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대시기 서양인 시각에서 본 조선음식과 음식문화 - 서양인 저술을 중심으로 -
Westerner's View of Korean Food in Modern Period - Centering on Analyzing Westerners' Books -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8 no.4, 2013년, pp.356 - 370  

이규진 (가천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estern perspective on the food and food culture of Modern Times in Korea (from the late of Joseon Dynasty until Japanese colonial era). Literature and written records were analyzed. This analysis revealed that the heart of the mill in this period involve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양인의 한국에 대한 저술들은 어떤 정보를 제공하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양인의 한국에 대한 저술들은 당시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에 이르는 근대 한국의 모습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들이다(Lee 2001). 이는 당시를 알리는 우리나라의 기록이 부족한 가운데, 다양한 부류의 서양인들이 조선사회를 관찰한 기록들이기 때문에 당시 한국의 모습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묘사된 삶의 현장에서 대체로 정치사 또는 경제사 위주의 기존 연구에서 간과했던 생활사 자료를 제공해준다(Choi 2006).
조선을 다녀간 서양인들을로 인해 우리나라가 어떤 영향을 받았다고 사료되는가? 조선을 다녀간 서양인들은 나름대로 하나의 복합체로서 조선에 관한 이미지를 생산하였고, 그것이 긍정적이었건 부정적이었건 간에 우리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데 많은 영향을 끼쳤다. 예를 들면 한말부터 일제 강점기에 만들어진 ‘은둔국’, ‘은자의 나라’와 같은 조선에 관한 인상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국사편찬위원회 2009). 마찬가지로 그들의 조선 음식에 대한 인식과 평가 역시 은연중에 현대에도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된다.
서양인의 한국에 대한 저술들은 어떤 의의를 갖는 자료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양인의 한국에 대한 저술들은 당시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에 이르는 근대 한국의 모습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들이다(Lee 2001). 이는 당시를 알리는 우리나라의 기록이 부족한 가운데, 다양한 부류의 서양인들이 조선사회를 관찰한 기록들이기 때문에 당시 한국의 모습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묘사된 삶의 현장에서 대체로 정치사 또는 경제사 위주의 기존 연구에서 간과했던 생활사 자료를 제공해준다(Choi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강인희. 1978. 한국식생활사. 삼영사. 서울. p 301 

  2. 김성택, 이은숙, 김귀원, 정덕재. 2010. 프랑스인의 눈에 비친 한국. 대구경북대학교출판부. 대구. p 53 

  3. 국사편찬위원회. 2009. 이방인이 본 우리. 두산동아. 서울 

  4.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2003. 개화기 한국과 세계의 상호이해. 국학자료원. 서울. pp 200-201 

  5.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2004. 개화기 한국과 세계의 상호교류. 국학자료원. 서울 

  6. 박대헌. 1996. 서양인이 본 조선: 조선관련 서양서지. 호산방. 서울 

  7. 손정목. 1980. 개항기 한성 외국인거류의 과정과 실태. 향토서울, 38: 68 

  8. 조광현. 1997. 서울우유 육십년사. 서울우유협동조합. 서울. pp 109-112 

  9. 주강현. 2002. 개고기와 문화제국주의. 중앙 M&B. 서울. p 52 

  10. 한국식품과학회. 2008. 식품과학 기술대사전. 광일. 서울 

  11. 최덕수. 2006. 19세기 후반 세계와 조선, 그리고 서울, 향토서울. 68:5-57 

  12. Angus Hamilton. 1904. Korea: its history, its people, and its commerce. J. B. Millet Company. Boston. pp 63-64 

  13. Arnold H. Savage-Landor. 1895. Corea or Cho-se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William Heinemann. London: 신복룡.장우영(역주). 1999. 고요한 아침의 나라 조선. 집문당. 서울. pp 135-139 

  14. B. B. Benedek. 1929. Korea, a hajnalpir orszaga: 초머 모세(역주). 2005. 코리아, 조용한 아침의 나라. 집문당. 파주. pp 114-115 

  15. Charles Varat. 1890. Deux voyages en Coree. Kailash, 1994. pp 153-154 

  16. Daniel L. Gifford. 1898. Every-Day Life in Korea. Fleming H. Revell Company. Chicago: 심현녀(역주). 1995. 조선의 풍속과 선교.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서울. p 37, p 51 

  17. Ellasue Wagner. 1931. Korea, the Old and the New. Fleming H. Revell Company. New York.: 김선애. 2009. (미국인 교육가 엘라수 와그너가 본) 한국의 어제와 오늘. 살림. 파주. pp 86-90 

  18. Emily G. Kemp. 1911. The Face of Korea. Duffield & Company. New York.: 신복룡. 1999. 조선의 모습 집문당. 서울. p 76 

  19. Ernst J. Oppert. 1880. A Forbidden Land: Voyages to the Corea. S. Low, Marston, Searle, and Rivington. London.: 신복룡.장우영(역주). 2000. 금단의 나라 조선. 집문당. 서울. pp 120-141 

  20. George. W. Gilmore. 1892. Korea from its capital: with a chapter on mission. Presbyterian Board of Publication and Sabbath-School Work. Philadelphia: 신복룡(역주). 1999. 서울풍물지. 집문당. 서울. pp 114-116, 220-221 

  21. George. W. Gilmore. 1894. Corea of Today. T. Nelson and sons. New York.: 이복기(역주). 2009. 서양인 교사 윌리엄 길모어, 서울을 걷다 1894. 살림. 파주. pp 98-102 

  22. Hesse-Wartegg. 1895. Korea: Eine Sommerreise nach dem Lande der Morgenruhe 1894. Verlag von Carl Reissner. Dresden.: 정현규(역주). 2012. 조선, 1894년 여름. 책과함께. 서울. pp 84-87, p187, p 265 

  23. Henry B. Drake. 1930. Korea of the Japanese. Dodd, Mead and Company. New York.: 신복룡.장우영(역주). 2000. 일제시대의 조선 생활상. 집문당. 서울. pp55-57 

  24. Homer B. Hulbert. 1906. The Passing of Korea. William Heinemann Co. London: 신복룡(역주). 1999. 대한제국 멸망사. 집문당. 서울. pp 320-323 

  25. Horace N. Allen. 1908. Things Korean. F. H. Revell Company. New York.: 윤후남. 1996. 알렌의 조선 체류기. 예영커뮤니케이션. 서울. pp 30-31, pp 134-136 

  26. Horace G. Underwood. 1908. The Call of Korea. Fleming H. Revell. New York.: 한동수. 2000. 와서 우릴 도우라: 한국교회 초기 선교역사. 기독교문서선교회. 서울. pp 39-42 

  27. Isabella B. Bishop. 1898. Korea and Her Neighbors. John Murray. London: 이인화(역주). 1994. 한국과 그 이웃나라들. 살림. 서울. pp 125-126 

  28. Jack London. 1904. La Coree en feu. Union Generale d'Editions (1982): 윤미기(역주). 1995. (잭런던의) 조선사람 엿보기. 한울. 서울. p112 

  29. James S. Gale. 1909. Korea in Transition. Young People's Missionary Movement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New York.: 신복룡(역주). 1999. 전환기의 조선. 집문당. 서울. p 20, pp 30-31 

  30. J. Robert Moose. 1911. Village Life in Korea. Publishing House of the M. E. Church, South, Smith & Lamar, agents. Nashville.: 문무홍. 2008. 1900, 조선에 살다. 푸른역사. 서울. pp 115-118 

  31. Joseph H. Longford. 1911. The Story of Korea. T. Fisher Unwin. London: 2000. 경인문화사. 서울. p 376. 

  32. John Ross. 1891. History of Corea. E. Stock. London. pp 302-303 

  33. Kim Hee Young. 2007. Orientalism and the Westerner' Recognition of Joseon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Kyong-Ju Sa Hak. 26:165-181 

  34. Lee Bae Yong. 2001. Westerner's perspective on korean modern society. Ewha Sahak Yeongu. Ewha Historical Institutions. pp 105-126. 

  35. Lee Bae Yong. 2002. Westerner's View of Korean Women in Modern Period: Centering on Analyzing Westerner's Books. Korean History of Thoughts, pp 539-569 

  36. Lee Minjoo. 2008. Our Costume Culture seen by the Foreign Record and Illustration in the Opening time of a Port. Korea Historical Folklore, 27:205-234 

  37. Lillias H. Underwood. 1904. Fifteen Years Among Top-Knots. American Tract society. Boston.: 신복룡.최수근(역주). 1999. 상투의 나라. 집문당. 서울. p 92 

  38. Lillias H. Underwood. 1905. With Tommy Tompkins in Korea. Fleming H. Revell Company. London and Edinburgh. pp 38-42 

  39. Mattie Wilcox Noble. Journals of Mattie Wilcox Noble: 1892-1934.: 강선미.이양준(역주). 2010. 노블일지 1892-1934. 이마고. 서울. pp 134-135 

  40. Михаил А. Поджио. 1892. Очерки Кореи. Evdokimov. 상트페테르부르크: 이재훈(역주). 2010. 러시아 외교관이 바라본 근대 한국. 북아역사재단. 서울. pp 347-352 

  41. Norbert Weber. 1915. Im Lande Der Morgenstille: Reise-Erinnerungen an Korea.: 박영일.장정란. 2012. 고요한 아침의 나라. 분도. 칠곡. pp 269-271 

  42. O.R. Avison. Memoirs of life in Korea.: 박형우. 2010. 올리버 R. 에비슨이 지켜본 근대 한국 42년(1893-1935) 上.下. 청년의사. 서울. pp 258-259, p 265 

  43. Percival Lowell. 1885. Chose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Trubner and company. London: 조경철(역주). 1986. 고요한 아침의 나라 한국. 대광문화사. 서울. pp 80-83, 200-205 

  44. R. von Moellendorff. 1930. Ein Lebensbild. Otto Harrassowitz. Leipzig.: 신복룡.김운경(역주). 1999. 묄렌도르프 자전. 집문당. 서울. pp 90-91 

  45. Sin Bokryong. 2004. A study of the reciprocal understanding between Korean and westerners in the 19th century. The Society of Korean Literary Studies, 27:65-96 

  46. Sten Bergman. 1938. In Korean Wilds and Villages. Travel Book Club. London.: 신복룡.변영욱(역주). 1999. 한국의 야생동물지. 집문당. 서울. p 37, p 136 

  47. William E. Griffis. 1907. Corea: the hermit nation. Charles Scribner's Sons. New York.: 신복룡(역주). 1999. 은자의 나라 한국. 집문당. 서울. pp 342-352 

  48. William. R. Carles. 1888. Life in Corea. Macmillan and co. London, New York.: 신복룡(역주). 1999. 조선풍물지. 집문당. 서울. p 18, pp 104-106 

  49. William E. Griffis. 1912. A modern pioneer in Korea. Fleming H. Revell Company. London and Edinburgh. p 105, p 233 

  50. W. Ason Grebst. 1912. I. Korea.: 김상열. 2005. 스웨덴 기자 아손, 100년 전 한국을 걷다. 책과함께. 서울. p 7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