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OMI 위성자료를 이용한 화산지역 고농도 이산화황 환경에서의 TOMS 오존과 DOAS 오존의 비교연구
Investigation of SO2 effect on OMI-TOMS and OMI-DOAS O3 in volcanic areas with OMI satellite data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1 no.6, 2015년, pp.599 - 608  

최원이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홍현기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박준성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김대원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여재호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이한림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Ozone Monitoring Instrument (OMI)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2005년부터 2008년 사이에 활동하였던 Anatahan, La Cumbre, Sierra Negra, Piton 화산 플룸에 존재하는 고농도의 이산화황에 따른 Total Ozone Mapping Spectrometer (OMI-TOMS)와 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meter (OMI-DOAS) 오존 전량 값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비교하였다. 화산 플룸에서 OMI 센서로 측정한 이산화황 농도($OMI-SO_2$)에 따른 두 오존 전량 값의 사이의 차이에서 상당히 높은 상관성($R{\geq}0.5$)과 두 오존 전량 값 사이의 차이가 최대 100 DU에 가깝게 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OMI-TOMS 알고리즘에서 사용하는 파장영역에서 이산화황의 흡수신호가 강하기 때문에, 이산화황의 농도가 높은 환경에서 오존 산출 시 이산화황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정량적인 분석을 위하여, 이산화황의 농도에 따라 구간별로 나누어 이산화황의 농도에 따른 두 오존 전량 값의 차이 및 이산화황의 농도가 1.0 DU 증가함에 따른 두 오존 전량의 차이를 계산하였다. 이산화황의 농도가 7.0 DU 이상의 높은 조건에서는 두 오존 전량 값 차이의 평균 값이 32.9 DU (표준편차 = 13.5 DU)로 이산화황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두 오존 전량의 상당한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TRM (Middle troposphere; Center of mass altitude (CMA) = 7.5 km) 과 STL (Upper troposphere and Stratosphere; CMA= 17 km) 층에서 1.0 DU의 이산화황의 농도가 증가하는 경우 두 오존 값의 차이는 3.9 DU와 4.9 DU로 계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resent study, we quantified the $SO_2$ effect on $O_3$ retrieval from the Ozone Monitoring Instrument (OMI) measurement. The difference between OMI-Total Ozone Mapping Spectrometer (TOMS) and OMI-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meter (DOAS) total $O_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고농도의 이산화황이 성층권 가까이 배출되는 화산 폭발의 경우의 OMI-TOMS와 OMIDOAS 오존 산출 알고리즘의 비교 및 TRM과 STL층의 OMI-SO2 증가에 따른 두 오존 값 사이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에서 발견된 바와 같이(Kroon et al.
  • 비록 이산화황 농도에 따른 OMI-TOMS와 OMIDOA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산출된 오존 전량의 비교연구가 여러 선행 연구들에 의해 수행 된 바 있지만, 이에 대한 정량적 분석은 이루어 진 바 없기 때문에 이산화황의 양에 따른 OMI-TOMS와 OMI-DOAS 오존 산출 알고리즘을 통해 산출된 오존 전량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확인 해 볼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화산 폭발의 경우에 있어서 OMI 센서로 측정된 이산화황 농도(OMI-SO2) 증가에 따른 두 오존 값 사이의 정량적인 차이를 파악 해 보았다.
  • 1 nm 사이 파장 영역을 사용하여 오존을 산출하는 반면 OMI-TOMS 알고리즘은 오존 산출 파장에서의 두 물질의 흡수단면적의 특징 때문에, 이산화황의 증가된 농도는 OMI-TOMS 오존 농도의 증가로 나타날 수 있다. 본연구에서는, 높은 농도의 이산화황이 다량 배출되는 화산 폭발의 경우에 OMI 센서로 측정된 TRM과 STL 높이에 존재하는 이산화황의 농도 증가에 따른 OMITOMS와 OMI-DOAS 오존 전량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확인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존이란 무엇인가? 오존은 대기화학, 기후변화에 있어 대류권과 성층권에서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체이다. 저층 대기의 질소산화물(NOx)과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의 광화학반응을 통해 생성된 대류권 오존은 인간, 식생, 생태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McKee, 1993).
대류권과 성층권에 존재하는 오존의 각각의 역할은? 저층 대기의 질소산화물(NOx)과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의 광화학반응을 통해 생성된 대류권 오존은 인간, 식생, 생태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McKee, 1993). 대류권 오존은 대류권 상층부에서 중요한 온실기체 중 하나로 보고되었다(Solomon et al., 2007). 성층권 오존은 인간에게 해로운 자외선을 흡수하여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흡수된 에너지는 성층권의 주된 열원이 되며 상층 대기의 순환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이유로, 오존의 변화를 이해하고 기록하는 것은 기후변화와 대기 질을 이해하는 것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대류권 오존은 어떤 방식으로 생성되는가? 오존은 대기화학, 기후변화에 있어 대류권과 성층권에서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체이다. 저층 대기의 질소산화물(NOx)과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의 광화학반응을 통해 생성된 대류권 오존은 인간, 식생, 생태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McKee, 1993). 대류권 오존은 대류권 상층부에서 중요한 온실기체 중 하나로 보고되었다(Solom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nton, M., M. Lopez, J. Vilaplana, M. Kroon, R. McPeters, M. Banon, and A. Serrano, 2009. Validation of OMI-TOMS and OMI-DOAS total ozone column using five Brewer spectroradiometers at the Iberian peninsul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984-2012), 114(D14). 

  2. Balis, D., M. Kroon, M. Koukouli, E. Brinksma, G. Labow, J. Veefkind, and R. McPeters, 2007. Validation of Ozone Monitoring Instrument total ozone column measurements using Brewer and Dobson spectrophotometer ground-based observation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984-2012), 112(D24). 

  3. Bhartia, P., 2002. OMI Algorithm Theoretical Basis Document. Volume II, OMI Ozone Products. NASA-OMI, Washington, DC, USA 

  4. Bracher, A., L. Lamsal, M. Weber, K. Bramstedt, M. Coldewey-Egbers, and J. Burrows, 2005. Global satellite validation of SCIAMACHY O 3 columns with GOME WFDOAS.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5, 2357-2368. 

  5. Bramstedt, K., J. Gleason, D. Loyola, W. Thomas, A. Bracher, M. Weber, and J. Burrows, 2003. Comparison of total ozone from the satellite instruments GOME and TOMS with measurements from the Dobson network 1996-2000.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3, 1409-1419. 

  6. Buchard, V., C. Brogniez, F. Auriol, B. Bonnel, J. Lenoble, A. Tanskanen, B. Bojkov, and P. veefkind, 2008. Comparison of OMI ozone and UV irradiance data with ground-based measurements at two French sites.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8: 4517-4528. 

  7. De Backer, H. and D. De Muer, 1991. Intercomparison of total ozone data measured with Dobson and Brewer ozone spectrophotometers at Uccle (Belgium) from January 1984 to March 1991, including zenith sky observation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984-2012), 96(D11): 20711-20719. 

  8. Hong, H., H. Lee, J. Kim, and Y. G. Lee, 2014. First comparison of OMI-DOAS total ozone using ground-based observations at a megacity site in East Asia: Causes of discrepancy and improvement in OMI-DOAS total ozone during summer.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19: 10058-10067. 

  9. Ialongo, I., G. Casale, and A. Siani, 2008. Comparison of total ozone and erythemal UV data from OMI with ground-based measurements at Rome station.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8: 3283-3289. 

  10. Kroon, M., J. P. Veefkind, M. Sneep, R. McPeters, P. Bhartia, and P. Levelt, 2008. Comparing OMI-TOMS and OMI-DOAS total ozone column dat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984-2012), 113(D16). 

  11. Krueger, A. J., 1983. Sighting of El Chichon sulfur dioxide clouds with the Nimbus 7 total ozone mapping spectrometer. Science, 220: 1377-1379. 

  12. Liu, X., P. Bhartia, K. Chance, R. Spurr, and T. Kurosu, 2010. Ozone profile retrievals from the Ozone Monitoring Instrument.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0, 2521-2537. 

  13. Loyola, D., and M.E. Koukouli, P. Volks, D.S. Balis, N. Hao, M. Van Roozendael, R.J.D. Spurr, W. Zimmer, S. Kiemle, C. Lerot, and J.-C. Lanbert, 2011. The GOME-2 total column ozone product: Retrieval algorithm and ground-based validati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984-2012), 116(D7). 

  14. McKee, D., 1993. Tropospheric ozone: human health and agricultural impacts, CRC Press, Boca Raton, FL, USA 

  15. McPeters, R., D. Heath, and B. Schlesinger, 1984. Satellite observation of $SO_2$ from El Chichon: Identification and measurement.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11: 1203-1206. 

  16. McPeters, R., S. Hollandsworth, L. Flynn, J. Herman, and C. Seftor, 1996. Long-term ozone trends derived from the 16-year combined Nimbus 7/Meteor 3 TOMS Version 7 record.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3, 3699-3702. 

  17. McPeters, R., M. Kroon, G. Labow, E. Brinksma, D. Balis, I. Petropavlovskikh, J.P. Veefkind, P.K. Bhartia, and P.F. Levelt, 2008. Validation of the AURA Ozone Monitoring Instrument total column ozone product.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984-2012), 113(D15). 

  18. OMI Team, 2009. Ozone Monitoring Instrument (OMI) Data User's Guide, OMI-DUG-3.0, NASA, http://so2.umbc.edu/omi/omi docs.html 

  19. Solomon, S., D. Qin, M. Manning, Z. Chen, M.Marquis, K.B. Averyt, M. Tignor, and H.L.Miller, 2007. IPCC, Climate change 2007: the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Kingdom and New York, NY,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