 결과 평균 제곱근 오차가 15 cm 내외로 분석되었다. 고정익 무인항공기는 회전익 무인항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행시간이 길어 넓은 영역의 신속한 지형측량이 가능하므로 대규모 노천광산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erformed an on-site demonstration of the topographic surveying technique at a large-scale open-pit limestone mine in Korea using a fixed-wing unmanned aerial vehicle (UAV, Drone, SenseFly eBee). 288 sheets of aerial photos were taken by an automatic flight for 30 minutes under conditi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고정익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노천 광산 지형측량 기술을 강원도 삼척시에 위치한 쌍용자원개발(주) 신기사업소 석회석 노천광산을 대상으로 현장실증하는 것이다. 고정익 무인항공기 중 하나인 스위스 SenseFly의 eBee를 이용하여 연구지역의 항공사진 촬영을 수행하고, 촬영된 영상들을 이용하여 정사영상 (orthomosaic image)과 수치표면모델을 제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정익 무인항공기의 장점은 무엇인가? 회전익 무인항공기는 수직이착륙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착륙장의 확보가 어려운 소규모 노천광산에서 활용하기 용이하지만, 에너지 효율이 낮아 비행시간이 짧기 때문에 대규모 노천광산에서 활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고정익 무인항공기는 공기의 양력으로 비행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에너지 효율이 높아 장시간의 비행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착륙장의 확보가 가능한 대규모노천광산에서는 고정익 무인항공기를 활용하여 지형측량을 수행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유리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현장실증 연구가 필요하다.
무인항공기 사진측량시스템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기존 지형측량 기법들의 장점과 단점을 상호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무인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 UAV)를 이용한 사진측량시스템을 노천광산 현장의 지형측량 작업에 적용하는 방안이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무인항공기 사진측량시스템은 기존의 항공측량 기법들에 비해 비교적 측정오차가 작고, 지상 측량 기법들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작업 가능 영역의 크기가 크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해외에서는 Cryderman 등(2014)이 무인항공기를 이용하여 노천광산의 광석적치장 부피측량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GPS를 이용한 지상측량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0.
eBee의 사양은 어떠한가? eBee는 글라이더 형태이며 자이로스코프(Gyroscope), GPS/INS 등의 센서가 내장되어 있어 비행 시 위치정보, 자세제어 정보 등을 기록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기체의 무게는 약 0.69 kg 정도이며, 이동속도는 최고 12 m/s이다. 배터리 완충 시 비행시간은 40분 정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ASPRS, 1989, ASPRS INTERIM ACCURACY STANDARDS FOR LARGE-SCALE MAPS, American Society of Photogrammetric and Remote Sensing, Vol. 55, pp. 1038-1940. 

  2. Cho, S.J., Bang, E.S., Kang, I.M., 2015, Construction of Precise Digital Terrain Model for Nonmetal Open-pit Mine by Using Unmanned Aerial Photograph,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ol. 48, No. 3, 205-212. 

  3. Cryderman, C., Bill Mah, S. and Shuflertoski, A., 2014, Evaluation of UAV Photogrammetric accuracy for mapping and earthworks computations, GEOMATICA, Vol. 68, No. 4, 309-317. 

  4. Jung, S.H., Lim, H.M., Lee, J.K., 2009, Analysis of the Accuracy of the UAV Photogrammetric Method using Digital Camera, J.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27, No. 6, 741-747. 

  5. Lee, S., Choi, Y., 2015, Topographic survey at small-scale Open-pit Mines using a Popular Rotary-wing Unmanned Aerial Vehicle(Drone), TUNNEL & UNDERGROUND SPACE, Vol. 25, No. 5, 462-469. 

  6. Siebert, S. and Teizer, J., 2014, Mobile 3D mapping for surveying earthwork projects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UAV) system,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 41, 1-14. 

  7. Turner, D., Lucieer, A. and Watson, C., 2012, An automated technique for generating georectified mosaics from ultra-high resolutio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imagery based on structure from motion (SfM) point clouds, Remote Sensing, Vol. 4, No. 5, 1392-1410. 

  8. Uysal, M., Toprak, A.S. and Polat, N., 2015, DEM generation with UAV Photogrammetry and accuracy analysis in Sahitler hill, Measurement, Vol. 73, 539-543. 

  9. Wang, Q., Wu, L., Chen, S., Shu, D., Xu, Z., Li, F. and Wang, R., 2014, Accuracy Evaluation of 3D Geometry from Low-Attitude UAV Images:A Case Study at Zijin Mine, Proc. of 4th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ISPRS, Suzhou, China, May 14-16, 297-3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