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 영재교육 연구의 현황 및 성과: 2003-2012
Comprehensive Review of Research Publications on Gifted Education in Korea : 2003-2012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5 no.6, 2015년, pp.881 - 904  

이상희 (녹색삶지식경제연구원) ,  최선일 (영동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을 실질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마련된 제1, 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시기인 2003년도부터 2012년도까지 10년간의 영재교육 연구, 동향 및 연구보고서를 분석함으로써 영재교육 관련 연구 성과와 경향 및 흐름을 분석하고, 향후 영재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네이버 전문정보 사이트와 한국학술정보원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영재를 키워드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182종 1,696편의 학술지 논문, 총 138편의 박사학위 논문, 총 1,470편의 석사학위 논문, 75개 기관 총 798편의 동향 및 연구보고서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학술지 및 학위 논문과 동향 및 연구보고서를 크게 연구대상, 영재분류, 연구주제,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2003년부터 2012년까지의 영재교육 학술지 논문과 학위 논문은 주로 초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수학 과학 분야의 영재들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을 주제로, 양적연구의 방법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음을 파악할 수 있다. 연구 결과와 관련하여 영재교육 10년간의 연구 성과가 도출되었으며, 향후 국내 영재교육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on gifted education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dissertations and research reports, as well as an analysis of the trends and milestones achieved related to gifted education. The period from 2003 to 2012, from which the dat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국가기관·지방자치단체 및 그 산하기관들이 담당하고 있는 업무의 성격에 따라, 매우 다양한 영역에서 영재교육에 대한 동향 및 연구보고서 작성이 이루어졌다.
  • 영재교육 연구는 학술지 개재논문, 학위 논문, 단행본, 동향 및 연구 보고서, 국가기록물 등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연구 주제, 연구 대상, 연구 집단, 연구 방법 등으로 구분하여 조사·분석한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영재교육 관련 연구의 발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영재교육이 법제화 된 후 등장하게 된 모든 영재교육 연구 동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영재교육의 면모를 살펴보고, 앞으로 진행되어 갈 영재교육의 방향성을 추론하되, 보다 바람직한 영재교육 실현을 위하여 영재교육 연구가 담당해야 할 내용들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 관련 연구 동향에 대해 분석하고, 영재교육 연구의 성과를 고찰한다. 영재교육 연구는 학술지 개재논문, 학위 논문, 단행본, 동향 및 연구 보고서, 국가기록물 등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연구 주제, 연구 대상, 연구 집단, 연구 방법 등으로 구분하여 조사·분석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영재교육이 법제화 된 후 등장하게 된 모든 영재교육 연구 동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영재교육의 면모를 살펴보고, 앞으로 진행되어 갈 영재교육의 방향성을 추론하되, 보다 바람직한 영재교육 실현을 위하여 영재교육 연구가 담당해야 할 내용들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 관련 연구 동향에 대해 분석하고, 영재교육 연구의 성과를 고찰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재교육 연구 현황 분석의 한계점과 재고해야 할 부분은 무엇인가? 영재교육 연구 현황 분석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진행된 현황 분석 연구는 그 양이 매우 한정적이며, 분석을 위한 대상 연구물들도 한정적이라는 것이 재고해야 할 부분이다. 가령, 기존의 영재교육 연구 현황 분석 연구는 연구의 대상이 되는 학술지 논문을 등재지 혹은 등재후보지로 한정하고 있다.
1차로 진행한 연구의 자료 수집은 어떤 내용을 정리하였는가?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3년 4월 19일부터 2013년 5월 2일까지 약 8주간에 걸쳐 진행되었다. 먼저 2013년 4월 19일부터 4월 30일까지 네이버 전문정보 사이트(http://academic.naver.com)에 ʻ영재ʼ라는 키워드로 검색하여 2002년도부터 2013년도까지의 학술지 논문과 학위 논문, 동향 및 연구 보고서, 국가 기록물, 단행본 등을 1차 정리하였다. 키워드 검색의 특성상 ʻ영재ʼ라는 키워드에 ‘영재교육’이라는 키워드까지 모두 검색이 가능하므로 ʻ영재교육ʼ 키워드 검색은 실행하지 않았다.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의 양적, 질적 성장의 계기는 무엇이었는가? 2002년 3월 영재교육 진흥법 시행령이 시작되었다. 이후,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은 2003년도부터 시작된 제1, 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을 통하여 기반 마련과 양적, 질적 성장을 동시에 이루어왔다. 제1, 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이 실시된 지난 10년간의 시기는 영재교육의 도입과 발전의 시기였으며, 2013년부터 시작된 제 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에서는 2017년까지를 영재교육의 도약기로 보고, 영재교육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교육부,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교육부 (2013).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3-2017). 

  2. 네이버 전문정보 사이트 http://academic.naver.com/(검색일 2013. 4. 19 - 2013. 4 30) 

  3. 박경빈 (2012). 한국 영재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영재교육연구, 22(4), 823-840. 

  4. 이신동, 고운정 (2010). 영재교육의 최근 이슈에 대한 논의. 인문과학논총, 25, 189-218. 

  5.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사이트 http://www.riss.kr/index.do(검색일 2013. 5. 1 - 2013. 5. 14) 

  6. 한국교육개발원 영재교육종합데이터 베이스 사이트 https://ged.kedi.re.kr/(검색일 2013. 5. 1- 2013. 5. 14) 

  7. 한국교육개발원 (2013). 2012 영재교육 통계연보. 

  8. 한기순, 양태연 (2007). 최근 국내 영재교육 연구의 흐름: 2000-2006년도 연구물 분석. 영재교육연구, 17(2), 338-3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