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nSAR 긴밀도 영상을 이용한 남극 장보고기지 인근 정착해빙의 연간 변화 분석
Analysis of Annual Variability of Landfast Sea Ice near Jangbogo Antarctic Station Using InSAR Coherence Image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1 no.6, 2015년, pp.501 - 512  

한향선 (극지연구소 극지해양환경연구부) ,  김연춘 (강원대학교 지질지구물리학부) ,  진효림 (강원대학교 지질지구물리학부) ,  이훈열 (강원대학교 지질지구물리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극 장보고 과학기지가 위치한 동남극 테라노바 만의 정착해빙은 해양 생태계쇄빙선의 운항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테라노바 만의 정착해빙에 대한 시공간적 변화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2010년 12월부터 2012년 1월까지 테라노바 만이 촬영된 총 62개의 COSMO-SkyMed 영상 레이더(Synthetic Aperture Radar; SAR) 영상을 이용하여 1-9일의 시간적 기선거리를 가지는 38개의 간섭쌍을 구축하였고, 각각의 간섭쌍에 대한 긴밀도를 분석하였다. 정착해빙은 해안에 고착되어 시간적 위상오차가 작았으며, 최대 9일의 시간적 기선거리를 가지는 간섭쌍에서도 0.3 이상의 높은 긴밀도를 유지하였다. 이와 같이 정착해빙의 작은 시간적 위상오차에 기초하여, 각각의 긴밀도 영상에서 0.5 이상의 긴밀도가 공간적으로 균질하게 관찰되는 영역을 정착해빙으로 정의하였다. 유빙과 바다는 해류와 바람에 의해 유동하여 시간적 위상오차가 크기 때문에 낮은 긴밀도를 보였다. 긴밀도 영상에서 바다와 구분이 어려운 유빙은 SAR 후방산란강도(amplitude) 영상에서 유빙 표면의 균열(crack)을 관찰함으로써 검출하였다. 긴밀도 및 SAR 영상으로부터 검출된 정착해빙과 유빙의 면적을 산출하였고, 시간에 따른 해빙의 면적변화를 분석하였다. 테라노바 만의 정착해빙 면적은 3월 이후 증가하여 7월에 최대 $170.7km^2$을 나타냈고, 10월부터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빙의 면적은 2-5월에 증가하고, 정착해빙의 면적이 급격히 증가하는 5-7월에 감소하였다. 긴밀도 영상에서 분석된 테라노바 만의 정착해빙 면적을 장보고 과학기지의 자동기상관측기구로 측정된 기온 및 풍속과 비교하였다. 정착해빙 면적은 기온의 증감과 약 2개월의 시간차를 가지는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반면 풍속과 정착해빙의 면적은 서로 매우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 이는 테라노바 만의 정착해빙 면적 변화가 풍속보다는 기온에 더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ndfast sea ice (LFI) in Terra Nova Bay, East Antarctica where the Jangbogo Antarctic Research Station is located, has significant influences on marine ecosystem and the sailing of an icebreaker.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analyze the spatio-temporal variation of the LFI in Terra Nova Bay. I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테라노바 만의 주된 해빙 유형인 정착해빙의 경우, 형성 및 소멸 과정이 해양 영향인자보다 대기 영향인자에 지배적으로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Heil, 2006). 이 연구에서는 장보고 과학기지의 AWS에서 실측된 기온과 풍속 자료를 이용하여 테라노바 만의 정착해빙의 면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이는 해빙의 면적이 단기간 내에 급격히 변화하지 않기 때문이다. 연구에 사용된 간섭쌍의 공간적 기선거리는 최대 293 m로 크지 않으므로 해빙 표면의 긴밀도는 간섭쌍의 시간적 기선거리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하였고, 해빙의 시간적 위상오차 특성에 기초하여 정착해빙과 유빙을 구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극지의 해빙을 관찰하는 것에 사용하는 센서는? 해빙은 인간의 접근이 제한적이고 넓은 범위에 걸쳐 분포하기 때문에 인공위성 원격탐사가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현재 광학센서(optical sensor), 영상레이더(Synthetic Aperture Radar; SAR), 수동 마이크로파 센서(passive microwave sensor)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인공위성에 탑재되어 극지의 해빙을 관찰하고 있다(Han and Lee, 2007). 광학 센서의 경우 태양고도와 기상조건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구름이 많고 6개월간 흑야 현상이 지속되는 극지방에서는 고품질의 자료를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남극의 해빙 면적이 최대인 시기와 최소인 시기의 면적 차이는? , 2001). 남극의 해빙은 대부분 유년 해빙(young ice) 및 일년생 해빙(first year ice)으로 구성되어 있고, 해빙 면적이 최대인 9-10월과 최소인 2월의 면적 차이는 약 1.6×107 km2이다. 이러한 해빙이전 지구적 기후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하다 (Allison et al.
해빙이 지구적 기후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 있는가? , 1993). 특히 해안에 고착되어 있는 정착해빙(landfast sea ice, LFI)은 고위도 지방에서 대기와 해양 사이의 열 전달 작용을 방해하여 국지적 기후변화를 야기할 수 있으며, 다양한 해양 생물 종의 서식지 형성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Giles et al.,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llison, I., R.E. Brandt, and S.G. Warren, 1993. East Antarctic sea ice: albedo, thickness distribution, and snow cover,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8(C7): 12417-12429. 

  2. Bjorgo, E., O.M. Johannessen, and M.W. Miles, 1997. Analysis of merged SMMR-SSMI time series of Arctic and Antarctic sea ice parameters 1978-1995,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4(4): 413-416. 

  3. Bromwich D.H. and D.D Kurtz, 1984. Katabatic wind forcing of the Terra Nova Bay polyny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89(C3): 3561-3572. 

  4. Cavalieri, D.J., C.L. Parkinson, P. Gloersen, J.C. Comiso, and H.J. Zwally, 1999. Deriving longterm time series of sea ice cover from satellite passive-microwave multisensor data set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4(C7): 15803-15814. 

  5. Dammert, P.B.G., M. Lepparanta, and J. Askne, 1998. SAR interferometry over Baltic Sea ice,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9(16): 3019-3037. 

  6. Fraser, A.D., R.A. Massom, K.J. Michael, B.K. Galton-Fenzi, and J.L. Lieser, 2012. East Antarctic landfast sea ice distribution and variability, 2000-08, Journal of Climate, 25: 1137-1156. 

  7. Giles, A.B., R.A. Massom, and V.I. Lytle, 2008. Fastice distribution in East Antarctica during 1997 and 1999 determined using RADARSAT dat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3, C02S14. 

  8. Han, H. and H. Lee, 2007. Comparative study of KOMPSAT-1 EOC images and SSM/I NASA Team sea ice concentration of the Arctic,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3(6): 507-5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Han, H. and H. Lee, 2011. Analysis of surface displacement of glaciers and sea ice around Canisteo Peninsula, West Antarctica, by using 4-pass DInSAR technique,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7(5): 535-5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Han, H. and H. Lee, 2014. Tide deflection of Campbell Glacier Tongue, Antarctica, analyzed by double-differential SAR interferometry and finite element method,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41: 201-213. 

  11. Han, H. and H. Lee, 2015. Tide-corrected flow velocity and mass balance of Campbell Glacier Tongue, East Antarctica, derived from interferometric SAR,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60:180-192. 

  12. Heil, P., 2006. Atmospheric conditions and fast ice at Davis, East Antarctica: A case study,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1, C05009. 

  13. Hong, S.-H. and S. Wdowinski, 2013. Interferometric coherence analysis using space-borne synthetic aperture radar with respect to spatial resolution,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9(4): 389-39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berl, F., J. Raggam, C. Elachi, and W.J. Campbell, 1983. Sea ice motion measurements from SEASAT SAR imag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88(C3): 1915-1928. 

  15. Lei, R., Z. Li, B. Cheng, Z. Zhang, and P. Heil, 2010. Annual cycle of landfast sea ice in Prydz Bay, east Antarctic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5, C02006. 

  16. Lepparanta, M., Y. Sun, and J. Haapala, 1998. Comparisons of sea ice velocity fields from ERS-1 SAR and a dynamic model, Journal of Glaciology, 44(147): 248-262. 

  17. Markus, T., D.J. Cavalieri, M.A. Tschudi, and A. Ivannoff, 2003. Comparison of aerial video and Landsat 7 data over ponded sea ice,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6(4): 458-469. 

  18. Markus, T. and S.T. Dokken, 2002. Evaluation of late summer passive microwave Arctic sea ice retrievals,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0(2): 348-356. 

  19. Massonnet, D. and K.L. Feigl, 1998. Radar interferometry and its application to changes in the Earth's surface, Review of Geophysics, 36(4): 441-500. 

  20. Nystuen, J.A. and F.W. Garcia Jr., 1992. Sea ice classification using SAR backscatter statistics,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30(3): 502-509. 

  21. Parkinson, C.L., D. Rind, R.J. Healy, and D.G. Martinson, 2001. The impact of sea ice concentration accuracies on climate model simulations with the GISS GCM, Journal of Climate, 14(12): 2606-2623. 

  22. Peterson, I.K., S.J. Prinsenberg, and J.S. Holladay, 2008. Observations of sea ice thickness, surface roughness and ice motion in Amundsen Gulf,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3, C06016. 

  23. Stenni, B., F. Serra, M. Frezzotti, V. Maggi, R. Traversi, S. Becagli, and R. Udisti, 2000. Snow accumulation rates in northern Victoria Land, Antarctica, by firn-core analysis, Journal of Glaciology, 46(155): 541-552. 

  24. Zebker, H.A. and J. Villasenor, 1992. Decorrelation in interferometric radar echoes,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30(5): 950-9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