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화기(1876~1910) 서양음식에 대한 인식과 수용
Study on Cognition and Acceptance of Western Food in Joseon Enlightenment Period (1876~1910)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0 no.6, 2015년, pp.714 - 725  

이규진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nvestigated changes in Joseon food culture mainly focusing on acceptance of Western food in the enlightenment period. Joseon intended to learn the advanced technology of the West. Through an exchange with various Western countries, the royal family and upper class of Joseon rapidly a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화기란 무엇인가? 개화기는 ‘서구에서 기획되고 근대 일본에 의해 번역된 근대’를 조선이 처음 체험하고 태동시킨 시기(Hong et al. 2006)이다.
개화기 식생활 변화를 주도한 세력에 대해 설명하시오. 변화를 주도한 것은 당대 지식인들이었다. 그들은 외교 사절이나 유학생 등의 신분으로 신생근대 국가인 일본을 비롯해서 미국이나 러시아, 유럽 국가들을 직접 돌아보는 기회 를 가졌고, 경험한 것을 공적 혹은 사적 기록으로 남겨서 조선의 근대화를 앞당기고자 노력했다. 그리고 변화를 주도한 또 하나의 세력은 언론 매체였다. 국내 신문과 잡지는 새로운 정보를 소개하고 뒤떨어진 우리의 구습을 타파하자고 주장하며 개혁에 앞장섰다.
「Ildonggiyu (일동기유)」에서 언급된 상차림 방식은 무엇인가? 큰 탁자를 놓고 탁자 둘레에 앉았다. 각 사람의 면전 앞에다 제각기 이름을 쓴 종이며 제공될 음식차림 목록이 적힌 종이가 있었으며(중략) 각사람의 면전에는 각기 두 개의 자기 접시가 놓여있다. 하나에는 흰포(白布)를 담아 그 속에 빵을 놓았는데 포(布)로는 방울방울 번지는 것을 받아내어 빵을 먹는데 도움이 된다. 하나에는 깨끗하니 아무것도 없고 빈접시의 왼쪽 에는 대, 중, 소 세 개의 수저가 갖춰있는데 이빨(주: 포크)로 는 들어올릴 수도 있고 찍을 수도 있다. 오른 쪽에 있는 칼 두 개 뒤에 두 개의 수저가 있는데 아울러 하나는 크고 하나는 작 았다. 이에 식사를 주는데 부드러운 국(주: 스프) 과 고기산적은 불과 조금뿐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llen H. N. 1904. Korea: Fact and Fancy, Being A Republication of Two Books Entitled "Korean Tales" and "A Chronological Index". Methodist Publishing House, Seoul, Korea, p 211 

  2. An HJ. 2015. Modern Dietary Transition in Korea: Focusing on the news paper advertisements from 1896 to 1995. Doctoral degree thesis, Kyung Hee University, Korea, pp 32-36 

  3. Appenzeller H. G. The First Missionary of Korea. In: Lee MY editor. 1985. Yonsei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 89 

  4. Chang CH. 1988. Study on the Foreign Drinks Introduced in Joseon Period-Focus on the 19th century-late Joseon period. J. Juryusaneop, 8(4):43-44 

  5. Chung HK. 2014. Study on Modern Korean Food related Literature, Korean Food Foundation (2014). The scenery of Modern Korean Food [근대 한식의 풍경]. Hollym, Seoul, Korea, p 186 

  6. Gikuchi GJ. 1931.Joseonjapgi (조선잡기) 2. Gyemyung-sa, Seoul, Korea, p 98 

  7. Hong SP et al. 2006. First Experience of the Modern Times-Focus on daily culture of the enlightenment period.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p 5, 17, 171 

  8. Ichikawa M. 2007. Views toward the Residency-General's Administration of Korea in the Public Discourse of Japanese Resident in Korea from 1905 to 1910. Mater's degre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7, 12-13 

  9. Im GS et al. 2010. East Asian Media Source Dictionary. Nonhyeong, Seoul, Korea, p 1555 

  10. Isabella B.Korea and Her Neighbors (한국과 그 이웃나라들). In: Lee IW editor. 1994. Sallim, Seoul, Korea, pp 125-126, 294 

  11. Jo JM. 1987. Korean of the American Continent (아메리카 대륙 의 한인풍운아들). Chosun Ilbosa, Seoul, Korea, pp 35, 36-37 

  12. Ju YH. 2004. Modernisim on the Table: A Study on the Painting, "Banquet celebrating the Trade-Treat between Joseon (朝 鮮) and Japan (日本) in 1883". J. Soc. History, 66:6-34, 21 

  13. Ju YH. 2011. The Invention of the Modern Korean Restaurant: An-Sunhwan (安淳煥, 1871-1942) and Myeongwolgwan (明月館)). J. Orient., 50:145, 141-162 

  14. Kang HJ et al. 2014. Undisclosed editorial source book of Jeguksinmun Hyeonsilmunhwayeongu. Seoul, Korea, pp 240, 246 

  15. Kang IH. 1978. Koean diet history (한국식생활사). Samnyeongsa, Seoul, Korea, p 385 

  16. Kim GS. Ildonggiyu (일동기유). In: Kim IS editor. 1998. Jejumunhwawon, Seoul, Korea, pp 42, 46 

  17. Kim KI. 2003. Modern and Modernity of Korea (한국의 근대와 근대성). Baeksanseodang, Seoul, Korea, p 69 

  18. Kim MH, Chung HK. 2011. Study on Food Culture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NovelToji. J. Korean Soc. Food Cult., 26(6):539-553 

  19. Kim WM. 1996. Miss Sontag and Sontag Hotel. J. Hyangtoseoul, 56:178 

  20. Lee KJ, Cho MS. 2008. Foodways in Korea during Japanese Occupation by Analysis of the articles in the Yeo-Sung Magazine-from 1936 to 1940-. J. Korean Soc. Food Cult., 23(3):336-347 

  21. Lee KJ. 2013. Westerner's View of Korean Food in Modern Period-Centering on Analyzing Westerners' Books-. J. Korean Soc. Food Cult., 28(4):356-370 

  22. Lee HH et al. 2004. Korean Modern Women's Daily Culture. Gukakjaryowon, Seoul, Korea, pp 10-11 

  23. Lee SW. 2007. A Study on Changes of Travelogues in World View of Koreans (1876-1910). Doctoral degree thesis, Incheon University, Korea, p 2 

  24. Lee SW. 2009. Joseon Intellectuals who Left for the World (세계로 떠난 조선의 지식인들). Humanist, Seoul, Korea, p 138 

  25. Lee SW. 2012. Sontag Hotel. Haneuljae, Seoul, Korea, pp 20, 25-26, 143-145 

  26. Min YW. Haecheonchubeom (해천추범). In: Cho JG editor. 2007. Chaekgwahamkke, Seoul, Korea, pp 9-10 

  27. Mutel CM. Mwiteljugyoilgi (뮈텔주교일기) 1. In: The Research Foundation for Korean Church History editor. 1986. Seoul, Korea, p 361 

  28. Oh IY. 2004. A Study on the western residents' living conditions and manner of life. J. Orient. Studies, 35:265 

  29. Okada T. The birth of Dongaseu (돈가스의 탄생). In: Jung SB editor. 2006. Puriwa Ipari, Korea, pp 278-282 

  30. Park YH. 1882. Sahwagiryak (사화기략). In: Kim IS editor. 1998. Jejumunhwawon, Seoul, Korea, p 233 

  31. Rudolf Zabel. 1904. German Couple's Honeymoon Trip to Korea (독일인 부부의 한국 신혼여행). In: Lee SH editor. 2009. Sallim, Seoul, Korea, pp 160-162 

  32. Richard Wunsch. 1976. German doctor of Gojong, Wunsch (고종의 독일인 의사 분쉬). In: Kim JD editor. 1999. Hakgojae, Seoul, Korea, pp 66-67 

  33. Choi NS. 1909. Sonyeon (소년)(1909년 8월). Korea, 2(7):50 

  34. Yoon BN. 1952. Sincheonji (신천지)(1952년 3월). 7(2):91 

  35. Takasaki S. 2002. Japanese of Joseon in the colonial era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들). In: Lee GS editor. 2006. Yeoksabipyeongsa, Korea, pp 62, 85, 119 

  36. Yun CH. Yunchiho ilgi 1 (윤치호 일기1). In: Song BG editor. 2001. Yonsei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 113 

  37. Yun CH. Yunchiho ilgi 2 (윤치호 일기2). In: Park JS editor. 2003. Yonsei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 106 

  38. Yun CH. Min Yeonghwan and Yun Chiho went to Russia (민영환과 윤치호, 러시아에 가다). In: Yun GN editor. 2014. Sinanggwajiseongsa, Seoul, Korea, pp 98-99, 195, 242, 292 

  39. Yu GJ. Seoyugyeonmun (서유견문). In: Chae H editor. 1982. Daeyang, Seoul, Korea, p 270 

  40. 統監府 編 第三次 統監府統計年報. 1910. pp 46-47, 118-120 

  41. Joseonwangjosillok. Available from: http://sillok.history.go.kr/, [accessed 2015.6.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